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land

검색결과 1,341건 처리시간 0.026초

야산개발농지의 기계화 작업효율 증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Farm Tractor and Power Tiller on the Inclined Upland)

  • 최규홍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925-2933
    • /
    • 1973
  • For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farm machines on the inclined uqland, work performance in plowing, harrowing and terracing and critical workable gradients were tested on three farm machines which are 47 ps-farm tractor, 8 ps-power tiller and 5 ps-power till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teeper the slope of the upland was the more inefficient the work performance of all machines was. 2) The critical workable gradients of the machines were proved as 14 for 47 ps-farm tractor, 12 for 8 ps-power tiller and 10 for 5ps-power tiller. 3) Plowing in the way of turning the furrow slices against the slope in order to build up terraces, the critical workable gradients were 8 for 47 ps-farm tractor and 8 ps-power tiller and 6 for 5 ps-power tiller. 4) Two-way plow is recommended for plowing with farm tractor on inclined upland, and high lug of tire would be good to prevent the slippage, and side valance-weight should be attached to power tiller for preventing its overturning.

  • PDF

남부권 전작목(田作目)의 작부유형별 소득분석 (Income Analysis on upland cropping system in Southern part)

  • 김충실;이현근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6권
    • /
    • pp.1-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some common upland cropping system in Youngnam and Honam region and to analyze it's income by the syste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common cropping systems consisting of "sweet potato+barely", "corn+barely" and "bean+barely". Second, the highest earning system in Youngnam region is a "sweet potato+barely" (934,544won/10a) and that in Honam region is a "sweet potato+barely"(1,210,523won/10a) respectively. Third, in the differences of the cropping system's income level between Youngnam and Honam region, the former is higher than the latter in "corn+barely" and "bean+barely" respectively.

  • PDF

Varietal Variation in Biomass Productio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of Maize Grown under Lowland Condition

  • Youngchul Yoo;Dae-Woo L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9-99
    • /
    • 202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the excellent silage maize varieties customized for paddy cultivation that is vulnerable to lodging and waterlogging in the central and region. Ten varieties (Kwangpyeongok, P3394, etc.) were sown with 3 replicates in Suwon, Gyeonggi-do. It was sown twice in April and June of each year in 2020-2021 and harvested during the yellow ripe stage suitable for silage. The number of days to flowering stage in lowland condition increased up to 11 days compared to that in upland condition. In April seedling, varieties that showed a relatively small decrease in biomass production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under lowland condition compared to upland condition were Gangdaok and Kwangpyeongok in 2020, and Dacheongok, Gangdaok and Kwangpyeongok in 2021. Kwangpyeongok, Gangdaok, and Sinhwangok showed relatively higher biomass production and TDN than the other varieties under lowland compared to upland in both 2020 and 2021. Our results suggest that Kwangpyeongok and Gangdaok are suitable silage maize varieties for lowland cultivation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 PDF

전북지역 밭 토양의 지형별 물리화학적 특성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s betwee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opography in Jeonbuk Upland Fields)

  • 안병구;이제형;김갑철;최동칠;이진호;한성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68-274
    • /
    • 2010
  • 전북지역 밭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150개 지점, 물리적 특성은 84개 지점에 대하여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화학적 특성 조사지역의 지형분포는 곡간 및 선상지 (34.7%), 구릉 및 산악지 (18.7%), 산록경사지 (20.0%), 하성평탄지 (14.0%), 홍적대지 (8.0%) 및 하해혼성평탄지 (4.6%)로 나타났다. 물리적 특성인 토성은 사양토, 사질식양토, 식양토, 식토로 구성되어 있었고 사질식양토가 모든 지형에 고르게 분포하였고, 모든 조사지점의 경사도는 최적조건 (0~15%)을 보였다. 지형별 용적밀도는 1.19~1.24 Mg $m^{-3}$이었고, 경도는 12.1~13.9 mm이었다. 지형에 관계없이 밭 토양의 화학성인 pH는 37.3%, 유기물함량 42.7%, EC는 93.0%가 적정수준이었지만, 유효인산함량은 42.7%, 치환성 K는 64.0%, Ca은 47.3%, Mg은 48.7%가 적정수준 이상이었다. 토양 pH는 하해혼성평탄지를 제외하고 pH 5.9~6.1 수준이었고, 유기물함량은 산록경사지에서 20.6 g $kg^{-1}$로 가장 높았다. 유효인산은 하해혼성평탄지를 제외하고 534~739 mg $kg^{-1}$이었고, 치환성 K는 홍적대지에서 1.28 $cmol_c\;kg^{-1}$로 가장 높았고, Ca은 하해혼성평탄지와 홍적대지에서 각각 3.79와 4.9 $cmol_c\;kg^{-1}$로 낮았지만, Mg은 지형별로 차이가 없었다. 한편 CEC는 하해혼성평탄지를 제외하고 10.4~10.9 $cmol_c\;kg^{-1}$ 수준을 보였다. 지형별 중금속함량은 토양오염우려기준보다 훨씬 낮은 수준으로 전북지역 밭 토양은 안전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답전윤환(畓田輪換) 체계(體系)에 따른 토양(土壤)의 층위별(層位別) 양분분포(養分分布) 및 양분수지(養分收支) (Effects of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on Nutrient Balance and Distribution in Soil Profile)

