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tructural study

검색결과 415건 처리시간 0.034초

고양이 삼차신경꼬리핵에서 저역치기계자극수용기 유래 들신경종말의 연접이전종말이 함유하는 신경전달물질에 대한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Neurotransmitters in the Endings Presynaptic to Vibrissa Afferent Terminals in the Cat Trigeminal Caudal Nucleus)

  • 김윤숙;문철주;조진현;배진영;나연경;복혜정;배용철;백상규
    • Applied Microscopy
    • /
    • 제42권1호
    • /
    • pp.9-16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삼차신경꼬리핵 제 3~4층에서 저역치기계자극정보를 전달하는 일차들신경섬유의 종말과 연접하는 연접이전종말(presynaptic ending; p-ending)들이 어떤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을 함유하는 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기생리학적으로 동정된 고양이콧수염유래 일차들신경종말을 단일 축삭내 HRP주입법으로 표식하였고, GABA와 glycine에 대한 항혈청으로 포매후금입자면역염색법을 시행한 후,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표식종말과 연접하는 16개 p-ending들 중 8개(50%, 8/16) p-ending들은 GABA만을 함유하였으며, 나머지 8개(50%, 8/16) p-ending들은 GABA와 glycine 모두를 함유하는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이 두 집단의 p-ending 사이에는 유의한 평균체적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으며, 각 p-ending이 함유하는 GABA와 glycine의 상대적 함량은 서로 달랐다. 이러한 결과들은 삼차신경꼬리핵에서 콧수염유래 일차들신경섬유에 의해 전달되는 저역치기계자극정보는 GABA 및 glycine에 의해 연접이전제어(presynaptic modulation)를 받으며, 그 연접이전제어는 각 일차들신경섬유의 종말마다 다르게 나타날 것 이라는 점을 제시한다.

가령에 따른 백서 악관절 원판의 형태 및 미세구조적 변화 (CHANGES IN THE SHAPE AND ULTRASTRUCTURE OF THE ARTICULAR DISC OF THE RAT MANDIBULAR JOINT WITH AGING)

  • 서혜경;경희문;성재현;배용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31-348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shape and ultrastructure of the articular disc of the rat mandibular joint with aging. Mechanical stress applied to the articular disc changes during neonatal, suckling, juvenile, adult and senile stages. Mandibular joints of 6 groups of rats(1-, 7-, 17-, 27-, 55-day and over-1-year groups) were removed en bloc and processed for light and electro microscopic study. The changes in the shape of articular disc were examined by light microscope in each group. Structural and ultrastructural changes in the articular disc were examined by light and electron microscope in each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In the 1-day and 7-day groups, the articular disc was long and slender in shape and the articular disc was not fitted with the shape of the mandibular fossa and condyle. However' after that time, the anterior and posterior portions of the articular disc were more bulged and the middle portion was shorter and biconcave. Thus the articular disc was well fitted with the shape of the mandibular fossa and condyle. The cell density decreased with aging. In the l -day and 7-day groups, the Golgi apparatus,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free ribosome, which are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matrix, were developed. In the 17-day, 27-day and 55-day groups, not only the cell organelles involved in the synthesis of the intracellular and extracellular matrix but also the cell organelles involved in the remodeling of the extracellular matrix(i.e., finger-like cell process, lysosome and mitochondria)were well developed. With advancing age, intracytoplasmic microfilaments were more accumulated and condroid cells increased. In the over-1-year group, the majority of cells of the articular disc were chondroid cells. The majority of cytoplasmic compartment were filled with intracytoplasmic microfilaments and cell organelles were not developed. Therefore, metabolic activities of the cell was markedly reduced and cells contained structures enduring mechanical stress, and cells which were in the process of degeneration were observed occasionally.

