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mami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36초

미각 이상 환자의 미각 역치 검사에 관한 증례 보고 (A Case Report on the Taste Threshold Tests in Two Patients with Taste Disorder)

  • 홍주희;오정규;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6권2호
    • /
    • pp.127-131
    • /
    • 2001
  • The authors performed the taste threshold tests in two patients complaining taste problem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Oral Diagno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The taste thresholds were determined using a concentration series of five tastants, sucrose ( sweet ), NaCl ( salty ), citric acid ( sour ), quinine hydrochloride ( bitter ) and monosodium glutamate ( umami ). The taste solutions were diluted by half quarter logarithmic steps. The two patients showed higher taste thresholds level than normal but the taste threshold results did not coincide with the patients appeal. Further researches are needed for developing simple and precise diagnostic method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patients with taste disorder.

  • PDF

사골 국물이 백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eef Bone Extracts on Quality of Baeck Kimchi)

  • 박영희;박소희;이종호;조재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88-194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eef bone extracts on the organoleptic quality and fermentation of Baeck Kimchi. For this study, th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Baeck Kimchi, with addition beef bone extracts were tested, and the changes in the fermentation factors, such as pH, acidity, reducing sugar and total microbial count, were observed during fermentation at 10$^{\circ}C$ and 20$^{\circ}C$. Greater amounts of lipids and soluble nitrogen were extracted to increasing the boiling time for the preparation of the beef bone extracts. However, 1% of the mixed beef bone extracts, prepared by boiling for 5, 7 and 9 hours, was the most acceptable for the Baeck Kimchi fermentation, as assessed from the results of sensory consumer tests. The beef bone extracts enhanced the umami taste of the unfermented Baeck Kimchi. The carbonated taste, sourness and fresh flavor of the fermented Baeck Kimchi were also enhanced. The fermentation rate was increased by the addition of beef bone extracts to Baeck Kimchi.

단감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고추장의 미생물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 (Microbiolog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Korean Traditional Red Pepper Paste Added with Different Levels of Sweet Persimmon Powder)

  • 김정연;황수정;은종방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303-308
    • /
    • 2011
  • 전통고추장의 품질을 개선하고 기호성을 높이기 위하여 단감을 분말화 하여 고추장에 0, 3, 4, 5% 첨가하여 단감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을 제조하고 $20^{\circ}C$에서 9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미생물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고추장의 숙성 중 총균수는 숙성 초기부터 숙성 마지막 단계까지 서서히 증가하여 $10^8$ CFU/g 수준을 유지하였고 모든 숙성 과정에서 대조구와 단감 분말 첨가한 것 사이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 <0.05). 효모 및 곰팡이 수는 숙성기간 동안 $10^4-10^5$ CFU/g을 유지하였다. 고추장의 관능검사를 숙성 30, 60, 90일 째 실시한 결과, 관능적 특성에 있어서 단감 분말의 첨가는 고추장의 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단맛의 경우에 단감 분말 첨가량에 비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감칠맛의 경우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 기호도 측면에서 보았을 때 숙성 30일 경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p <0.05),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4% 단감분말 첨가구가 관능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숙성 최종 단계에서 단맛과 감칠맛 그리고 전체적 기호도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여 단감 분말을 첨가한 고추장을 제조 시 단감 분말을 4% 첨가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생각된다.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소비자 기호도 및 관능적 특성 (Consumer Acceptanc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Kinds of Subsidiary Ingredients)

