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land field

검색결과 512건 처리시간 0.03초

Seed Quality of Soybean Produced from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

  • Kim Sun-Lim;Park Keum-Yong;Lee Yeong-Ho;Ryu Yong-Hwa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09-315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eed quality of soybeans produced from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s. Soybeans from drained-paddy fiel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the 100 seeds weight and greater in the size of seed length than those from upland fields. However,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ed width and thickness between upland and paddy fields. In case of Hunter's color value, the lightness (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pland soybeans, but the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s were higher in the drained-paddy field soybeans. Seed appearance of drained-paddy field was poor than that of upland field. Soybeans produced from the drained-paddy field showed higher protein content, whereas, lipid and ash contents were higher in the upland field. Soybeans from upland field had lower contents of total amino acids compared to drained-paddy fields. No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palmitic, linoleic, and linolenic, but stearic, oleic, saturated fatty acids (SFA), and unsaturated fatty acids (USF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oybean seeds from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s. Genistein content was higher in the drained-paddy fields, while daidzein and glycitein contents were higher in the upland fields. This result suggested that the soil condition of drained-paddy field is more favorable to synthesis genistein than daidzein and glycitein.

Disease and insect damage, growth and yield of sorghum, foxtail millet between rotational upland and continuing upland field

  • Yu, Je Bin;Yoon, Seong Tak;Yang, jing;Han, Tae Kyu;Jeong, In Ho;Kim, Young-Jung;Ye, Min Hee;Lee, Gil Jun;Cho, Soo Been;Lee, Young Kyu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49-349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investigate disease, insect damag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green maize by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system. This experiment also was to select optimum variety for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cultivation.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Anseong-si Gyeonggi province of Korea in 2016. The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are green maize of total 8 varieties. Green maize was planted at rotational upland field and continuing upland field and tested for comparison. In case of average occurrence of 4 major diseases for green maize, rotational upland field was higher than that of continuing upland field. Heukjinjuchal and Daehakchal were the lowest occurrence by less than 2% among 8 varieties. Average damage of 8 varieties by Ostrinia furnacalis larva, which is the main pest in green maize was higher in rotational upland field than that of continuing upland field. Chalok 4 and Heugjeom 2 were judged to be resistant varieties to 4 major diseases among 8 varieties. The average yield of green maize per 10a in rotational upland field decreased to 85% level of continuing upland field and Chalok 4 showed the highest yield by 789.0 kg/10a among 8 varieties. The most suitable varieties in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system were judged to be Chalok 4, Heukjinjuchal and Heukjeom 2.

  • PDF

한국산 수삼의 재배환경(논, 밭)에 따른 식물화학성분 비교 (Comparison of Phytochemical Constituents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Method (Paddy Field Cultivation, Upland Field Cultivation) of Korean Fresh Ginseng)

  • 허재영;김도형;황유진;고성권;양병욱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1-29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hanges in ingredients according to its cultivation method by examining the content of saponin and non-saponin components of ginseng. Methods: Ginseng saponin component analysis was compared and reviewed using th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and acidic polysaccharide component was measured using the carbazole sulfuric acid method. Result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ginseng saponin content of 4 and 6 years old fresh ginseng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According to the cultivation method, upland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showed higher average content of crude saponin than paddy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Whereas, paddy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showed higher average content of total saponin than upland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Ginsenoside Rb1 showed higher content of paddy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than upland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in 6 years old ginseng. However, it showed higher content of upland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than paddy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in 4 years old ginseng. Additionally, ginsenoside Rg1 showed higher content of paddy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than upland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in 6 years old ginseng, whereas upland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showed higher content of paddy field cultivation fresh ginseng in 4 years old ginseng. The effect on the content of ginseng saponins and acidic polysaccharides according to paddy field and upland field cultivation methods is considered to be small. Conclusions: The paddy field cultivation method, which is more efficient in production cost due to depletion of farmland and long-distance cultivation, is considered to be an economical cultivation method.

답전윤환 적합품종 선발을 위한 유기농 풋옥수수의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생육 및 수량 특성 (Disease, Insect Damag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Green Maize between Rotational Upland Field and Continuing Upland Field in order to Select Optimum Varieties for Paddy-Upland Rotation System)

  • 유제빈;윤성탁;양경;예민희;이길준;조수빈;이영경;한광섭;백승우;김병련;김순일;김건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87-401
    • /
    • 2017
  • 본 시험은 논으로부터 밭으로 윤환한 2년차인 답전윤환밭과 연속밭에 풋옥수수 찰옥4호 등 8품종을 사용하여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발생, 생육 및 수량특성 차이 구명은 물론 풋옥수수의 체계적인 유기농 답전윤환 재배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주요 병해는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률이 높았으며,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 발병률이 2% 미만인 흑진주찰과 대학찰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주요 충해인 조명나방 유충 피해는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피해주율이 높았으며,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는 피해주율이 낮은 찰옥4호와 흑점2호로 판단되었다. 유기농 답전윤환 시 수량은 윤환밭에서 연속밭의 85 %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답전윤환밭에서는 찰옥4호가 789.0 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내병성, 내충성, 수량을 종합 평가하면 유기농 답전윤환 시 적합 품종으로는 찰옥4호, 흑진주찰, 흑점2호로 판단된다.

