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museum

검색결과 1,296건 처리시간 0.027초

미술관 관람객의 서비스품질 인식과 만족도 분석 : 광주시립미술관을 중심으로 (Service Quality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Art Museum Visitors: The Case of Gwangju Museum of Art)

  • 변길현;이혜진;강신겸
    • 문화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7-159
    • /
    • 2014
  • 기존의 박물관 중심의 연구에서 활용되어온 서비스품질 측정지표들이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측정 및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에 여과 없이 사용됨에 따라, 미술관 고유의 서비스 특성과 이에 따른 적절한 개선안을 도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관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척도를 개발하고, 이들이 방문객 만족도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광주시립미술관을 방문한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요인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술관의 서비스품질 요인은 전시방법, 직원서비스, 전시내용, 미술관시설, 부대프로그램 등 5개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서비스품질 요인 가운데 전시내용이 미술관 재방문이나 추천의도, 전반적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나 전시내용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재방문 의도와 추천 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부대프로그램은 재방문의도에 전시내용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미술관의 고유한 기능인 전시이외에도 교육, 체험, 여가의 요소들이 복합된 다양한 부대프로그램이 미술관의 서비스 질을 높이고 방문객의 만족도 및 재방문율을 높이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관을 대상으로 하는 실증적 연구를 통해 미술관의 서비스 연구에 필요한 서비스품질 척도들을 검증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 나아가 미술관 경영 및 마케팅 담당자들에게 전시내용 및 부대프로그램 개발이라는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들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헌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무용공연작품 의상을 위한 디지털 뮤지엄 아카이빙 구축 (A Study on Construction of Digital Museum Archiving Regarding Dance Costume)

  • 정유진;유지영;백현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81-88
    • /
    • 2019
  • 본 연구는 무용공연의상에 대해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뮤지엄 형식의 아카이빙을 구축함으로써 무용공연의상에 대한 인물이나 작품주제를 파악하고, 또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 디지털 뮤지엄 아카이빙이 무엇인지를 서술하고, 연구내용으로 디지털 뮤지엄을 어떻게 만들 수 있는 지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계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아카이빙의 역할이나 효용성에 대해 가치를 논한 뒤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아카이브란 텍스트 문서로 국한되어 있던 자료의 전반, 또는 자료의 저장 공간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로 컴퓨터라는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전시통합모델을 말한다. 따라서 무용공연작품의상을 디지털 뮤지엄으로 만든다면 무용공연작품의상이라는 웹상의 가상공간에 하우스를 만들고, 그 뮤지엄으로 들어가면 다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로 카테고리 창을 구분하였다. 대분류에서는 무용공연작품의 장르를 한국무용, 현대무용, 발레로 구분하고, 중분류에서는 안무가, 의상디자이너를 구분하여 들어갈 수 있게 하였으며, 소분류에서는 안무가나 의상디자이너의 기타자료인 신문, 방송 인터뷰, 공연사진, 프로그램 등을 보는 것으로 아카이빙 해 보았다. 이러한 디지털 뮤지엄의 가치로는 공간활용의 가치, 창작의 가치, 역사 문화적 가치,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으로 활용 가치, 디지털 뮤지엄 콘텐츠의 제공 및 이해의 가치, 쌍방 소통의 가치, 그리고 새로운 전시형태 프로그램 개발의 가치를 지닌다.

과학관 전시체험관에 대한 관람자 행동유형 및 만족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behavioral patterns and satisfaction of visitor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 of exhibition in science museum)

  • 박혜정;이석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85-195
    • /
    • 2013
  • This study has been analyzed various exhibition in Ulsan Museum of Science which was opened in March 2011 and found out the connections between elementary school science and its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has pointed out how visitors' behavioral patterns chang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The Study has also examined the visitors' satisfaction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facilities and environment of the museum and aimed to seek ways to revitalize and improve the general conditions of exhibition rooms which is essential for Ulsan Museum of Science.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form exhibition showed that 31.7% were in a passive form and the other 68.2% were in active form which was 43 out of 63 exhibition. After analyzing the visitors behavioral patterns, the majority of exhibition with higher attraction power and holding power were active-type exhibition and especially the experience-type exhibition takes the large portion. Based on the survey, we found out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present high expectations of pleasure through active experience. They showed high satisfaction rates on the number of exhibition, guide facilities, inside temperature and accessibility of Ulsan Museum of Science.