  • 박소희;이종호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3호통권93호
    • /
    • pp.370-378
    • /
    • 2006
  • 부재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가 기호도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외관 기호도에서는 고춧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가 가장 싫은 기호도를 보였고, 젓갈, 마늘, 생강, 무, 파, 양파 등을 각각 첨가하지 않은 시료들은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이지 않으며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향,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마늘을 첨가하지 않은 시료의 싫은 정도가 가장 높아 김치의 기호도에 마늘의 영향력이 가장 큼을 알 수 있었다. 고춧가루는 김치의 향미 특성 중 매운맛에만 영향을 주었고, 젓갈은 김치의 감칠맛, 단맛, 짠맛을 상승시켰으며 마늘은 신맛, 감칠맛, 단맛, 탄산미, 상큼한 맛 등 전반적인 향미를 상승시키면서 군덕맛을 억제해 주었다. 생강은 매운맛과 상큼한 맛에, 무, 파, 양파 등은 김치의 상큼한 맛에 영향을 주었다. 마늘은 김치, 깍두기, 열무김치인 김치 종류와 5, 10, $20^{\circ}C$의 숙성온도에 상관없이 김치의 관능적 특성 중 마늘의 유무는 군덕맛, 쓴맛에, 마늘 첨가량의 차이는 신맛, 단맛, 상큼한 맛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김치 유산균으로 제조한 preferment 첨가 수준에 따른 white pan bread의 품질특성 (Study on the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Made by Adding Preferment Prepared b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 신언환;김소미;박천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93-1198
    • /
    • 2003
  • 김치에서 분리한 L. brevis를 접종하여 제조한 preferment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을 살펴보았다. Preferment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pH를 감소시켰고, 산도는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식빵의 품질 평가에 있어서 비용적은 preferment의 함량을 20%까지 하였을 때 높게 나타났으며, 25% 첨가하였을 때에는 오히려 낮은 비용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수분함량 및 수분활성도에서는 대조구와 preferment 첨가구간의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물성특성에서는 hardness와 gumminess에서 preferment 첨가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spinginess는 증가시켰다. 그 외 cohesiveness와 색도(L, a, b값)은 모두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관능검사에서는 preferment가 신맛과 감칠맛을 증진시켰고, 20%의 preferment를 첨가하였을 때, 부피, 감칠맛, 조직에서 탄성에 우수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식빵을 제조하는데 있어 김치 유산균의 preferment의 첨가 수준은 식빵의 품질 특성 및 관능검사가 우수하게 나타난 20%의 첨가구가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전자혀를 이용한 수삼의 원산지 판별 (Discrimination of geographical origins of raw ginseng using the electronic tongue)

  • 동혜민;문지영;이성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49-354
    • /
    • 2017
  • 전자혀 분석을 통해 국내산과 중국산 수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신속하고 정확한 판별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전자혀를 이용하여 센서 감응도 값(raw data)을 분석한 뒤 taste screening하여 맛 스코어로 나타낸 결과, 국내산 수삼과 중국산 수삼은 감칠맛(UMS)에서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고 쓴맛(BRS)과 단맛(SWS)도 상대적으로 차이를 나타냈다. 국내산 수삼이 중국산 수삼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감칠맛을 나타냈고, 쓴맛과 단맛은 그 반대로 나타났다. 판별함수분석 결과, DF1 (discriminant function first score) 상으로 국내산 수삼 그룹과 중국산 수삼 그룹이 구별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Discriminant power 값은 UMS 센서가 0.522으로 두 그룹에 가장 큰 차별성을 부여했다. CDA(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분석 결과 두 수삼 그룹의 distance between centroids값은 2.7463으로 판별이 잘 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국내산 수삼 77점에서 67점이 국내산으로, 중국산 수삼은 77점 중 73점이 중국산으로 판별되어, 최종 판별정확도는 90.91%로 나타났다. 간단한 전처리 및 여러 가지 통계 처리를 통해 전자혀를 이용한 수삼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으며,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별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쌀단백질 효소분해물을 이용한 효모추출물의 제조 (Preparation of Yeast Extract Using an Enzyme Hydrolysate of Rice Protein)