답전윤환 적합 품종 선발을 위한 윤환밭과 연속밭에서의 수수, 조의 병충해, 생육 특성 비교 (A Comparison of the Disease and Insect Damag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between Rotational Upland and Continuously Cropped Upland Field in Order to Identify the Optimum Varieties for an Organic Paddy-Upland Rotation System)

  • 유제빈;윤성탁;양경;예민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3호
    • /
    • pp.224-232
    • /
    • 2017
  • 본 시험은 논으로부터 밭으로 윤환한 2년차인 윤환밭과 연속밭에 수수 남풍찰 등 7품종, 조 삼다찰 등 7품종을 공시하여 윤환밭과 연속밭의 병충해 및 잡초발생 양상, 생육 및 수량특성 차이 구명은 물론 답전윤환에 적합한 품종 선발 및 수수, 조의 체계적인 답전윤환 재배기술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립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답전윤환 시 주요 병해는 2작물 중 조의 경우 전반적으로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율이 높았으며, 수수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발병율이 낮았다.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는 수수는 발병율이 20% 미만인 소담찰, 조는 발병율 10% 미만인 삼다찰과 삼다메로 판단된다. 2. 답전윤환 시 주요 충해인 조명나방 유충에 대하여 수수와 조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피해주율이 낮았다. 시험품종 중 저항성 품종으로 수수는 60% 미만인 동안메로 판단된다. 조는 모든 품종에서 입은 피해가 전체 잎 대비 피해율 2% 미만으로 생육 및 수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3. 답전윤환 시 잡초 발생 양상은 전반적으로 초종수의 차이는 없으나, 잡초의 개체수는 42% 감소하였고, 총 건물중 또한 40% 감소하였다. 건생잡초의 개체수는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65% 감소하였고, 습생잡초는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35% 감소하여 습생잡초보다 건생잡초의 감소폭이 컷다. 건생잡초의 건물중은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53% 감소하였고, 습생잡초는 연속밭 대비 윤환밭에서 35% 감소하여 습생잡초보다 건생잡초의 감소폭이 컷다. 윤환밭과 연속밭에서 모두 건생잡초인 바랭이가 우점하였다. 4. 답전윤환 시 각 작물별 수량은 수수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90% 증가하였다. 조는 연속밭에 비해 윤환밭에서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윤환밭에서 풋옥수수의 경우 찰옥4호가 789.0 kg/10a, 수수의 경우 동안메가 280.9 kg/10a, 조의 경우 다황메가 263.5 kg/10a로 가장 많았다. 5. 답전윤환에 적합한 품종은 병충해 피해 및 생육 수량을 기준으로 하면 수수에서는 병충해 피해가 비교적 적고, 수량이 많은 황금찰, 동안메, DS202가, 조에서는 삼다찰, 삼다메, 다황메가 적합품종으로 판단된다.

수도 밭재배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Growth and Yield of Paddy Rice in the Upland Cultivation)

  • 윤상현;김용재;최원열;안장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8
    • /
    • 1976
  • 논, 밭 양조건하에서 수륙도를 재배하여 생육과 수량을 비교하였다. 수도는 영남조생과 유신을, 육도는 하다상고구와 다찌미노리를 공시하했으며 처리내용은 무관개표준비, 관개표준비, 관개질소증비의 3구는 밭에, 관수표준비구는 논에 설치하여 1975년에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는 논조건하에서 현미 수량이 많았고 유신은 $10^{a}$ 당 431.7kg으로서 가장 많았으며 육도는 논보다 밭에서 증수하였다. 2. 밭조건하에서 질소 증비에 의한 증수는 수도의 영남조생과 유신은 인정되나, 육도 2품종은 증수를 인정할 수 없었다. 3. 영남조생과 유신의 출수기는 논조건하에서 보다 밭조건하에서 약 1주일 늦었다. 4. 고중은 수도는 논, 밭조건하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육도는 논보다 밭에서 많았다. 5. 10cm간 수수는 논ㆍ밭 어느 조건하에서도 수도가 많고 육도는 논, 밭조건하에 의한 차이를 인정할수 없었다. 6. 등숙비율과 천립중은 육도가 수도보다 논, 밭 어느 조건하에서도 컸으며 논과 밭의 비교에서는 수륙도 모두 논조건하에서 컸다. 7. 수도는 논에서, 육도는 밭에서 일수립수가 많은 경향을 보였다. 8. 엽신의 질소함량은 전생육기간을 통하여 공히 논조건하에서 보다 밭조건하에서 많았다.

