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observed heterogeneity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9초

선택실험법 자료에서의 선호이질성 분석을 위한 혼합로짓모형 및 잠재계층모형의 활용 (Using Mixed Logit Model and Latent Class Model to Analyze Preference Heterogeneity in Choice Experiment Data)

  • 유병국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1권4호
    • /
    • pp.921-945
    • /
    • 2012
  • 조건부 로짓(Conditional Logit: CL)모형은 모형추정 및 결과해석이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널리 사용되는 반면에 응답자의 선호이질성(preference heterogeneity)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지배적인 방식으로 제시되고 있는 두개의 모형인 혼합로짓(Mixed Logit; ML)모형과 잠재계층모형(Latent Class Model; LCM)을 사용하여 우리나라 보령댐 주변 습지보호에 있어서 응답자간 선호이질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6대광역시와 보령시 표본에 대하여 응답자별 이질성의 존재여부를 검토한 결과 두 지역간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보령시의 경우에는 응답자간 선호이질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데 반하여 6대광역시의 경우 응답자간 선호이질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6대광역시의 경우에는 모수추정을 위해 CL 모형의 사용이 가능하나 보령시의 경우에는 선호이질성을 반영하기 위해 ML모형이나 LCM에 근거한 모수추정이 요구된다. 선호이질성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교차항이 있는 혼합로짓모형과 잠재계층모형을 고려할 수 있다. 교차항이 있는 혼합로짓모형의 경우 관찰되지 않은 개인단위의 이질성을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두 모형을 비교한 결과 LCM이 교차항이 있는 ML모형이 제공하지 않는 추가적인 정보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응답자간 선호이질성은 혼합로짓모형에 의한 개인적인 수준보다 잠재계층모형에 의한 계층단위에서 더 잘 설명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진술선호에 미치는 잠재 심리변수의 영향: 초이스모델링에서 심리변수의 역할 (The Impact of Latent Attitudinal Variables on Stated Preferences : What Attitudinal Variables Can Do for Choice Modelling)

  • 최성록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6권3호
    • /
    • pp.701-721
    • /
    • 2007
  • 진술선호법(stated preference methods)을 이용하는 비시장가치 연구의 핵심과제는 응답자 이질성(heterogeneity)에 대한 대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기존 연구에서 이를 위해 사용되는 두 가지 접근법은 (1) 사회경제변수와 같은 응답자 특성변수를 간접효용함수에 포함시키는 것과 (2) 변수 추정치의 분산을 허용하는 mixed legit이나 probit과 같은 일반화된 모델을 적용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심리태도변수(attitudinal variables)를 특성변수로서 사용하는 세 번째 접근법을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심리태도 변수는 초이스 모델링 연구에서 설명변수와 분할 지표변수(segmentation criteria)로 적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심리태도변수는 모델의 신뢰성과 속성 변수 추정치뿐만이 아니라 지불의사액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제조업 기업의 기술혁신 요인 및 기술파급효과 분석: 가산자료 모형을 이용하여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pillover Effects: Using Count Data Model)

  • 장정인;유승훈;곽승준
    • 기술혁신연구
    • /
    • 제14권3호
    • /
    • pp.23-42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output of a manufacturing firm's innovative activity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and spillover effects using a count data model. This paper attempted a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unobserved heterogeneity.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ed that Firm size, R&D intensity, technical network activity, and online business performanc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Moreover, there are significantly positive spillover effects in the same industry sector.

  • PDF

Empirical Study of Dynamic Corporate Governance: New Evidence from Chinese-listed SMEs

  • Shao, Lin;Yu, Xiaohong
    • 산경연구논집
    • /
    • 제6권4호
    • /
    • pp.27-37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possibl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firm performance using a panel of 4,900 Chinese-listed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from 1999 to 2012.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address this issue through a dynamic panel model using a method of moments (GMM) technique and dynamic simultaneous equations to alleviate the potential endogenous problem: unobserved heterogeneity, simultaneity, and dynamic endogeneity. Results - Under the framework of dynamic endogeneity, firm performance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ownership, but not vice versa. Ownership and performance can be explained by their owned lagged values, respectively. Moreover, intertemporal endogeneity exists among ownership, investment, and performan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system dynamic equations, which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 among ownership structure, investment, and firm performance is dynamic by nature. Conclusions - This study also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dynamic corporate governance by providing further empirical evidence from the largest capital market in the Asian region.

기초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Effect of Basic Pension on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 김혜연
    • 한국노년학
    • /
    • 제40권1호
    • /
    • pp.1-21
    • /
    • 2020
  • 본 연구는 기초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대표적인 노후소득보장제도인 기초연금제도의 효과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독립변수의 관측되지 않는 이질성(unobserved heterogeneity)을 통제하기 위해 패널 자료를 이용한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자료로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고령화연구패널자료(KLoSA)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연금 비수급자의 삶의 질이 수급자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기초연금 수급자가 비수급자에 비해 주관적 삶의 질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기초연금 수급자의 주관적 삶의 질은 경제적 만족도, 배우자 유무, 자녀의 경제적 지원,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성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 소득계층별 분석 결과 기초연금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는 차이가 없었고, 소득 상위 분위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우선, 기초연금제도 비수급자의 경우 경제적 상태 뿐 아니라 건강을 포함한 전반적인 삶의 질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 기초연금 수급자로 대표되는 저소득 취약계층 노인들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기초연금은 낮은 급여수준에도 불구하고 고령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빈곤문제 해소와 궁극적으로 노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연금제도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핵심 정책대상인 저소득계층에게 실질적인 효과가 미칠 수 있도록 기초연금제도의 급여수준 인상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Random Parameter를 이용한 지방부 무신호교차로 교통사고 예측모형개발 (A Development of Traffic Accident Prediction Model at Rural Unsignalized Intersections Using Random Parameter)

