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building management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28초

지중 매설물 이력 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전자인식기의 현장 적용성 검증 연구 (A Case Study on Electronic Recognition Sensor for Underground Facility Management System)

  • 정유석;김솔람;김병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777-785
    • /
    • 2021
  • 도시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유틸리티 라인들이 지중에 매설되어 있다. 하지만, 관련 이력이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있지 않아 굴착 공사 시 파손과 같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공중선 지중화 사업이 진행됨에 따라 지중 매설물 이력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더욱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LE(Bluetooth Low Energy) Beacon, UHF RFID(Ultra High Frequency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지자기 센서, 및 상용 마커와 같은 전자인식기를 관로 등의 지중 매설물에 설치하여 관리 이력과 현장 상황 관리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장 시범사업을 통해 각 전자인식기의 장단점과 현장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두 차례의 제한적인 시범사업을 통해 수집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자인식기의 성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설치 깊이를 통제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또한 도심에서 활용해야 하는 만큼 주변 환경 간섭에 따른 영향이 최소화되어야 하고 시간에 따른 성능 저하가 없어야 한다. 지자기 인식기의 경우 주변 환경간섭의 영향이 컸고 BLE Beacon의 경우는 시간에 따른 성능저하가 발생하였다. 설치 깊이가 40cm 미만으로 통제될 수 있는 현장 상황에서는 배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의 UHF RFID의 활용성이 가장 뛰어났다.

프랑스 역사기념물과 그 주변 보호·관리제도의 진화: 1913~2016 (The French Evolution of Protection-Management Systems for Historic Monuments and Their Surroundings over One-Hundred Years: 1913-2016)

  • 이수진;류제헌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3호
    • /
    • pp.94-111
    • /
    • 2019
  • 본 연구는 지난 100여년간 프랑스 역사기념물과 그 주변 보호 관리제도의 진화 과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그 보호의 대상과 범위가 확대되면서 도시 지역계획과의 호환성을 증진시켜나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프랑스는 역사기념물(Les monuments historiques) 그 자체는 물론 그 주변까지 함께 보호 관리한다는 측면에서 한국과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그 기본적인 원리는 국가가 지정하는 역사기념물의 외곽으로부터 반경 500미터 이내에서 계획하는 모든 건축 행위는 공사 이전에 해당 관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역사기념물(Les monuments historiques)로 분류되는 건축유산의 관리는 '1913년 12월 31일 역사기념물 관련법'을 계기로 시작되어 오늘날까지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진화를 거듭해왔다. 처음에는 역사기념물을 그 자체만 고려하는 점적 단위로 보호 관리하였지만 1943년부터는 그 주변까지 포함하는 면적 단위로 보호 관리하는 방식으로 발전하였다. 1980년대 초에는 통치 체제가 중앙집권제에서 지방분권제로 전환함에 따라 역사기념물과 그 주변을 보호 관리하는 주체가 중앙에서 지방으로 일부 이전되는 정책적 변화가 있었다.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이 점차적으로 확대됨에 따라 역사기념물과 그 주변의 보호 관리제도가 도시 지역계획과의 호환성을 높이는 동시에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진화되어왔다. 프랑스의 역사기념물 보호 관리제도는 애초부터 국가 주도적으로 공공의 이익을 우선시하여 규제를 중심으로 하는 방식이었지만, 지방분권화를 계기로 중앙의 감독 하에 지역 주체가 자율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으로 발전해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오늘날 프랑스의 역사기념물 보호 관리제도는 중앙의 조정과 중재 속에서 과거의 엄격한 보호 관리 방식의 기조를 여전히 유지하며 조금 더 유연하게 주변 환경과 조화를 도모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전체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정보통신기술 기반 건설자동화 연구동향 분석 (A Text Mining Analysis for Research Trend abou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Construction Automation)

  • 임시영;김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3-23
    • /
    • 2016
  • 정보통신기술 기반 건설자동화는 건설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정보통신기술 기반 건설자동화 연구의 국내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사업진행현황 수집 및 분석기술(26%)'과 '건설장비 자동화 요소분석 및 적용기술(28%)'이 주요한 연구 분야로 나타났다. '사업진행현환 수집 및 분석기술'에서는 건설정보가 핵심키워드로 나타났으며, 건설정보 중심의 자원관리, 현장관리, 정보관리 등의 연구와 실시간 정보를 통한 모니터링 연구 등이 주요한 연구방향으로 나타났다. '건설장비 자동화 요소분석 및 적용기술'에서는 유비쿼터스가 핵심 키워드로 등장하였으며 유비쿼터스 개념의 정보관리, 현장관리, 계측시스템 적용 등이 주요한 연구 방향으로 나타났다.