  • 안상배;본송휘구;이상은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8-104
    • /
    • 1994
  • 1989~'93년(年)까지 5년(年)동안 답전수환시(畓田輸換時)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토양(土壤) 층위별(層位別) 양분분포(養分分布)와 양분수지(養分收支)를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아래와 같았다. 1. 질산태질소(窒酸態室素), 치환성가리(置換性加里) 및 유효인산(有效燐酸) 함량(含量)과 EC는 표층(表層) 0~20cm에서 약간 높았을뿐 토층하부(土層下部)로 이동집적(移動集積)이 적었고,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른 표토중(表土中) 함량은 전이환(田轉換) 감자-배추>2년 수환(輸換) 감자-배추>전전환(田轉換) 대두(大豆)>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 순(順)으로 높아 처리별(處理別) 시비량을 반영(反影)하였다. 2. 치환성(置換性) 석회(石灰)와 고토(苦土) 함량 및 pH는 심토(深土)로 갈수록 높아졌고, 이러한 경향은 특히, 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에서 현저(顯著)하였다. 작부체계(作付體系)에 따라서는 전(全) 토층(土層)에서 전전환(田轉換) 대두(大豆)>전전환(田轉換) 감자배추>2년(年) 윤환(輪換) 감자-배추>수도연작구(水稻連作區) 순(順)이었고 처리별 식물체 흡수량(吸收量) 차이가 크게 영향하였다. 3. 전전환(田轉換) 감자-배추구(區)에서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의 양분수지(養分收支)는 투입량(投入量)보다 탈취량(奪取量)(흡수량)이 각각(各各) 21.5, 26.8, 9.2kg/10a 많았으나 투입량(投入量)중 화학비료량(化學肥料量)은 질소(室素)와 가리(加里)의 경우 탈취량(奪取量)에 비해 적었던 반면 인산(燐酸)은 많았다. 4. 전전환(田轉換) 대두구(大豆區)의 양분수지(養分收支)는 질소(窒素), 인산(燐酸), 가리(加里) 각각(各各) -12.8, 4.1, -1.0kg/10a로 질소(窒素)와 가리(加里)의 투입량(投入量)이 탈취량(奪取量)보다 적었으나 질소(窒素)는 근류균(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으로 결핍되지 않았던 반면 가리(加里)는 생육중기(生育中期)에 결핍증상(缺乏症狀)을 나타내었다.

  • PDF

팥 품종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변이 (Variation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mall Redbean Cultivars)

  • 성정숙;송석보;김지영;안연주;박재은;최명은;추지호;하태정;한상익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3호
    • /
    • pp.231-240
    • /
    • 2020
  • 아리리 등 최근 육성된 팥 품종들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특성을 검토하여 보다 다양한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 검구슬과 홍진의 종실이 길이와 폭이 컸으며 충주팥은 두께가 두꺼웠고, 백립중은 흰구슬(18.81 g) 및 홍진(17.48 g)이 충주팥보다 높았다. 경도는 14,341.25 gf인 충주팥보다 모든 품종이 낮은 값을 보여 앙금 제조 등에 용이한 형질을 보였다. 2. 총유리당은 22.49 - 31.07 mg/g로 분포하였으며 연두채, 검구슬, 흰나래, 홍언 및 흰구슬이 충주팥(25.32 mg/g)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아밀로오스는 13.53 - 15.67%로 분포하였고, 연두채, 홍언 및 검구슬이 충주팥(15.24%)에 비해 높았다. 조단백질은 21.40 - 23.30%로 분포하였으며, 흰구슬을 제외한 나머지 품종들이 충주팥에 비해 낮은 함량을 보였다. 3.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0.52 - 4.28 mg GAE·g-1와 0.12 - 2.62 mg CAE·g-1로 분포하였다. 홍언, 검구슬, 흰구슬, 연두채 등이 충주팥에 비해 항산화성분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높은 편이었다. 4. 팥의 항산화성분과 활성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조단백질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또한, 주성분 분석결과, 제1주성분인 항산화성분 및 활성과 제2주성분인 조단백질 및 백립중이 변이값 해석에 대해 기여도가 높았다. 5. 팥 품종들의 평가를 바탕으로 cluster를 분석한 결과, 흰나래, 홍언이 각각 분리되었고 검구슬과 연두채 그룹 및 홍진, 아라리, 충주팥, 흰구슬 그룹 등 총 4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흰나래 그룹은 총유리당 및 아밀로오스 값이 높은 반면, 홍언 그룹은 백립중과 항산화성분 및 활성이 높았다.