  • 이형진;정하열
    • 산업식품공학
    • /
    • 제15권3호
    • /
    • pp.243-249
    • /
    • 2011
  • 쌀단백질을 효소분해하여 제조한 배양액으로 천연조미소재로 사용할 효모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최적 공정조건을 조사하였다. 쌀단백질(5%, w/w)을 단백분해효소 인 $Delvolase^{(R)}$로 효소분해한 상등분획에 3%(w/w) 수준으로 포도당을 첨가한 배지 조건이 가장 적절하였으며 이 조건에서 2.3 g/L의 효모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효모에는 RNA가 188.1 mg/g수준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GMP 및 IMP는 각각 $650.33{\pm}48{\mu}g/g$, $69{\pm}21{\mu}g/g$ 함유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효모추출물에 효모배양액의 제조 후 남은 쌀단백질 잔사의 효소분해물(Rrh)을 혼합하면 감칠맛이 상승하였는데 미각센서 분석기로 측정한 결과 효모추출물의 감칠맛이 4.88에서 Rrh의 첨가 후에는 9.25로 증가하였으며 관능검사에서도 감칠맛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효모추출물에 쌀단백질 잔사의 효소분해물이 추가되면 효소분해 과정 중 생성된 다양한 맛 성분으로 인해 감칠맛 이 상승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높아지므로 천연조미소재 로서의 활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돼지의 성이 등심의 육질, 전자혀 측정치 및 관능적 맛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Gender on Meat Quality, Electronic Tongue Measurem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 이은영;이세진;황영화;강현정;주선태
    • 동물자원연구
    • /
    • 제30권4호
    • /
    • pp.165-17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육돈의 성이 육질과 맛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총 90두 삼원교잡 LYD 비육돈(180일령 암퇘지 45두와 거세돈 45두; 각 처리구당 1+, 1, 2등급 15마리씩 배치)의 육질, 기계적 맛 및 관능적 맛을 성별에 따라 조사하였다. 등심근의 pH, 근내지방 함량, 육색 및 전단가는 성별 간 차이가 없었지만(p>0.05), 암퇘지와 거세돈의 육즙감량(1.66% vs 1.21%), 유리수분량(12.19% vs 10.68%) 및 가열감량(23.67% vs 21.04%)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p<0.05). 전자혀 측정치는 거세돈의 신맛의 강도가 암퇘지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반면, 감칠맛과 감칠맛후미의 강도는 높았다(p<0.05). 관능검사에서는 풍미, 다즙성 및 연도에서 거세돈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결과, 기호성에서도 거세돈(5.51점)이 암퇘지(4.86점)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 이러한 결과로부터, 암퇘지보다 높은 거세돈의 보수력이 감칠맛 강도를 증가시켜 관능적 맛도 좋게 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NaCl 첨가 및 평가 온도에 따른 천연조미소재의 감각적 특성 (Effects of NaCl and Temperature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Natural Flavor Enhancers)

  • 정서진;정진아;김부원;강대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615-622
    • /
    • 2015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sensory properties of various natural flavor enhancers (NFEs) an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NaCl and temperature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se NFEs.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six types of NFEs: yeast extract-based NFE, three; fish sauce-based NFE, one; soy sauce-based NFE, one; and hydrolyzed peptide NFE-based, one. The effects of NaCl (no addition vs. addition) and temperature ($20^{\circ}C$ vs. $55^{\circ}C$) were also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flavor intens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the NFEs differed greatly depending on the NFE source. Two of the yeast extract-based NFEs elicited higher umami intensity than the other NFEs. Addition of NaCl increased some of the savory-related flavors and the perceived viscosity of the sample. Aroma intensities, in general, were enhanced at the higher temperature, whereas flavor, aftertaste, and mouthfeel attributes were perceived to be stronger at the lower temperature.

멸치(Engraulis japonicus) 잔사 분말을 첨가한 칼국수의 최적화 (Optimizing Recipes of Korean-style Cut Noodles with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oup Base Residue Powder)

  • 이소연;류홍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45-555
    • /
    • 2014
  • To develop Korean-style cut noodles with enhanced protein and calcium levels, we manipulated the ratio of dried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oup base residue powder to wheat flour,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based on trained panel trials to determine the optimum ratio. Texture analysis and nutritional evaluation were also performed on cut noodles containing dried anchovy soup base residue (CNAR). Higher umami taste and springiness, and lower fishy flavor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overall acceptability. The optimal CNAR formulation consisted of wheat flour (96.02 g), anchovy residue powder (2.67 g), and water (50.64 mL). CNAR had lower gumminess and adhesiveness (P<0.001), but higher springiness, cohesiveness (P<0.001), and chewiness (P<0.05), than the control (original wheat flour cut noodles). The addition of anchovy soup base residue elevated protein, lipid, and ash levels relative to the control. Color 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residue powder content. In vitro protein and starch digestibility of CNAR were lower than in the control (P<0.001). CNAR yield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than the control (P<0.01), leading to CNAR's improved palatability. Dried anchovy soup base residue can be used in wheat flour cut noodles to improve nutrition, sensory acceptability, and profit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