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achiever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초

Keller의 PSI를 활용한 u-러닝 환경의 수준별 학습 시스템 : 학습 부진아를 중심으로 (Level-Learning System Using Keller's PSI in U-Learning Environments : Focused on Underachiever)

  • 김연중;전우천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63-268
    • /
    • 2008
  • 학교의 학습 과정에 있어서 학습자 간의 학습 능력의 차이는 존재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에서는 개별 학습과 수준별 학습을 권장한다. 유무선 인터넷을 통한 수준별 학습은 최근에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u-러닝(Ubiquitous Learning) 환경에도 부합하며 학습자 개개인이 자신의 속도와 수준에 맞게 자기주도적으로 학습을 하기에 알맞은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시간과 공간에 구애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수준에 맞게 학습할 수 있는 수준별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특히 시스템에 체계성을 더하기 위해 개별화 학습 체제 중에서 과거 많은 연구를 통해 그 효과성이 입증된 Keller의 PSI(Personal System of Instruction) 이론을 활용하여 시스템의 각 과정을 설계하였다. 본 시스템의 장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원하는 시간과 공간에서 자신의 속도에 맞게 학습할 수 있으므로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둘째, 시스템 구성상 평가를 통해 일정한 기준에 미달하면 목표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학습하고 도전해야 하므로 궁극적으로 완전학습에 도달할 수 있다. 셋째, 제한된 교실 상황에서 벗어나 온라인에서의 학습 지원이 가능하므로 학습자의 개인차에 따른 수준별 학습을 관리하고 책임져야 하는 교사의 부담을 덜어준다.

  • PDF

미성취 영재를 위한 초등 과학 개별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Elementary Science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Program for the Gifted Underachievers)

  • 정성희;천옥명;강성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394-40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reflecting various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and thereby help to develop the study attitude and study achievement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To achieve the purpose, a case study on five gifted underachievers who are in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as conduct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a variety of data including standardized tests, interviews with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observation journals,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differentiated strategies were designed according to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their multiple-intelligence, and their learning styles.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m, a program with a total of 20 sections was finally developed.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for the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program revealed improvements i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ir learning motives were improved. The program was also found to affect their self-concept and their attitude toward learning. The study showed that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for the gifted underachievers should begin from the analysis of each student's characteristics. Also, it was found that a differentiation strategy could become an alternative to apply various characteristics and demands of the gifted underachievers to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The gifted underachievers' intellectual and definitive characteristics were changed even by the short-term mediation. Therefore, the new issue about educating the gifted is to provide a differentiated instruction-learning program fitt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demands and help them exert their potential as best as they could.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조절학습요인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s on Learning Motivation on Underachiever)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13-119
    • /
    • 2018
  • 20세기 중반 이후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대표적인 주제가 학습부진 문제해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요인을 인지, 동기, 행동조절로 구성하고, 학습부진 대학생의 학습동기인 내적가치, 자기효능, 호기심 및 자신감에 미치는 어떠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는 창원시 소재 A대학교의 학습부진 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조절학습요인은 학습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조절요인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조절요인은 호기심 및 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요인이 통합적으로 학습과정에 작용하므로 상호작용을 고려한 종합적인 지도체제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요소들을 참고하여 동기수준을 강화시킬 수 있는 학습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에서 단계 분기의 피드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ep branch's feedback in teaching for mathematic s underachiever)

  • 서종진;변두원;김응석;김승동;노영순;박달원;김응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49-271
    • /
    • 2005
  • 본 연구는 단계 분기의 피드백이 수학 학습부진아의 수차 성취도, 수학에 대한 태도, 자기점검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대전에 소재한 H중학교 2학년 수학 학습부진아 23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단계 분기의 피드백을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은 일반적인 형성평가의 피드백을 실시하였다. 연구기간은 6 주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단계 분기의 피드백 집단이 일반적인 형성평가 집단에 비하여 수학 성취도와 수학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효과(p<.05)가 있었으며, 자기점검 정도에서도 더 향상이 되었다.

  • PDF

음악심리치료가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sic Psychotherapy on Improvising Motivation of Underachieving Students)

  • 강노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2호
    • /
    • pp.1-23
    • /
    • 2009
  • 본 연구는 학습부진아에게 음악심리치료를 실시하였을 때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9명의 대상자들을 4명의 실험집단과 5명의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에 주 2회 총 18회기의 음악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김용래(2000)의 학교학습 동기척도를 사용하였고 검정은 집단 간의 동질성 비교를 위해 Mann-Whitney U, 대상자들의 사전 사후 점수결과에 대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대상자들의 범주화된 언어분석을 함께 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전체 학습동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 .001), 둘째, 실험집단의 학습동기척도 하위영역별 사전 사후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1), 셋째, 회기별 내용 분석을 통해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음악심리치료가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증명하며 음악심리치료가 학교현장에서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심리 치료적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초등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맞춤형 학습 자료 개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ersonalized Learning Materials for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Mathematics)