국립부산과학관 전시물과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계성 분석 - 핵심역량과 3~6학년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Exhibitions in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Key Competencies and the 3rd-6th Grades -)

  • 정해련;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4호
    • /
    • pp.352-362
    • /
    • 2018
  •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ducational innovation focusing on the key competencies is occurring in the whole world. In September 2015, the Ministry of Education suggested six key competencies such as self-management competency, knowledge/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community competency for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lso, this era requires for diverse lessons like subject integrated/converged lesson and intramural/extramural education. Thu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analyze exhibitions of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as extramural educational institute and to relate betwe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xhibitions of science museum. First, the exhibitions of permanent exhibition hall in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were researched/analyzed. It analyzed the current status, display type, and explained contents of exhibitions. Second, it analyzed the relations between contents of the exhibition and key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r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3rd and 6th grade related to the selected exhibition contents was analyzed. The analysis on the exhibition contents performed by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follow-up researches connected to exhibitions of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의 분류 체계에 대한 시론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Code on Archives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오영찬
    • 미술자료
    • /
    • 제96권
    • /
    • pp.181-208
    • /
    • 2019
  • 본고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에 대해 '기능적 출처'의 개념에 입각하여 새로운 분류 체계와 분류 기호를 제시하였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조선총독부에 소속된 기관이므로 조선총독부 공문서 체계에 부합되고 편입이 가능하도록 문서 분류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점, 기능적 출처주의에 입각하여 총독부박물관의 조직과 기능에 부합하는 분류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점, 그러한 분류 체계에 기반하여 체계적이고 간명한 분류 기호가 부여됨으로써 문서의 검색과 활용에 편의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조선총독부의 공문서 분류 체계에 맞춰 총독부박물관의 대기능은 학무국으로, 중기능은 학무국 산하의 과 단위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기능별 출처' 개념에 입각하여 총독부박물관의 업무 기능은 서무, 고사사, 명승천연기념물, 고적, 박물관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계별 문서는 업무 내용에 따라 다시 2차 분류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기능, 중기능, 소기능, 세부기능의 순으로 분류 기호를 설정하였다. 총독부박물관 문서는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체계에서 'A 학무'에 해당된다. 중기능 분류 기호는 학무국 내 과별 조직의 변천과 기능을 고려하여 학무(01), 편찬(02), 종교(03), 사회교육(04), 박물관(05), 기타(06) 등으로 설정하였다. 소기능은 총독부박물관의 기능을 분석하여 추출하였으며, 2자리 숫자를 부여하였다. 서무(01), 고사사(02), 명승천연기념물(03), 고적(04), 박물관(05)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계별 업무에 해당된다. 세부 기능과 그 아래 하위 기능은 계 내에서 업무 분장과 연결하여 다시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분류 체계가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활용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박물관 해설 시스템의 사용체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Experience of Museum Interpretation System)

  • 자오즈한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 /
    • 제65권
    • /
    • pp.530-538
    • /
    • 2018
  • 최근 박물관은 나날이 관람객과 사회의 관심을 받고 있다. 그렇지만 오늘날 국내외에서 진행된 박물관 해설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박물관 해설 시스템의 계획 설계는 주로 전문가의 시각을 기반으로 진행된 것으로, 대부분 관람객의 욕구를 크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람객의 박물관 해설 시스템 사용체험에 주목하였다. 관람객이 느끼는 박물관의 해설 시스템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박물관의 해설 시스템이 관람객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는지 살펴보고 시스템에 존재하는 문제와 부족한 점을 파악하였다. 그 후 문제점을 정리 귀납하여 최종적으로 박물관의 해설 시스템의 주요요소를 제시하여, 박물관 해설 시스템의 개선과 교육 기능의 발현을 위한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은 우선 선행연구를 통해 박물관에 존재하는 4가지 주요 해설방식을 확정하였다. 그 후 4가지 유형의 해설방식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현존하는 문제와 부족한 점을 수집 하였다. 이어 유형분석의 방법을 통해 수집한 결과를 14개 문제의 유형으로 묶고, 설문조사를 통해 14개 문제에 대한 일반적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해설시스템에 사용자의 불편한 점 과 문제점을 파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박물관 해설 시스템에 필요한 다섯 가지의 주요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가운데 흡입성은 박물관 해설 시스템에서 가장 취 약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고, 향후 각각의 요소들의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가 이어질 것이다. 박물관 해설 시스템 최적화 및 해설 체험 개선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때 참고자료가 되길 바란다.

