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Effect of Basic Pension on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기초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Kim, Hyeyoun (Kyung Hee Cyber University, Dept. of Social Welfare)
  • 김혜연 (경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9.10.31
  • Accepted : 2020.01.03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at basic pension entitlement affects the subjective well-being(SWB) of the elderly. For controlling unobserved heterogeneity, we used fixed effects model for longitudinal data. The data used for this study is KLoSA from 2006 to 2016.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SWB of non-basic pensioners was higher than for basic pension beneficiaries. Second, when the demographic variables were controlled, SWB of the basic pension recipients was higher then that of non-beneficiaries. Third, the factors affecting SWB were economic satisfaction, marital status, family financial support, employment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daily life restrictions, gender, and age. Fourth, the effect of basic pension on SWB was positive at the lowest income quartil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basic pension syst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WB of elderly despite the low benefit lev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basic pension system to solve poverty problem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aged. Also, various aspects of social support for the low-income vulnerable elderly are needed. Lastly, It was suggested that the benefit level of the basic pension should be raised to have a substantial effect on the low-income class, which is a key policy subject.

본 연구는 기초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대표적인 노후소득보장제도인 기초연금제도의 효과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독립변수의 관측되지 않는 이질성(unobserved heterogeneity)을 통제하기 위해 패널 자료를 이용한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자료로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고령화연구패널자료(KLoSA)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연금 비수급자의 삶의 질이 수급자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기초연금 수급자가 비수급자에 비해 주관적 삶의 질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기초연금 수급자의 주관적 삶의 질은 경제적 만족도, 배우자 유무, 자녀의 경제적 지원,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성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 소득계층별 분석 결과 기초연금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는 차이가 없었고, 소득 상위 분위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우선, 기초연금제도 비수급자의 경우 경제적 상태 뿐 아니라 건강을 포함한 전반적인 삶의 질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 기초연금 수급자로 대표되는 저소득 취약계층 노인들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기초연금은 낮은 급여수준에도 불구하고 고령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빈곤문제 해소와 궁극적으로 노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연금제도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핵심 정책대상인 저소득계층에게 실질적인 효과가 미칠 수 있도록 기초연금제도의 급여수준 인상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호, 최옥금. (2010), 기초노령연금의 탈빈곤 효과 및 계층별 소득보장효과 분석. 한국사회정책, 17(2), 43-71. doi.org/10.17000/kspr.17.2.201008.43
  2. 강소랑, 문상호. (2013). 기초노령연금제도가 고령자의 경제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3(4), 59-85. https://doi.org/10.23036/KAPAE.2013.23.4.003
  3. 권중돈, 조주연.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4. 권혁창, 이은영. (2012). 국민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43(2), 61-85. doi.org/10.16999/kasws.2012.43.2.61
  5. 한국고용정보원. (2018). 2018년 고령화연구패널 이용자 가이드.
  6. 금현섭, 백승주. (2014). 공적연금, 사적이전 그리고 주관적 후생: 소득안정화 역할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2(1), 145-175.
  7. 김대환, 류건식, 이상우. (2011). 중.고령자 삶의 만족도 결정 요인: 공적연금과 사적연금을 중심으로. 리스크관리연구, 22(1), 97-123. doi.org/10.21480/tjrm.22.1.201106.005
  8. 김성아, 정해식. (2019). 연령대별 삶의 만족 영향요인 분석과 정책 과제. 보건복지포럼 통권 270호, 95-104.
  9. 김수봉. (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47, 95-111. doi.org/10.21194/kjgsw..47.201003.95
  10. 김재호, 정주연. (2012). 기초노령연금 도입에 따른 소득불평등과 양극화 변화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1(1), 421-446.
  11. 김희삼. (2010). 기초노령연금의 빈곤감소 효과와 행태적 반응 효과. 국민노후보장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181-220.
  12. 박기남. (2004).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 24(3), 13-29.
  13. 박순미, 손지아. (2016). 노인의 소득수준별 생활만족도 영향요인 비교연구. 보건사회연구, 36(4), 97-124. doi.org/10.15709/hswr.2016.36.4.97
  14. 송현주. (2018). 중고령자의 공적연금 수급과 삶의 질.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대회, 2018. 6., 222-243.
  15. 석상훈. (2011). 공적연금이 노후의 경제적 삶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국민연금포럼, 43, 4-9.
  16. 심수진. (2018). 노인 인구집단별 삶의 만족도 분석. 통계플러스, 2018년 겨울호, 30-46.
  17. 우창빈. (2013). 행복을 추구하는 행복정책은 가능한가?: 행복을 목표로 하는 공공정책의 이론, 논란, 가능성과 조건들. 행정논총, 51(2), 283-318.
  18. 유재남. (2011). 중고령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제3회 국민노후보장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373-396.
  19. 윤희정, 신자은. (2015).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공적이전소득을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5(4), 473-97. 32-461. doi.org/10.15709/hswr.2015.35.4.432
  20. 이승신. (2012). 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5(4), 43-61. doi.org/10.17053/jcc.2012.15.4.003
  21. 이승호, 구인회, 손병돈. (2016). 기초연금의 확대가 노인가구의 소득, 지출, 빈곤에 미친 영향: 이중차이 방법의 적용. 2016 사회정책연합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467-489.