  • PDF

백서의 총담관 결찰에 의한 간 섬유화의 초미세구조적 및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Ultrastructur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y of Hepatic Fibrosis after the Lig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in Rats)

  • 문경래;노영일;서우철;박영봉;김만우;서재홍;박상기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2호
    • /
    • pp.185-193
    • /
    • 1999
  • 목 적: 답즙 정체를 주 소견으로 하는 만성 간질환의 대부분에서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가 관찰된다. 특히 간외 담도 폐쇄증에서 가장 현저하다. 그러나 섬유화의 병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총담관 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담소관의 증식과 간섬유화의 진행과정 및 간섬유화에 대한 Ito 세포의 역할을 형태학적으로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 방 법: 건강한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대상으로 총담관을 결찰한 후 15일, 21일, 24일, 28일째에 도살하여 담소관의 증식과 간 섬유화의 진행과정을 smooth muscle act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과 전자현미경적 검사를 하였다. 결 과: 1)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간문맥 중심으로 담소관의 증식과 결체조직의 증식이 증가하였다. 2)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에서 활성화된 Ito 세포는 smooth muscle actin에 양성반응을 보였고, 총담관 결찰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담소관주위와 동모양혈관 주의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3) 전자현미경적 관찰에서 총담관결찰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Ito 세포가 증가하였으며, 지방적의 수가 감소한 근섬유모 세포를 닮은 Ito 세포와 근섬유모 세포의 수가 증가하였다. 결 론: 총담관 결찰후에 볼 수있는 간 섬유화는 활성화된 Ito 세포의 증가와 Ito 세포가 교원질을 분비하는 근섬유 모세포로 변형되기 때문에 생긴 것으로 생각된다.

  • PDF

Puromycin aminonucleoside의 사구체 상피세포에 대한 영향 (Effects of puromycin aminonucleoside on the cytoskeletal changes of glomerular epithelial cells)

  • 이준호;하태선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호
    • /
    • pp.54-61
    • /
    • 2008
  • 목 적 : 특발성 신증후군의 연구를 위하여 병태생리 및 임상소견과 유사한 실험적 puromycin aminonucleoside(PAN) 신증을 이용하는데 본 연구는 배양한 사구체 상피세포에 대한 PAN의 영향을 통하여 신증후군의 주 원인 병태생리인 단백뇨의 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사구체 상피세포를 배양한 후 다양한 농도의 PAN과 항산화제를 투여하여 전자현미경관찰, 반응성 산소종 투과율 변화, confocal microscopy 등을 통하여 족세포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 과 : 사구체 상피세포의 초고배율소견에서 PAN에 의해 세포간극이 벌어지고 표면의 미세돌기가 단축되는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세포간극의 변화는 세포막부분의 ZO-1에 대한 면역형광검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DCF-DA로 측정한 반응성 산소종은 PAN에 의하여 농도에 따라 투여 2시간에 이미 유의한 증가를 보이나, 이러한 변화는 항산화제인 EGCG, probucol, vitamin C에 의해 감소하였다. 또한, 세포단층모델에서 투과율은 PAN에 의하여 농도에 따라 증가하나 항산화제에 의해 증가가 억제되었다. 세포골격구조인 ${\alpha}-actinin$은 사구체 상피세포의 세포질과 바깥 세포막부분으로 actin과 같이 분포하나 고농도의 PAN에 의해 세포질 바깥쪽의 일부분에 집중하는 형상으로 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항산화제인 vitamin C의 처치에 의해 예방될 수 있었다. 세극막성분인 ZO-1는 고농도의 PAN에 의해 안쪽으로 이동하고 집중하는 형상으로 변하였으나, vitamin C의 처치에 의해 예방되었다. 이와 함께 ${\alpha}-actinin$과 ZO-1은 PAN에 의해 단백양이 감소하였으나 이는 항산화제에 의해 예방할 수 있었다. 결 론 : PAN은 사구체 상피세포의 반응성 산소종 생성을 증가시키고, 구조성분의 변화를 통하여 형태학적인 변화를 초래하며 이는 투과율의 증가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들은 항산화제에 의해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었음으로, PAN은 생체 외 사구체 상피세포에 산화스트레스기전을 통하여 구조적 변화와 이에 따른 단백뇨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Aspirine투여(投與)가 Rat의 위점막(胃粘膜) 세포(細胞)에 미치는 미세형태학적연구(微細形態學的硏究) (Effect of Aspirin on the Fine Structure of Rat Gastric Mucosal Cells)

