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Code on Archives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의 분류 체계에 대한 시론

  • 오영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교육과)
  • Received : 2019.09.20
  • Accepted : 2019.11.22
  • Published : 2019.12.20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 new classification and code system on the Archives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ree points were noted that since the Museum belonged to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Archives should be established to comply with the Archives system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functional provenanc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lassific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organization structure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a systematic and simple classification codes should be give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and using the official document. The classification system and its code are proposed in the order of major function, medium function, small function, and detailed function. The major function of the Archives is 'A-Educational affairs', medium function 'Museum.' The small function may be divided into General affairs (01), Temple (02), Scenic Spot and Natural Monument (03), Historical Site (04), and Museum (05). The detailed function and detailed sub-functions are categorized by the various work assignments in each work units. I hope that this new classification system will make a contribution to organizing and utilizing the Archives of the Government-general Museum of Joseon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본고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에 대해 '기능적 출처'의 개념에 입각하여 새로운 분류 체계와 분류 기호를 제시하였다. 조선총독부박물관은 조선총독부에 소속된 기관이므로 조선총독부 공문서 체계에 부합되고 편입이 가능하도록 문서 분류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점, 기능적 출처주의에 입각하여 총독부박물관의 조직과 기능에 부합하는 분류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는 점, 그러한 분류 체계에 기반하여 체계적이고 간명한 분류 기호가 부여됨으로써 문서의 검색과 활용에 편의성을 제고해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조선총독부의 공문서 분류 체계에 맞춰 총독부박물관의 대기능은 학무국으로, 중기능은 학무국 산하의 과 단위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기능별 출처' 개념에 입각하여 총독부박물관의 업무 기능은 서무, 고사사, 명승천연기념물, 고적, 박물관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계별 문서는 업무 내용에 따라 다시 2차 분류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기능, 중기능, 소기능, 세부기능의 순으로 분류 기호를 설정하였다. 총독부박물관 문서는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체계에서 'A 학무'에 해당된다. 중기능 분류 기호는 학무국 내 과별 조직의 변천과 기능을 고려하여 학무(01), 편찬(02), 종교(03), 사회교육(04), 박물관(05), 기타(06) 등으로 설정하였다. 소기능은 총독부박물관의 기능을 분석하여 추출하였으며, 2자리 숫자를 부여하였다. 서무(01), 고사사(02), 명승천연기념물(03), 고적(04), 박물관(05)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는 계별 업무에 해당된다. 세부 기능과 그 아래 하위 기능은 계 내에서 업무 분장과 연결하여 다시 주제별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새로운 분류 체계가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활용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8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8S1A5A2A01028705).

References

  1.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보관 고문서목록,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1996.
  2. 국립중앙박물관, 광복 이전 박물관 자료목록집,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1997.
  3. 김상호, 기록보존론, 서울: 아세아문화사, 2007.
  4. 김태수, 분류의 이해, 서울: 문헌처리정보연구회, 2000.
  5. 박성진.이승일, 조선총독부 공문서, 서울: 역사비평사, 2007.
  6. 이순자,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사업 연구, 서울: 경인문화사, 2009.
  7. 지수걸 외,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기술방법론, 서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4.
  8. 채미하, 일본 근대 역사기록물의 분류와 기술, 서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4.
  9. 한국국가기록원, 조선총독부 공문서 다계층상세목록집-학무국 사회교육 문서군편, 서울: 한울, 2005.
  10. 한국국가기록원, 조선총독부 공문서 종합목록집, 서울: 한울, 2005.
  11. 황수영 편, 일제기 문화재 피해 자료-고고미술자료 제22집, 서울: 고고미술동인회, 1973.
  12. 황수영 편, 이양수.이소령 증보, 강희정.이기성 해제, 일제기 문화재 피해 자료, 서울: 국외 소재문화재재단, 2014.
  13. 김도형, 일제하 총독부박물관 문서와 관리 체계, 기록학연구 3, 2001.
  14. 배성준, 조선총독부 공문서 분류 체계의 복원을 위한 시론,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워크숍 발표문, 2003.
  15. 서동천, 일제강점기 초기 역사적 건조물 보존수리의 특징에 관한 연구: 고적보존회 활동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4-1, 2018.
  16. 서효원, 화엄사 각황전 수리공사를 통해 본 '보존령' 제정 이후 일제강점기 보물 건조물 수리공사의 현장운영과 수리방침,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4-1, 2018.
  17. 서효원.전봉희, 조선총독부박물관 문서를 통해 본 일제강점기 개심사 대웅전 수리공사의 체계와 경과,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33-7, 2017.
  18. 설문원, 조선총독부 공문서를 위한 기능분류 체계,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기술 방법론, 서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6.
  19. 심재연, 조선총독부 문서에서 보이는 춘천 천전리 지석묘군 발굴 조사와 문서행정, 인문과학연구 45, 2051.
  20. 오영찬, 조선고적연구회의 설립과 운영: 1931-1932년을 중심으로, 한국문화 55, 2011.
  21. 이경용, 한국의 근현대 기록관리제도사 연구: 1894-1969년, 중앙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2.
  22. 이명화,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구성변천과 기능, 한국독립운동사연구 6, 1992.
  23. 이현일.이명희, 조선총독부박물관 공문서로 본 일제강점기 문화재 등록과 지정, 미술자료 85, 2014.
  24. 조은정, 일제강점기 요지조사와 고려청자 연구의 의미, 미술사학 33, 2017.
  25. 지수걸. 김익한.설문원,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기록학적 분석, 조선총독부 공문서의 분류.기술 방법론, 서울: 한국국가기록연구원, 2004.
  26. 吉井秀夫, 澤俊一とその業績について, 高麗美術館紀要 6, 2008.
  27. 小泉顯夫, 朝鮮古代遺蹟の遍歷, 東京: 六興出版, 1986.
  28. 有光敎一, 朝鮮考古學七十年, 京都: 昭和堂, 2007.
  29. 金玟淑, 植民地朝鮮における歴史的建造物の保存と修理工事に関する研究, 東京: 早稲田大学大学院建築学 博士學位論文,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