  22. 이정화, 문상호. (2014) 기초연금이 고령자의 소득에 미치는 영향 - 성향점수매칭(PSM) 이중차이(DID)를 활용한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23(3), 411-440.
  23. 이채정, 탁현우. (2018). 기초연금 도입이 노인가구의 빈곤격차에 미친 영향 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2(2), 25-52.
  24. 이현송. (2000). 소득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23(1), 91-117.
  25. 장항채. (2018). 소득유형과 고령자 삶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20(4), 23-46.
  26. 전미애, 김정현. (2017). 노인의 소득원별 소득비중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2(1), 283-303. doi.org/10.21194/kjgsw.72.1.201703.283
  27. 정인영, 김경아, 조영은, 이다미. (2014). 국민연금 사각지대 완화를 위한 지역가입자 관리 개선방안 연구. 국민연금연구원.
  28. 진정란, 김원섭. (2018). 기초연금이 노인세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연금연구, 8(2), 1-27.
  29. 탁현우. (2016). 기초연금제도 평가. 국회예산정책처.
  30. 하춘광. (2007). 공적연금수급노인과 일반노인의 삶의 만족도 관련요인 비교연구. 사회과학연구, 23(3), 1-21.
  31. 허은진. (2017). 노년층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 활동적 노화를 매개변수로. GRI 연구논총, 19(2), 119-150.
  32. 기초연금 홈페이지, http://basicpension.mohw.go.kr
  33.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kosis.kr
  34. Allison, P.D. (2005). Fixed effects regression methods for longitudinal data using SAS. SAS Press.
  35. Andrews, F.M. & Withey, S.B. (1976). Social indn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Platinum Press, New York.
  36. Bryk, A.S. & Raundenbusch, S.W. (1992).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 and data analysis methods. Newbury Park, CA:Sage.
  37. Campbell, A., Converse, P.E. & Rogers, W.L. (1976). The quality of American life. Russell Sage. New York.
  38.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ological Bulletin, 95, 542-575.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39. Diener, E., Horowitz, J. & Emmons, R.A. (1985). Happiness of the Very Wealthy. Social Indicators Research, 16, 263-274. doi.org/10.1007/bf00415126
  40. Diener, E., Sandvik, E., Seidlitz, L. & Diener, M.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Relative or Absolut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8, 195-223. doi.org/10.1007/bf01079018
  41. Diener, E. and Suh, E. (1997). Measuring Quality of Life: Economic, Social, and Subjective indicators. Social Indicators Research, 40: 189-216. https://doi.org/10.1023/A:1006859511756
  42. Diener, E., Suh, E. R.M., Lucas, Richard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doi.org/10.1037/0033-2909.125.2.276
  43. Diener E. & Biswas-Diener, R. (2001). Will Money Increase Subjective Well-being?: A Literature Review and Guide to Needed Research. Social Indicators Research, 57, 119-169. https://doi.org/10.1023/A:1014411319119
  44. Diener. E. (2006). Guidelines for National Indicator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I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 397-404. doi.org/10.1007/s10902-006-9000-y
  45. Easterlin, R.A. (1974). Does Economic Growth Improve the Human Lot? Some Empirical Evidence. In P.A. David & M.W. Reder (Eds.),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pp. 89-125). New-York: Academic Press.
  46. Easterlin, R.A., (2001). Income and Happiness: Toward a Unified Theory. The Economic Journal, 111(473), 465-484. doi.org/10.1111/1468-0297.00646
  47. Helliwell, J. (2008).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development.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Series. doi.org/10.3386/w14507
  48. Ju, Y.J., Han, K-T, Lee, H. J., Lee, J.E., Choi, J.W., Hyun, I.S. & Park, E-C. 2017. Quality of Life and National Pension Receipt after Retirement among Older Adults. Geriatr Gerontol Int., 2017, 17, 1205-1213. doi.org/10.1111/ggi.12846
  49. Myers, D.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https://doi.org/10.1111/j.1467-9280.1995.tb00298.x
  50. Smith. (2001). Well-being and Health from Age 70 to 100: Finding from the Berlin Aging Study. European Review, 9(4), 461-477. doi.org/10.1017/s1062798701000424
  51. Smith, J., Borchelt, M., Maier, H. & Jopp, D. (2002). Health and Well-being in the Young Old and Oldest Old. Journal of Social Issues, 58(4), 715-732. doi.org/10.1111/1540-4560.00286
  52. Stiglitz, J., Sen, A. & Ritoussi, J. (2009). Report by the commission on the measurement of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rogress. http://www.stiglitz-sen-fitoussi.fr.
  53. Veenhoven, R. (1988). The Unity of Happiness. Social Indicators Research, 20, 333-354. https://doi.org/10.1007/BF00302332
  54. Veenhoven, R. (1991). Is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https://doi.org/10.1007/BF00292648
  55. Bradburn, N. M. & Caplovitz, D. (1965). Reports of happiness. Chicago: Aldine.
  56. Diener, E. & Emmons, R. A. (1984).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105-1117. https://doi.org/10.1037/0022-3514.47.5.1105
  57. Diener, E., Smith, H., & Fujita, F. (1995). The personality structure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130-141. doi.org/10.1037/0022-3514.69.1.130
  58. Helliwell, J., Layard, R. & Sachs, J. (2019), World Happiness Report 2019. New York: Sustainable Development Solutions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