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manned combat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3초

선진국의 무인전투차량 개발동향 (The Korea Development Trend of Unmanned Combat Vehicles in developed country)

  • 황광택;강신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831-1837
    • /
    • 2014
  • 무인전투차량은 군사과학기술의 영역에서 전투전력 핵심수단으로서 활용성이 인정되며, 인명손실의 최소화, 국방력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무인전투차량을 통한 무인전투체계 구축은 유기적으로 결합된 단위 시스템을 기반으로 조합된 복합운용개념에 해당하며, 전투력을 중장기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국방획득 체계수립, 무인체계기술연구 등 다양한 영역으로 그 적합성을 부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무인전투차량 요구사항분석 연구: 원격통제 및 자율주행 중심으로 (A Study on Requirement Analysis of Unmanned Combat Vehicles: Focusing on Remote-Controlled and Autonomous Driving Aspect)

  • 김동우;최인호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8권2호
    • /
    • pp.40-49
    • /
    • 2022
  • Remote-controlled and autonomous driv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re key elements required for unmanned combat vehicles. The required capability of such an unmanned combat vehicle should be expressed in reasonable required operational capability(ROC). To this end, in this paper, the requirements of an unmanned combat vehicle operated under a manned-unmanned teaming were analyzed. The functional requirements are remote operation and control, communication, sensor-based situational awareness, field environment recognition, autonomous return, vehicle tracking, collision prevention, fault diagnosis, and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Remote-controlled and autonomous driving of unmanned combat vehicles could be achiev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se functional requireme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quirement analysis results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utilized to satisfy the military operational concept and provide reasonable technical indicators in the system development stage.

A Study on the Combination of Manned-unmanned Teaming for Future Ground Combat Victory

  • Sung-Kwon Kim;Sang-Hyuk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159-164
    • /
    • 2023
  • This study is for manned-unmanned teaming battles for future ground combat victories. The composit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introduction to Chapter 1 presents the necessity of this study from a macro perspective, Chapter 2, the review of the complex combat system for both manned and unmanned introduced the paradigm shift of the future battlefield and the cyber area that is superconnected to the network in future wars. Chapter 3 analyzed the combined combat system of manned-unmanned teaming in advanced military countries through the cases of the United States and Israel. In Chapter 4, after discussing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ombat performance of the Korean Army, was concluded in Chapter 5.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s the concept of fighting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and military innovation changes, the method of performing battles must be changed in order for our military to win the battle.

지상무인전투차량 원격제어 인터페이스 운용 요구사항 개발 (Development of Operational Requirements of Remote Control Interfaces for Unmanned Ground Combat Vehicles)

  • 조성식;백승원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3권2호
    • /
    • pp.18-25
    • /
    • 2017
  • The use of unmanned combat systems is of interest for future battlefield. Advanced techniques are being actively studied to build fully autonomous unmanned systems. However, there are technical, ethical and legal limitations for the fully autonomous unmanned combat systems. In addition, a remote controlled system is necessary so far in order to prepare for situations where fully autonomous unmanned systems fail to function properly. Thus, a procedure of developing operational requirements in system level is proposed and interface requirements of unmanned combat vehicles for remote control are described in this study.

롱샷 무인기를 활용한 유무인 협업 공대공 전술 개발 (Manned-Unmanned Teaming Air-to-Air Combat Tactic Development Using Longshot Unmanned Aerial Vehicle)

  • 유승훈;박명환;황성인;설현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64-72
    • /
    • 2021
  • Manned-unmanned teaming can be a very promising air-to-air combat tactic since it can maximize the advantage of combining human insight with the robustness of the machine. The rapid advances i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tonomous control technology will speed up the development of manned-unmanned teaming air-to-air combat system.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manned-unmanned teaming air-to-air combat tactic which is composed of a manned aircraft and an UAV. In this tactic, a manned aircraft equipped with radar is functioning both as a sensor to detect the hostile aircraft and as a controller to direct the UAV to engage the hostile aircraft. The UAV equipped with missiles is functioning as an actor to engage the hostile aircraft. We also developed a combat scenario of executing this tactic where the manned-unmanned teaming is engaging a hostile aircraft. The hostile aircraft is equipped with both missiles and radar. To demonstrate the efficiency of the tactic, we run the simulation of the scenario of the tactic. Using the simulation, we found the optimal formation and maneuver for the manned-unmanned teaming where the manned-unmanned teaming can survive while the hostile aircraft is shot-down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an insight to how manned aircraft can collaborate with UAV to carry out air-to-air combat missions.