  • 최승현;조성민;류현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2호
    • /
    • pp.135-145
    • /
    • 2012
  • 학교 교육의 책무성이 강조됨에 따라 학교에서 교사의 수업 진도를 제대로 따라가지 못하는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현하지 못한 채 학습부진아가 되는 연결고리를 끊으려는 시도가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특히 학교 교육의 초기 단계인 초등학교에서부터 학습 부진아들의 학습 결손이 누적되지 않도록 하려는 노력들이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설정된 수학과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4~6학년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서 도달해야 할 필수 학습 목표와 평가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 부진 정도의 판별을 위한 평가 도구와 학습 부진아를 지도하기 위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자료와 학습 자료는 개인의 학습 부진 정도에 따라 개별 관리가 가능한 맞춤형 학습 자료로 활용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학습 결손이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원의 방정식에서의 오류 극복 학습에 관한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Types of Errors in Mathematics and How to Overcome the Errors in the Area of the Equation of a Circle in the High School)

  • 한경민;고상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1호
    • /
    • pp.57-81
    • /
    • 2014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원의 방정식에서 나타나는 오류유형을 바탕으로 우수고교의 미성취학생들의 오류의 극복과정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학생들이 문제를 풀 때 그들이 도달한 현 단계를 자주 잊어버려서 문제풀이 전에 계획을 다시 복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특히 문제해결 과정 생략오류와 잘못된 결론의 오류들이 현저히 감소하였는데 그들은 귀납적 수업모형을 바탕으로 한 수업에서 문제에 대한 대수식과 그림을 통해 수학적 개념, 원리, 그리고 식을 이해하였고 이런 탐구중심의 활동에서 수학적 내용을 매우 논리적으로 잘 해결하였다.

  • PDF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해석기하에서 학습부진학생들의 개념형성에 관한 연구: 관계적.도구적 이해를 중심으로 (Skemp's concept development of underachievers' analytic geometry using the exploratory software, GSP & Excel)

  • 윤인준;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643-671
    • /
    • 2012
  • 본 연구는 학습부진학생들을 대상으로 탐구형 소프트웨어인 Excel과 GSP의 활용한 탐구활동을 통해 해석기하의 개념을 형성해가는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중학교의 논증기하에 대한 개념과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해석기하의 개념을 관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Skemp의 목표 지향적 학습을 위한 지능 모델이 7차시로 구성되었고 2011년 7월~9월에 5명의 학습부진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결과로는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통해 관계적 이해($R_2$유형의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에 비길 수 있는 두 가지는 $R_1$유형, 즉 직관적 사고 활동을 통한 관계적 이해가 된 경우로 이 과정에 탐구형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반영적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과 $I_2$유형, 즉 반영적 사고 활동을 통한 도구적 이해가 일어난 경우로 스키마 학습과 같은 장점을 얻게 함으로써 관계적 이해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더욱이 이러한 관계적 이해가 성취되었을 때 아주 초보적인 단계에서 논리적 이해를 할 수 있는 여지와 양식 2의 기호를 통한 의사소통의 능력에 해당하는 수준까지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 PDF

학습부진 또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들의 비와 비례 문장제 문제해결 향상시키기: 도식기반교수의 역할 (Effects of Scheme Based Strategy Instruction on Mathematical Word Problems of Ratio and Proportion for Underachievers or At-risk LD Students)

  • 전윤희;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4호
    • /
    • pp.659-675
    • /
    • 2014
  • 본 연구는 도식기반교수가 학습부진 또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들의 비와 비례 문장제 문제해결 능력 향상, 일반화와 유지에 도움이 되는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수 실험은 기초선 검사, 중재전략교수, 일반화 및 유지검사의 순서로 3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이 본 연구에 참여 하였으며, 문제해결을 위한 중재전략은 FOPS로 이에 기반하여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재 받은 3명의 학생 모두 비와 비례 문장제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었고, 유사한 유형에도 일반화 할 수 있었으며, 2주 후에 실시한 유지검사에서도 문제해결 능력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식기반전략의 확장을 위해, 장애 학생들의 특성에 맞는 처방적 학습 전략의 개발과 이들에게 실제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도구가 포함된 교재 개발을 후속연구로 제안하였다.

  • PDF

학사경고를 받은 대학생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적 접근 (A Narrative Study within the Experiences of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 이봉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353-36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경고를 받은 대학생이 학업에 대한 내적 자기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파악해 보고자 함이다. 질적 연구방법 중 내러티브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내면적 사고의 흐름을 추적해보고자 하였으며,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Burke의 내러티브 분서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학습 환경이 변화되는 시점인 대학입학 전 후를 기점으로 자아의 변화과정을 4가지 주제로 도출하였다: '만들어진 우수한 아이', '우수한 아이 코스프레', '부족한 자아와의 만남', '독립된 실체와의 만남'. 위의 4가지 주제는 학사경고라는 사건을 극복해 가고자 하는 인간내면에 존재하는 강인한 독립적 탄성이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제시해주고 있다. 이를 토대로 대학차원의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 내면적 자기 동기화 능력을 강화시켜줄 수 있는 소프트적인 내용과 기존의 학습지원방법이 병행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