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timation on ability of livestock manure digestion for upland crops

밭작물별 가축분 소화능 계량화 평가

  • Published : 2001.06.30

Abstract

Owing to raising number of livestock, we have a problem to solve disposal of livestock manure. We know that soil have the digestion ability of livestock manure as one of multifunctionality. I carried out to investigate of livestock manure digestion (especially pig and chicken manure) that is considered as nitrogen fertilizer in upland crop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mount of pig manure was(1999) 4,592,375 tons/year, and chicken manure was 4,488,166 tons/year and equivalent to 41,912 tons N/year and 76,223 tons N/year, respectively. 2. The definition of the digestion ability of livestock manure is as the maximum application amount of livestock manure without injuring soil and plant. And the calculation model of digestion ability of livestock manure(ALMD) is follows: ALMD = amount of nitrogen requirement per each upland crop / {(total nitrogen contents in livestock manure) ${\times}$ (nitrogen fertilizer efficiency of livestock manure)} 3. The amount of ability of pig and chicken manure for upland crops (dry based) were 1,142.9kg/10a and 540.1kg/10a, respectively. 4. The order of amount of digestion ability of livestock manure on upland were vegetables > orchards > miscellaneous grains(corn) > barley > potatoes > pulses > oil seeds & special crops ) fodder crops) mulberry.

가축사육으로 인해 매년 막대한 가축분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처리방안 또한 여러 가지로 모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밭농사를 영위함으로 인해 질소비료를 대체할 수 있는 가축분(돈분, 계분)의 양을 소화능으로 계산해 보았으며, 그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가축분 발생량은 2000년도 기준으로 볼 때 년간 돈분 4,592,375톤, 계분 4,488,166톤이며, 이것을 질소 비료성분으로 환산할 경우, 돈분은 41,911톤, 계분 76,222톤의 질소비료성분에 해당하는 양이다. 2. 가축분 소화능이란 "토양에 가축분을 시용했을 때 토양자체가 역기능을 발휘하기 바로 직전까지의 최대소화량"이라고 정의 하였으며, 밭토양의 가축분 소화능계산 방법은 아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밭토양의 질소비료 대체 가축분 소화능(kg/10a) = 작물별 질소 표준시비량 / [(가축분중 T-N함량)${\times}$(가축분의 질소비효가용화율)] 3. 밭토양의 년간 질소비료 대체가능 가축분 소화능은 돈분 1,142.gkg/10a, 계분540.9 kg/10a으로 평가되었다. 4. 밭농사의 가축분 소화능의 작목별 기여도는 채소 > 과수 > 잡곡 > 맥류 > 서류 )> 두류 > 특작 > 초지 > 뽕밭 순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