  • 장인호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권
    • /
    • pp.201-214
    • /
    • 1983
  • Aspirin이 위점막(胃粘膜)에 손상(損傷)을 일으키는 기전(機轉)을 해명(解明)하고 침해(侵害)받는 세포(細胞)의 종류(種類) 및 형태(形態)를 구명(究明)하고자 rat에 체중(體重) 1kg당(當) 60mg을 경구(經口) 및 피하(皮下)로 투여(投與)한 후(後) 경시적(經時的)으로 임상소견(臨床所見)을 관찰(觀察)함과 동시(同時)에 위점막세포(胃粘膜細胞)의 형태적변화(形態的變化)를 광학(光學) 및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으로 관찰(觀察)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aspirin의 경구(經口) 및 피하투여(皮下投與)에 의(衣)하여 특별(特別)한 임상소견(臨床所見)이나 위점막(胃粘膜)의 육안적(肉眼的) 및 광학현미경적(光學顯微鏡的) 소견(所見)은 인정(認定)되지 않았으나 미세형태학적(微細形態學的)으로는 투여경로(投與經路)에 관계(關係)없이 명백(明白)한 변화(變化)를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즉(卽) 위점막세포중(胃粘膜細胞中) 가장 심하게 손상(損傷)받는 세포(細胞)는 벽세포(壁細胞)와 주세포(主細胞)로서 벽세포(壁細胞)에서는 SER과 intracellular canaliculi의 증식(增殖)이, 그리고 주세포(主細胞)에서는 RER의 단열(斷裂), 확장(擴張) 및 효소원과립(酵素原顆粒)의 수적감소(數的減少)와 구조적이상(構造的異常)과 같은 가역적(可逆的) 변성변화(變性變化)가 인정(認定)되었으며 점액세포(粘液細胞), 점액경세포(粘液頸細胞), 기저과립세포(基底顆粒細胞)는 비교적(比較的) 경(經)한 변화(變化)를 보였다. 경구투여군(經口投與群)보다는 경미(輕微)하지만 피하주입군(皮下注入群)에서도 경구투여군(經口投與群)에 상응(相應)하는 변화(變化)를 나타낸 점(点)은 aspirin에 의한 위점막(胃粘膜) 손상(損傷)이 aspirin의 직접적영향외(直接的影響外)에 혈중(血中) aspirin 농도(濃度)에 의(依)한 간접적손상(間接的損傷)도 가미(加味)된다는 것을 시사(示唆)하는 형태적소견(形態的所見)이라고 생각(生覺)되었다.

  • PDF

일과성 허혈 및 허혈후 재관류가 기니픽 심실심근세포의 미세구조 및 칼슘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Changes of the Ultrastructure and $Ca^{2+}$ Distribution after Transient Ischemia and after Reperfusion in the Myocardial Cells of Isolated Perfused Guinea Pig Hearts)