도시공원 이용자들을 위한 공원복지 활성화전략 -부산도시공원 이용자를 중심으로- (Welfare Activation Strategy for a Urban Park Users)

  • 김교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95-204
    • /
    • 2012
  • 부산 도시공원의 시설과 서비스 콘텐츠에 대한 경험적 검증을 토대로 공원복지성의 수준을 파악하고 각 개별 도시공원의 전략적 발전방안 제시가 본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평판법에 의해 추천된 부산시 7개 도시공원 이용자 1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도시공원 이용형태와 시설 및 콘텐츠의 공원복지수준의 IPA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시 도시공원 이용자의 공원복지성을 구성하고 있는 이용도와 만족도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공원 선행연구들과 유사하게 공원복지 시설 중 편의시설이 집중관리 항목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이라는 동일한 지역에 동일한 도시공원이라는 유형이라 할지라도 주 이용자와 소재지의 지역적 특성에 따라서 집중영역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상정된 두 가지 연구문제에서 제기된 유의미한 차이가 모두 인정되었다. 결론적으로 부산의 도시공원 운영에 있어서 이용객들의 공원복지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다고 해석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일한 유형의 도시공원이라 할지라도 집중관리영역의 차이를 공원복지적 관점에서 경험적인 검증을 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시민참여와 지역네트워크의 새로운 공원운영 매커니즘인 컨저번시가 공원복지 성과의 가속화를 위한 앞으로의 과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수원시의 조류 충돌에 영향을 미치는 공간 구성 (Spatial Composition Affecting Bird Collision in Suwon-city, South Korea)

  • 김수련;최재연;서자유;김수경;백지원;송원경;박찬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4호
    • /
    • pp.241-249
    • /
    • 2022
  • 도시에서 사람과 야생조류는 함께 살아가고 있으나, 도시화가 가져온 생태계 파편화로 조류의 서식과 이동에 위협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수원시의 야생조류 사체 위치 데이터를 토대로 조류에게 취약한 공간, 위협요인을 확인하고자, 사체 확인 지점과 반경 500m 이내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체 확인 지점은 NDVI 0.3, NDBI -0.05, NDWI -0.16의 특성을 보였다. 반경 500m 이내에는 NDVI 0.34, NDBI -0.01, NDWI -0.18, 건물 높이 13.8m, 방음벽 길이 227.3m로 확인되었다. 토지피복유형은 초지, 시가화건조지역, 나지가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특히, 산림, 저수지 등과 인접한 아파트의 녹지, 골프장 등이 섞여있는 시가화지역의 가장자리가 위협적인 공간으로 도출되었다. 도시에서 조류와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환경영향평가 단계에서부터 수직적 공간 변화에 따른 영향이 검토되어야 하며, 이에 앞서 도시의 수직 구조물에 대한 공간 자료 구축과 현실화가 필요하다. 또한, 자연에서 도시로 변화될 수밖에 없는 공간은 야생동물이 안전하게 회피, 적응할 수 있는 시공간적 측면이 고려된 사전예방적 관리방안이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일본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의 적용을 통한 노후 도시공원 정비사업 시뮬레이션 및 타당성 분석 (Simulation and Feasibility Analysis of Aging Urban Park Refurbishment Project through the Application of Japan's Park-PFI System)

  • 김용국;김영현;김민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13-29
    • /
    • 2023
  • 도시공원은 시민들의 건강, 삶의 질, 그리고 커뮤니티 형성을 지원하는 사회적 기반시설이다. 조성된 후 20년 이상이 지난 도시공원 비중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노후 도시공원의 물리적 공간환경 개선과 기능 제고를 위한 정비사업 추진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관 주도의 노후 도시공원 정비는 재원 확보와 공원 매력 증진 측면에서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민·관 협력을 통한 추진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 앞서 노후 도시공원 문제를 겪은 일본은 2017년 「도시공원법」 개정을 통해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를 도입하여 다수의 공원 정비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 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민·관 협력을 통해 국내 노후 도시공원 서비스의 질을 개선하고, 지속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일본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의 특성을 다각적으로 검토·분석하고, 이를 국내 노후 도시공원에 시범 적용한 후, Park-PFI 적용을 통한 노후 도시공원 재정비사업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의 공모설치관리제도(Park-PFI)는 노후 도시공원의 서비스 질 향상과 기능 다양화를 위한 민·관 협력 수단으로 국내 여건에 맞춰 도입하는 것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필요가 있겠다. Park-PFI의 국내 도입을 위해서는 민간 자본 및 수익시설 설치에 따른 도시공원의 공공성 저하와 장소성 훼손, 공원녹지법 및 공유재산법 등 관련 규제 개선 등에 관한 사회적 논의와 후속 연구가 필요하겠다. 둘째, 노후 도시공원의 정비 필요도가 높고, 사업을 추진하기에 적합한 입지라는 전제하에 Park-PFI 사업은 시민, 지자체, 민간 사업자 모두의 편익을 증진시킬 수 있는 정책 대안이라고 판단된다. 인천광역시 부평구에 위치한 노후 도시공원인 세영공원에 Park-PFI 사업을 시범 적용한 결과, 수익성지수(PI), 순현재가치(FNPV), 내부수익률(FIRR) 등의 측면에서 수익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민간 부문의 사업 참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자체 차원에서도 민간 자본을 활용하여 노후 도시공원의 물리적 공간환경을 정비하는 것은 물론 민간 사업자의 시설 사용료와 수익의 일부(연매출의 0.5%)를 환원받음으로써 발생하는 재원을 활용하여 해당 도시공원의 유지관리 예산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LID평가모델(LIDMOD)개발과 수질오염총량제에 대한 적용성 평가 (LIDMOD Development for Evaluating Low Impact Development and Its Applicability to Total Maximum Daily Loads)