유기농 풋옥수수와 수수의 답전윤환밭과 연속밭에서 나방류 해충들의 발생 및 수량 특성 (Occurrence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Lepidopteran Insect Pests in Green Maizes and Sorghum Crops between Paddy-upland Rotation and Continuing Upland Fields)

  • 조형찬;김민준;윤성탁;이희권;김순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09-425
    • /
    • 2018
  • 유기농 답전윤환밭 및 연속밭의 옥수수 8품종(얼룩찰1호, 흑점2호, 일미찰, 흑진주찰, 찰옥4호, 미백2호, 대학찰)과 수수 7품종(황금찰, 앉은뱅이수수, 목탁수수, 소담찰, DS202, 남풍찰, 동안메)에서 나방류 발생 및 수량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명나방 성충은 년 3회 최성기를 보였고 담배나방류 성충들은 3-4회 최성기를 보였다. 또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옥수수 및 수수의 잎과 줄기 피해율은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수수의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8월 중순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미흑찰, 얼룩찰1호, 일미찰, 흑점2호, 미백2호 등 옥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윤환밭과 연속밭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고, DS202 품종(83%와 89%)을 제외한 나머지 6종 수수 품종들의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율은 연속밭에서 높거나 비슷하였다(50-92%). 옥수수의 나방 유충에 의한 이삭 피해율은 5%(찰옥4호)에서 38%(흑진주찰)였는데, 대학찰 품종은 답전윤환밭(33%)에서 연속밭(14%)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피해를 입었다. 답전윤환 수수 포장에서 소담찰(94%)과 DS202(82%)가 높은 피해율을 보였고, 연속밭에서는 7개 수수 품종 모두 78% 이상의 피해율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답전윤환밭 및 연속밭의 옥수수와 수수 품종들에 대한 조명나방 유충에 의한 평균 피해율과 평균 침입공수 간에는 각 정의 상관관계(옥수수 r=0.69윤환밭, 0.95연속밭; 수수 r=0.93윤환밭, 0.97연속밭)를 보였다. 또한 수확 후, 유기농 윤환밭 및 연속밭 포장에서 나방 유충에 의한 옥수수 8품종들과 수수 7품종들의 평균 피해율과 이삭무게 또는 천립중(g) 간에 부의 상관관계(옥수수 r=-0.38윤환밭, -0.49연속밭; 수수 r=-0.70윤환밭, -0.57연속밭)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는 유기농 옥수수 및 수수 재배포장에서 나방류의 관리가 수량 확보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Soil Organic Carbon of Soil Series from 2003 to 2010 in Korea