전투실험을 통한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분대 부대구조 보완방향 연구 (A Study on the Complementary Direction of the Future Infantry Squad's Structure in Combat Experiment with Manned and Unmanned)

  • 이한우;정민섭;박상혁;문장권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71-177
    • /
    • 2022
  •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변화와 더불어 첨단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해당 기술을 접목한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분대 운용 시 전투효과를 전투실험 기법을 적용하여 도출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과거 인간 및 수동적 기술을 활용한 전쟁 수행방식에서 무인·자동화·정보화 등 디지털 기술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부응하고 미래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육군의 가장 기본 조직이자 직접적인 전투를 수행하는 분대의 부대구조를 보완하는 방안을 모색해 본다는 측면에서 전투실험을 통해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분대의 전투효과를 측정했으며, 일정 부분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분대 부대구조 발전을 모색할 시 여러 전투상황 속에서 AWAM 모델을 이용하여 실험한다면, 좀 더 최적화된 미래 유·무인 혼합 보병분대 부대구조를 찾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미래전 양상을 통해 본 전력증강사업의 발전방향 (Development Trend of Army Force System through the Future Combat Field)

  • 황광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626-162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미래전 양상을 통해서 전력증강사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한다. 이는 국방획득체계의 변화상황과 국내외 체계분석, 전력증강사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통해서 가능하리라 판단하며, 향후 무인지상로봇, 무인기, 무인함정의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응용연구가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한국의 무인체계의 발전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벤치마킹의 효과가 있을 것을 사료된다.

무인 지상 전투 체계의 협동 교전 모델링 및 분석 (Modeling and Analysis of Cooperative Engagements with Manned-Unmanned Ground Combat Systems)

  • 한상우;변재정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05-117
    • /
    • 2020
  • 현대합동작전의 기본 개념인 '효과중심의 동시·통합작전'에 부합하도록 신규 무기체계의 작전 요구 능력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유·무인 무기체계 간의 전술적 협동 개념을 고려한 전투 효과분석이 요구된다. 그러나 수학적, 통계적 모형 등 해석적 기법으로는 비선형전 하에서의 복합체계 효과를 모의하기가 곤란한 실정이다. 이의 대안으로 실제 전장 상황과 유사하도록 시뮬레이션 환경을 조성하고 신규 무기체계가 작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할 수 있는 모의 분석 능력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유·무인 전투개체 간의 협동 교전 개념을 모의할 수 있는 전투 모의 모델을 제안한다. 먼저 미래 지상 체계의 요구 능력을 고려하여 로봇, 드론 등 무인전투개체와 전투원, 야포 등 유인전투개체를 모델링한다. 그리고 각 개체들이 무선 통신을 통해 전장 상황 정보를 공유하며 전투를 수행하는 전술적 과업을 모의한다. 마지막으로 소부대 기갑수색정찰 시나리오 하에서 정찰용 지상로봇 운용 시 표적 획득률, 원격 통제 성공률, 수색 소요 시간, 작전간 생존율, 적 손실률 등의 전투효과를 모의실험을 통해 산출함으로써 개발된 모델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한다. 향후 제안된 모델은 유·무인 지상무기의 효과 분석은 물론 각종 워게임 전투 실험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OneSAF를 이용한 원격조종 지상무인차량 체계효과분석 방법 (A Method of System Effectiveness Analysis for Remote-Operated Unmanned Ground Vehicles Using OneSAF)

  • 한상우;변재정;조현식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88-395
    • /
    • 2014
  • Nowadays unmanned ground systems are used in supporting of surveillance and explosive ordnance disposal. Also, we expect that will be used to remarkably enhance combat capability through network-based cooperative operations with other combat systems. In order to effectively develop those unmanned systems, we needs a systematic method to analyze combat effectiveness and validate required operation capabiliti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practical approach to simulate remote-operated unmanned ground systems by using OneSAF, an US-Army simulation framework. First of all, we design a simulation model of unmanned system by integrating with core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and remote control of mobility and fire. Next, we extend OneSAF functionality to create communication links that connects a remote controller with an unmanned vehicle and define a simulated behavior to operate unmanned vehicles via the communication links. Finally, we demonstrate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odel within OneSAF and summarize system effectiveness analysis results.

무인전투차량 기술개발 동향조사 및 분석 (A Study on Trend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Unmanned Combat Ground Vehicle)

  • 박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1735-1739
    • /
    • 2009
  • 지상무인 전투체계에서 요구되는 원천, 핵심기술은 해외 선진 국가들과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따라서 주요 국가의 무인체계 기술개발현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1998년부터 2008년까지 미국, 일본, 유럽, 캐나다, 이스라엘 등에 출원된 현황을 기준하였다. 주요 선진국의 특허맵과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국가별 기술 수준, 역점분야와 공백기술, 시장력 등을 분석하였으며,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예상되는 기술과 우리나라가 중점 개발하여야할 분야 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