  • PDF

농촌 소유역에서의 논과 밭의 지하수 영양물질 농도 비교 (Comparison of the nutrient concentration in ground water between paddy field and upland in a rural watershed)

  • 장훈;김진수;김영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994-1998
    • /
    • 2009
  • Nutrients were investigated for surface water and ground water of paddy field and upland in a rural watershed from May 2008 to January 2009. The cocentrations of TN and $NO_3-N$ in ground water higher than those in surface water due to fertilization on cabbage upland neighboring a river during May to September, but lower than those in surface water during October to January. However, the concentrations TP and $PO_4-P$ in ground water were lower than those in surface water. TP and $PO_4-P$ concentrations in ground water of paddy field were generally lower than those of upland.

  • PDF

콩 논.밭 재배에서 수랑예측을 위한 생육과 수량 관련 형질의 비교 (Growth and Yield Related Characteristics of Soybeans for the Estimation of Grain Yield in Upland and Drained-Paddy Field)

  • 조영손;박호기;김욱한;김석동;서종호;신진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7호
    • /
    • pp.599-607
    • /
    • 2006
  • 논과 밭에서 콩 생산성과 생육 형질들의 측정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콩 수량은 논보다 밭에서 높은 경향 이였으나 개체당종실수는 밭에서 100립중은 논에서 높은 경향이였다. 논에서 태광콩의 수량이 가장 높았고 대원콩과 황금콩 순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밭에서는 황금콩에서 가장 높은 수량을 기록했고 대원콩과 태광콩 순으로 높았다. 2. 밭에서 수확지수는 태광콩과 황금콩이 논보다 높았고 대원콩은 논에서 밭보다 유의성은 없었으나 높은 경향이었고, 전체적으로 대원콩이 논 밭 모두에서 가장 높았다. 3. 100립중은 태광콩은 유의성이 없었으나 대원콩은 밭에서 황금콩은 논에서 높았다. 4. 엽의 녹색도는 논과 밭 재배조건 모두 파종 후 4주차부터 감소되었으나,논의 경우는 6주차까지 감소하였고, 그 이후 증가하였으며 밭의 경우는 5주차에 가장 낮은 값을 기록한 후 6주차부터는 상승하였다. 5. 지상부 건물중, 협 건물중, 협수, 경장, 경직경은 태광콩과 황금콩이 밭보다 논에서 높았으며 대원콩은 밭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6. 협 생체중은 논 밭 모두 파종 후 9주차부터 점차 상승하였으나 1 cm 이하의 협수는 논에서는 12주차, 밭에서는 11주차 이후에는 세 품종 모두 증가되지 않았다. 7. 작물생장율(CGR)은 논재배콩이 밭보다 파종후 8주차 이후부터 높은 경향이었고, 13주차에서는 대원콩이 타 품종들보다 월등히 높았다. 밭에서는 파종후 12주차부터 15주차까지 태광콩, 대원콩, 황금콩 순으로 높았다. 8. 개체당종실수와 수량간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상관을 보였다. 9.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은 논에서는 파종후 5주차를 제외한 4-15주차 사이에 0.8내외의 고도의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나, 밭에서는 4, 5주차에서 상관이 낮았고 나머지 기간에는 논과 같은 양상을 보였다. 10. 엽면적과 지상부 건물중과의 상관은 논 밭 모두 고도의 정의 상관을 보였다.

Interspecific Differences of the Capacities on Excessive Soil Moisture Stress for Upland Crops in Converted Paddy Field

  • Jung, Ki-Yuol;Choi, Young-Dae;Chun, Hyen-Chung;Lee, Sanghun;Kang, Hang-Wo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7-167
    • /
    • 2016
  • The interspecific estimation for tolerance capacities of upland crop species to excessive soil water stress in paddy field is significant in agricultural practices. Most of upland crops can be damaged by either excessive soil water or capillary rise of the water table during rainy season in paddy fields. The major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water stress of upland crops under different drainage classes in converted paddy fiel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poorly drained soil (PDS) and imperfectly drained soil (IDS) of alluvial sloping area located at Toero-ri, Bubuk-myeon, Miryang-si, Gyeongsangnam-do. The soil was Gagog series, which was a member of the fine silty, mixed, nonacid, mesic family of Aeric Endoaquepts (Low Humic-Gley soils). Two drainage methods, namely under Open ditch drainage methods (ODM) and, Closed pipe drainage methods (PDM) were installed within 1-m position at the lower edge of the upper paddy fields. The results showed that sum of excess water days ($SWD_{30}$), which was used to represent the moisture stress index, was 42 days (the lowest) in the PDM compared with 110 days in the ODM. Most of upland crops were more susceptible to excessive soil water during panicle initial stage on more PDS than on IDS. Yield of upland crops in the PDM was continuously increased by the rate of 15.1% on sorghum, 15.4% foxtail millet, 53.6% proso millet, 49.6% soybean and 47.9% adzuki bean as compared in the ODM. The capacity for tolerance by excessive soil water based on yield of each upland crop in the poorly drained sloping paddy fields was the order of sorghum, soybean,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adzuki bean. Therefore, Sorghum is relatively tolerant to excessive soil water conditions and, may be grown successfully in converted paddy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