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Deserted Houses and Its Implications on the Urban Decline and Regeneration

공폐가 분포 분석을 통한 도시쇠퇴의 공간적 구조 연구: 광주광역시 주거 지역을 중심으로

  • Kim, Hwahwan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Hyeonggwan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Minseok (School of Architec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ang, Munhyun (Department of Geograph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7.01.18
  • Accepted : 2017.02.10
  • Published : 2017.02.28

Abstract

The decline in urban center, changes in the population structure, economic slump and etc. have caused empty or deserted houses in the city.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houses as the reason for the accelerated formation of local slum, and as the negative element threaten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urban landscape, social stability and others.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or deserted houses in Gwangju metro city, identifying hotspots and classifying those hotspot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indicators as well as physical ones, and examin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n the urban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a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and deserted houses in Gwangju metro city. Second, several hotspots are identified mainly around the old CBD area showing a sign of urban decline. Third, the indicators of urban decline were visualized using triangulation charts, and hotspots of empty(deserted) houses are classified so that the classification could serve for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olicy making tailored for each region.

도시 생애 주기에 따른 도시 노후화와 도시재생 정책에 관한 관심이 최근 급증하고 있고, 도시 쇠퇴의 가시적인 지표로 대표적인 사례인 공폐가의 발생과 활용 방안에 대한 관심 역시 최근 들어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16년 4월 기준 광주광역시 공폐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과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하여 공폐가 발생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지역에 따른 공폐가 발생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공폐가 발생의 유형은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의거하여 광주광역시에서 제작한 "2025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의 10가지 도시 쇠퇴 진단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기존 공폐가 관련 선행연구 대부분이 시군구별 집계 자료에 제한되었던 것을 극복하여, 공폐가의 실제 위치를 행정동 단위로 분석하여 자세하고 신뢰성 있는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공폐가의 공간적 분포 패턴과 공간적 자기상관 관계 및 공폐가 발생 유형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은 행정동 단위에서 정적인 공간적 자기 상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국지적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일부 지역에서 공폐가 발생이 집중되어 있었다. 공폐가 발생과 도시 쇠퇴 요인들과의 상관관계는 삼각도표를 이용하여 시각화하고, 공폐가 발생 지역을 원인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광주광역시 공폐가의 발생 현황과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고, 지역별 공폐가 발생의 원인을 유형화하여 도시 노후화 현황과 지역별 대응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광주광역시, 2016, 2025 광주광역시 도시재생전략계획, 광주광역시, 광주.
  2. 권병수, 2005, 현지개량사업지구내 다가구주택의 공가발생 요인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구.
  3. 김상훈.남진, 2016, 도시재생을 위한 유휴공간 유형별 복합적 토지이용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1), 45-66.
  4. 김진하.남진, 2016, 도시쇠퇴지역의 빈집 분포현황과 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지역연구, 32(1), 105-122. https://doi.org/10.22669/KRSA.2016.32.1.105
  5. 김흥관.신용은.백태경.강기철.정희수.오주헌.여성준, 2007, GIS를 활용한 도심 공간기능분석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 75-86.
  6. 남원석.박은숙, 2014, 공가 실태 및 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2), 325-346.
  7. 남지현, 2014, 일본의 빈집형성의 원인과 대처 방안, 지역사회연구, 22(4), 187-215.
  8. 노민지.유선종, 2016, 빈집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특성 분석, 부동산연구, 26(2), 7-21.
  9.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010, 도시쇠퇴 프로파일: 권역별, 서울대학교, 서울
  10. 서준교, 2014, 도시쇠퇴(urban decline)와 수축(shrinkage)의 원인과 대응전략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6(1), 97-115.
  11. 손은정.맹희연.이희연, 2015, 공폐가 밀집지역의 시.공간 패턴과 근린 부동산 가격에 미치는 영향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부동산분석, 1(1), 71-90.
  12. 양동석.유영도, 2011, 도시재생 종합정보시스템 구축 -시군구단위 쇠퇴진단시스템 구현을 중심으로-,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2(3), 249-258. https://doi.org/10.5804/LHIJ.2011.2.3.249
  13. 오승훈, 2015, 익산시 구도심의 빈집 형성에 관한 연구: 중앙동을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서울.
  14. 윤동수, 2016, 도시재생을 위한 서울시 빈집 살리기사업 활성화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서울.
  15. 이민석, 2010, 주거지재생을 위한 대상지선정 방법론 연구 -광진구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9), 191-200.
  16. 이민석, 2015, GIS를 활용한 광주광역시 도시재생방향에 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6(1), 99-107.
  17. 이민파, 2005, 공간 자료 분석의 개요. 국토, 285, 130-165.
  18. 이영성.김예지.김용욱, 2010, 도시차원의 쇠퇴실태와 경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1-11.
  19. 이재우, 2013, 영국의 빈집 정비.활용 체계와 수단 고찰, 국토계획, 48(4), 95-115.
  20. 임준홍.최용준, 2016, 일본의 빈집정비 사례와 시사점, 열린충남, 73, 26-35.
  21. 장문현, 2016, GIS와 공간통계기법을 활용한 도시쇠퇴 특성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2), 424-438.
  22. 전영미.김세훈, 2016, 구시가지 빈집 발생의 원인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7(1), 83-100.
  23. 정희성, 2016, GIS를 이용한 화재 발생의 공간적 특성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청주.
  24. 조진희.이동건.황희연, 2010, 도시쇠퇴 수준 및 특성 유형화, 국토지리학회지, 44(1), 35-50.
  25. Anselin, Luc & Anil K. Bera, 1998, Spatial dependence in linear regression models with an introduction to spatial econometrics, in Aman Ullah and David Giles(eds.), Handbook of Applied Economic Statistics, New York, 155, 237-289.
  26. Anselin, Luc, 1988, Spatial Econometrics: Methods and Models, Boston: Kluwer.
  27. Chainey, S. P. and Ratcliffe, J. H., 2005, GIS adn Crime Mapping, Wiley, London.
  28. Cliff A. D. & Ord, J. K., 1973, Spatial Autocorrelation, Pion, London. Doreian & Patrick, 1981, Estimating linear models with spatially distributed data, in Samuel Leinhardt(ed.), Sociological methodology, San Francisco, CA: The Jossey-Bass Publishers, 359-388.
  29. Osborne, D. A. and Wernicke, S. C., 2003, Introduction to Crime Analysis: Basic Resources for Criminal Justice Practice, Haworth Press, New York.
  30. Schilling, J & Logan, J, 2008, Greening the Rust Belt: A Green Infrastructure Model for Right Sizing America's Shrinking Citie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4(4), 451-466. https://doi.org/10.1080/01944360802354956
  31. Stone Jr., B., 2008, Urban Sprawl and Air Quality in Large US Citi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86(4), 688-698. https://doi.org/10.1016/j.jenvman.2006.12.034
  32. Zhang, Zhigian & Daniel A. Griffith, 1997, Developing user-friendly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modules for GIS: An example using ArcView, Computation, Environment, and Urban System, 21(1), 5-29. https://doi.org/10.1016/S0198-9715(97)00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