  • 전지홍;최동혁;김태동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8-68
    • /
    • 2009
  • Low impact development (LID) technique is relatively new concept to reduce surface runoff and pollutant loading from land cover by attempting to match predevelopment condition with various integrated management practices (IMPs). In this study, computational model for designing and evaluating LID, named LIDMOD, was developed based on SCS-CN method and applied at Andong bus terminal to evaluate LID applicapability and design retention/detention area for volume or peak flow control. LIDMOD simulated with 21 years simulation period that yearly surface runoff by post-development without LI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with LID showing about 2.8 times and LID could reduce efficiently yearly surface runoff with 75% reduction of increased runoff by conventional post development. LIDMOD designed detention area for volume/peak flow control with 20.2% of total area by hybrid design. LID can also efficiently reduce pollutant load from land cover. Pollutant loads from post-development without LID was much higher than those from pre-development with showing 37 times for BOD, 2 times for TN, and 9 times for TP. Pollutant loads from post-development with LID represented about 57% of those without LID. Increasing groundwater recharge reducing cooling and heating fee, creating green refuge at building area can be considered as additional benefits of LID. At the point of reducing runoff and pollutant load, LID might be important technique for Korean TMDL and LIDMOD can be useful tool to calculate unit load for the case of LID application.

SOM(Self-organizing map)을 활용한 베트남 민관협력사업 리스크 요인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Risk Factors for the Importance in Vietnam's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 Using SOM(Self-organizing map))

  • 윤지혜;김승호;김상용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47-355
    • /
    • 2020
  • 베트남의 경제 성장률과 도시인구는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베트남의 인프라 개발 건설 시장 규모는 더욱 커질 전망이다. 그러나 인프라 개발을 위한 베트남 정부는 재정 및 행정 능력의 한계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PPP를 채택하고 있다. PPP는 10년 이상 지속되는 장기 사업으로 사업 실패 시 장기적 큰 피해가 될 수 있어 위험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 관리에 대한 리스크 요인의 영향과 관리정도 분석에 SOM분석을 제안한다. SOM분석 방법은 시각화 분석으로, 각 리스크 요인의 색상 패턴을 통해 상관 분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SOM을 활용하여 베트남 PPP 사업의 위험요인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자 한다.

센서 기반의 교통시설물 서비스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ensor based Service Model of Traffic Facilities)

  • 이용주;김지소;장훈;정진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5-42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u-City 건설에 따른 도시 기반시설물의 관리 중 특히 교통시설물의 관리를 위한 센서 기반 서비스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관련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 내외의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의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제공되는 교통시설물 관련 서비스를 교통흐름관리, 교통정보제공, 도로 구조 형성 3개 부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USN 기술의 발전 동향을 살펴보아 미래의 u-City 건설 지역에 교통시설의 이용효율을 극대화하고, 교통 이용편의와 교통안전을 제고하기 위한 센서기반의 교통시설물 관련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율이동체와 드라이포그를 활용한 도심지 건설현장 미세먼지 모니터링 및 대응 방안 (Fine Dust Monitoring and Removal Method in Urban Construction Sites Using Autonomous Mobile Vehicle and Dry Fog System)

  • 김균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6권4호
    • /
    • pp.277-286
    • /
    • 2019
  • 건설산업은 미세먼지를 많이 발생시키는 산업 중 하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건설산업에서의 미세먼지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전체 미세먼지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율이동체, IoT, 드라이 포그 시스템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미세먼지 모니터링 및 제거기술을 제안하고, 시스템의 구성과 작동순서를 제시하였으며, 시스템 도입의 효과를 정성적, 정량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제안된 개념과 구성 그리고 작동순서는 실제 시스템 개발 및 현장적용을 통해 그 실효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또한 비용편익분석 등을 통해 구체적인 경제성도 검증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