Performance study on the whole vibration process of a museum induced by metro

  • Yang, Weiguo;Wang, Meng;Shi, Jianquan;Ge, Jiaqi;Zhang, Nan;Ma, Botao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55권2호
    • /
    • pp.413-434
    • /
    • 2015
  • The vibrations caused by metro operation propagate through surrounding soil, further induce secondary vibrations of the nearby underground structures and adjacent building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brations caused by metro on use performance of buildings, vibration experiment of Chengdu museum was carried out firstly. Then, the coupling tunnel-soil-structure finite element model was established with software ANSYS detailedly, providing a useful tool for investigating the vibration performances of structures. Furthermore, the dynamic responses and vibration predictions of museum building were obtained respectively by the whole process time-domain analysis and frequency-domain analysis, which were compared with the vibration reference values of museum.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museum building performance were carried out, and the possible tendency and changing laws of vibration level with floors were proposed. Finally, the related vibration isolation measures were compared and discussed. The tests and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vertical vibration responses almost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of building floors, while weak floors existed for the curve of horizontal vibration; The vertical vibrations were larger than the horizontal vibrations, indicating the vibration performances of building caused by metro were characterized with vertical vibrations; The frequencies of the museum corresponding to the peak vibration levels were around 6~17Hz; The damping effect of structure with 33m-span cantilever on vertical vibration was obvious, however, the damping effect of structure with foundation vibration isolators was not obvious.

An Exploration of Various Evaluation Methods to Improve Usability of Museum Mobile Device

  • Ahn, Mi-Lee;Cha, Hyun-Jin;Hwang, Yun-Ja;Kim, Hee-Jin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65-773
    • /
    • 2011
  • Objective: This study aims towards exploring a model of the HCI evaluation methods to improve the usability of mobile device, based on a case of a Mobile PDA system in a Museum context. Background: Mobile PDA systems in a Museum context is widely utilized for the educational purposes, but it is criticized for low usability that the device only play a role in textbooks on legs without any interactive educational activities. Therefore, the usability improvements on the mobile PDA system should be considered. Method 1: This model was developed with a combination of the expert review and the user testing, and with a combination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In more details, first of all,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as a combination of three different methods: 1) expert review with heuristics, 2) interviews with persons working in a museum, and 3) contextual enquiry. Results 1: The experts review provided with critical usability issues, and the semi-constructive interview helped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the mobile device. Lastly, the contextual enquiry showed user experience problems and directions of improving the device from user's perspective. Method 2: Based o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study,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Results 2: The analysis of the quantitative study was conducted to generalize the problems, and prioritize the direction of improving the device within the limitation of the cost and time in a museum. Conclus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developing an example of a HCI evaluation model to improve the user experience of the mobile device as well as finding problems and directions of how to improve the mobile PDA systems in the museum. Application: In fact, most of the studie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the mobile device have been conducted in a laboratory context due to the cost and time. This paper, however, attempted to apply to various HCI research techniques from different constituents in real context.

코로나19 시기에 지방 소규모 과학관의 조직 및 운영 현황 분석 (An Analysis of Organizational System and Management on Small Sized Local Science Museum during the COVID-19 Situation)

  • 한신;정한호;김형범;김용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33-142
    • /
    • 2023
  • 이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지방 소규모 과학관의 조직 및 운영 현황을 조사하여 과학문화 확산과 과학 대중화를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거창월성우주창의과학관을 사례로 하여 질적 연구를 실행하였다. 과학관의 실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가 틀을 개발하였으며 정보 통신매체를 통하여 얻은 정보와 과학관의 정보 위원과 심층 면담을 통해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과학관은 코로나19가 최고조로 유행하였던 2020년 기준 전년 대비 매출과 입장 인원의 뚜렷한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도 비대면 프로그램 신설, 전시물 관리, 다양한 홍보 매체를 이용한 홍보 관리와 같은 위기 개선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전문인력 수급의 어려움, 직원들의 업무의 과다, 다른 과학관과의 차별화 부재 등은 향후 해결해야 하는 선결과제로 남아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