  • Kim, Yoo Hak;Kang, Seong Soo;Kim, Myung Sook;Kong, Myung Suk;Choi, Soon Kun;Oh, Taek Keun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23-640
    • /
    • 2013
  • Soil organic carbon (SOC) of soil series is necessary to calculate soil C sequestration due to IPCC default categorized by climate regions and by soil types. The 3,400 thousand data were downloaded from agricultural soil information system and analyzed to get averages of soil order, soil series, and textual family for the three different soil management practices in Korea. The SOC content was $13.3{\pm}5.38g\;kg^{-1}$ in paddy field, $13.7{\pm}7.19g\;kg^{-1}$ in upland field, and $15.2{\pm}8.22g\;kg^{-1}$ in orchard soil, respectively. As SOC in orchard was 10% greater than that in upland, orchard must be managed with applying compost. The SOCs of inceptisols, which was largely distributed in Korea, were $13.6{\pm}5.48g\;kg^{-1}$ in paddy field, $14.1{\pm}7.38g\;kg^{-1}$ in upland field, and $15.3{\pm}8.20g\;kg^{-1}$ in orchard soil, respectively. The SOCs of alfisols were $13.6{\pm}4.96g\;kg^{-1}$ in paddy field, $13.7{\pm}6.99g\;kg^{-1}$ in upland field, and $15.6{\pm}8.59g\;kg^{-1}$ in orchard soil, respectively. The SOCs of entisols were $11.7{\pm}5.16g\;kg^{-1}$ in paddy field, $12.8{\pm}7.05g\;kg^{-1}$ in upland field, and $13.7{\pm}7.81g\;kg^{-1}$ in orchard soil, respectively. The SOCs of ultisols were $12.7{\pm}4.79g\;kg^{-1}$ in paddy field, $12.7{\pm}6.22g\;kg^{-1}$ in upland field, and $16.3{\pm}8.49g\;kg^{-1}$ in orchard soil, respectively. The fact that soils containing greater clay content in textual family had also more SOC content revealed that SOC could be also dependent on some soil properties as well as soil order. Because SOC differences among soil series representing same textual family were greater than those among textual family, SOC differences should be mainly affected by management practices such as compost application.

전과 답에서의 콩 생육특성과 수량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Potentials of Soybeans in Upland and Paddy Field)

  • 황영현;박상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36-342
    • /
    • 1993
  • 1. 개화성기까지의 지상부와 지하부 대부분 생육형질은 전에서 보다 답에서 더 큰값을 보였으나, 근류수는 다에서 현저히 작아 윤환답 콩재배에서는 근류접종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어 진다. 2. 조파 단작(4월 20일 파종)으로 윤환답에 콩을 재배하면, 만파재배시 양저바이러스(SMV-N)에 저항성을 보였던 대부분 현재의 장려품종들이 심하게 이병되었다. 그러나 경미한 모자이크바이러스(SMV) 이병정도를 보이는 일부 장려품종(장백콩과 은하콩 등)과 대부분의 도입품종들은 양저바이러스에 전연 이병이 되지 않고 대부분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3. 콩의 토양별 평균 종실수량은 전보다 답에서 높았으나, 동일 토양내의 파종시기 또는 동일 파종기내의 토양간 평균 수종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 Ha당 4톤 이상의 수량을 보인 품종은 답에서는 Williams79, 남해콩, Union 및 SS77053이었고, 전에서는 Union뿐이었다. 공시품종중 장엽콩과 단엽콩은 답의 모든 파종기에서 종실수량이 ha당 3톤 이상이고 변이계수가 10% 이하로 안정 다수이었다. 5. 답전윤환답의 조파에서 다수성인 품종들은 황금콩에 비하여 경장이 크고 주경전수가 많으며 분지수가 SS77053을 제외하고는 적은 일반적으로 초기발아 및 입묘에 유리한 중소입종들로 내병성, 특히 양저 바이러스에 저항성이 높은것들이었다.

  • PDF

밭작물별 가축분 소화능 계량화 평가 (Estimation on ability of livestock manure digestion for upland crops)

  • 현병근;윤홍배;권순익;정광용;고문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5-172
    • /
    • 2001
  • 가축사육으로 인해 매년 막대한 가축분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처리방안 또한 여러 가지로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밭농사를 영위함으로 인해 질소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가축분(돈분, 계분)의 양을 소화능으로 계산해 보았으며, 그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가축분 발생량은 2000년도 기준으로 볼 때 년간 돈분 4,592,375톤, 계분 4,488,166톤이며, 이것을 질소 비료성분으로 환산할 경우, 돈분은 41,911톤, 계분 76,222톤의 질소비료성분에 해당하는 양이다. 2. 가축분 소화능이란 "토양에 가축분을 시용했을 때 토양자체가 역기능을 발휘하기 바로 직전까지의 최대소화량"이라고 정의 하였으며, 밭토양의 가축분 소화능계산 방법은 아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밭토양의 질소비료 대체 가축분 소화능(kg/10a) = 작물별 질소 표준시비량 / [(가축분중 T-N함량)${\times}$(가축분의 질소비효가용화율)] 3. 밭토양의 년간 질소비료 대체가능 가축분 소화능은 돈분 1,142.gkg/10a, 계분540.9 kg/10a으로 평가되었다. 4. 밭농사의 가축분 소화능의 작목별 기여도는 채소 > 과수 > 잡곡 > 맥류 > 서류 )> 두류 > 특작 > 초지 > 뽕밭 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