  • 이규훈;오주택;박정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4-75
    • /
    • 2017
  • 기존의 고정모수를 이용한 가산모형은 관측되지 않은 이질성을 고려할 수 없으며, 계수값의 표준오차가 과소추정됨에 따라 과도한 t-값이 도출되어 모형의 신뢰성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무신호교차로의 경우 자료 수집의 어려움과 정확한 분석과정의 통계적 한계로 신호교차로에 비해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Random Parameter를 이용한 가산모형을 구축하여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지방부 무신호교차로를 대상으로 하여 기존 연구들과의 차별성을 두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총 7개의 변수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고, 이 중 2개의 변수(횡단보도 유무, 제한 속도)가 확률적 변수로 나타났다.

지역의 산업다양성과 지역경기변동의 관계 분석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Regional Industrial Diversity and Regional Business Cycle)

  • 우영진;김의준
    • 지역연구
    • /
    • 제33권3호
    • /
    • pp.3-1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산업다양성이 지역의 경기변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지역의 경기변동은 고용시장과 생산활동의 측면에서 측정하였고 2005년 1월부터 2016년 2월을 분석기간으로 설정하였다. 우리나라의 주요 항만도시를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지역의 특성을 통제하기 위하여 패널 벡터오차수정모형의 그룹평균 추정량과 통합그룹평균 추정량을 사용하였다. 산업의 구성이 다양한 지역에서는 단기적으로 실업률의 변동의 폭이 작았지만, 제조업 생산지수의 변동성은 장기적인 경우에만 낮게 나타났다.

Corporate Governance and Capital Structure Decisions: Evidence from Chinese Listed Companies

  • VIJAYAKUMARAN, Sunitha;VIJAYAKUMARAN, Ratna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3호
    • /
    • pp.67-79
    • /
    • 2019
  •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on capital structure decisions based on a large panel of Chinese listed firms. Using the system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GMM) estimator to control for unobserved heterogeneity, endogeneity, and persistency in capital structure decisions, we document that the ownership structur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leverage ratios. More specially, we find that managerial ownership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firms' leverage, consistent with the incentive alignment hypothesis. We also find that managerial ownership only affects the leverage decisions of private firms in the post-2005 split share reform period. State ownership negatively influence leverage decisions implying that SOEs may face fewer restrictions in equity issuance and may receive favourable treatments when applying for seasoned equity ¿nancing, thus use less debt. Furthermore, our results show that while foreign ownership negatively influences leverage decisions, legal person shareholding positively influences firms' leverage decisions only for state controlled firms. We also find that the board structure variables (board size and the proportion of independent directors) do not influence firms' capital structure deci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recent ownership reforms have been successful in terms of providing incentive to managers through managerial shareholdings to take risky financial choices.

Debt Maturity and the Effects of Growth Opportunities and Liquidity Risk on Leverage: Evidence from Chinese Listed Companies

  • VIJAYAKUMARAN, Sunitha;VIJAYAKUMARAN, Ratnam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3호
    • /
    • pp.27-40
    • /
    • 2019
  •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growth opportunities, debt maturity and liquidity risk on leverage, making use of a large panel of Chinese listed firms. Research on capital structure has broadened its scope from a single capital structure decision (the debt/equity choice) to various attributes of the debt in firms' capital structure. We use the system Generalized Method of Moments estimator to control for unobserved heterogeneity and the potential endogeneity of regressors. We fin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opportunities and leverage. Further, we find that while the proportion of short-term debt attenuates the negative effect of growth opportunities on leverage, it negatively affects leverage as predicted by the liquidity risk hypothesis. When we distinguish between state owned firms and private controlled firms, we find evidence that these effects are only relevant to private controlled firms. However, our analysis indicates that the economic implication of liquidity risk effect is much lower for Chinese firms than that observed in the literature for US firms. Our study suggests that these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by differences i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firms operate. This finding related to Diamond's (1991) liquidity risk hypothesis extends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quidity risk and the debt maturity choice.

Do Firm and Bank Level Characteristics Matter for Lending to Firms during the Financial Crisis?

  • Lee, Mihye
    • 산경연구논집
    • /
    • 제9권5호
    • /
    • pp.37-46
    • /
    • 2018
  • Purpose - This paper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bank lending to firms during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using firm- and bank-level data to answer the questions what caused the contraction of lending to firms despite the loosening monetary policy during this crisis period.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onetary policy that followed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n firms borrowing. We use a dynamic panel model to address how firms lending respond to monetary policy. The data are obtained from CRETOP and we consider the manufacturing sector for the analysis to control for unobserved heterogeneity such as industry-specific shocks. Results - The findings from the empirical analysis suggest that both bank- and firm-level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 determinants of bank lending. Especially, we find that corporate risk, measured by default risk, is one of the key factors that led to a decline in lending during the crisis. Conclusions - This paper shows that companies borrow more from liquid banks, and high bank capital can also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a firm's borrowing from banks. Especially, the results confirm that the default rate measured at the firm level has increased during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hich implies that default risk interplays with other firm and bank-leve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