  • 김용문;김호덕;라봉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19권1호
    • /
    • pp.1-18
    • /
    • 1989
  • 허혈로 인하여 손상을 받은 심근세포의 기능을 재건하기 위하여 재관류가 반드시 이로운가하는 것에 대하여는 논란이 많다. 따라서 저자는 체중 500그람 내외의 기니피그를 실험재료로 하여 일과성허혈(10분) 및 일과성허혈후 재관류시(20분) 좌심실 심근세포의 미세구조 및 칼슘분포의 변화를 비교관찰하여 재관류가 심근세포재건에 어느정도 도움을 줄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조군에서는 심근세포의 미세구조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었으며 심근세포막 및 사립체내에서 20nm 크기 정도의 칼슘침착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일과성허혈후, 대부분의 심근세포에서는 세포막손상, I 대의 확장, 사립체의 종창, 세포내 수분축적, 당원과립의 고갈, 지방소적유령(ghost)의 출현, 염색질의 응집 및 변연부로의 이동, 세포연접의 분리 등의 미세구조의 변화와 심근세포막 및 사립체내에서 칼슘침착의 현저한 감소를 볼 수 있었으나, 비가역성의 변화는 찾아 볼 수 없었다. 그러나 허혈후 재관류시 일부의 심근세포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많은 세포에서 이러한 미세구조의 변화는 보다 심해져 국소적으로 근절(sarcomere)의 과이완 및 striation pattern의 소실, 세포부종 등이 현저해졌으나, 세포막 및 사립체내에서는 대조군에서와 같이 칼슘침착이 재출현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일과성허혈후 재관류는 심근세포의 칼슘 조절기능 회복에 어느정도 도움을 줄 수 있으나 허혈성 손상을 악화시킬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라 송과체의 미세구조 (Eine Structure of the Pineal Body of the Snapping Turtle)

  • 최재권;오창석;설동은;박성식;조영국
    • Applied Microscopy
    • /
    • 제25권2호
    • /
    • pp.39-52
    • /
    • 1995
  • Pinealocytes in the lower vertebrate are known to have photoreceptive function. These photoreceptor cells have been characterized morphologically in various species of lower vertebrates. No such ultrastructural studies, however, were reported in fresh water turt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aracterize the pinealocytes and the phylogenetic evoluton of these cells is discussed in terms of functional analogy. I. Light microscopy: The pineal body was divided into incomplete lobules by connective tissue septa containing blood vessels, and parenchymal cells were arranged as irregular cords or follicular pattern. In the lobules, glandular lumina were present and contained often densely stained materials. II. Electron microscopy: The pineal parenchyma had three categories of cells: photoreceptor cells, supportive cells and nerve cells. The photoreceptor cells had darker cytoplasm compared to the supportive cells, and the enlarged apical cytoplasm(inner segment) containing abundant mitochondria and dense cored vescles protruded into the glandular lumen in which lamellar membrane stacks(outer segment), dense membranous materials, and cilia were present. Some of these lamellated membrane stacks appeared to be dege-nerating while others were apparently newly formed. Constricted neck portion of the photoreceptor cells contained longitudinally arranged abundant microtubules. centrioles and cross-striated rootlets. Cell body had well developed Golgi apparatus, abundant mitochondria, dense granules($0.5{\sim}1{\mu}m$), dense cored vesicles($70{\sim}100nm$),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occasionally with dense material within its cisterna. Basal portion of the photoreceptor cells had basal processes often with synaptic ribbons, which terminate in the complicated zone of cellular and neuronal processes. Synatpic ribbons often made contact with the nerve processes and the cell processes of neighboring cells. In some instances, these ribbons were noted free within the basal process and were also present at the basal cell mem-brane facing the basal lamina. Obvious nerve endings with clear and dense cored vesicles were observed among the parenchymal cells. Photoreceptor cells of the snapping turtle pineal body were generally similar in fine structure to those of other lower verterbrates reported previously, and suggested to have both photoreceptive and secretory functions which were modulated by pinealofugal and pinealopedal nerves. The supportive cells were characterized by having large dense granules($0.3{\sim}1{\mu}m$), abundant ribosomes, well developed Golgi apparatus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These cells were furnished with microvilli on the luminal cell surfaces, and often had centrioles, striated rootlets, abundant filaments especially around the nucleus, and scattered microtubules. Some supportive cells had cell body close to the lumen and extended a long process reaching to basal lamina, which appeared to be a glial cell. Nerve cells within the parenchyma were difficult to identify, but some large cells located basally were suspected to be nerve cells, since they had synaptic ribbon contact with photoreceptor cells.

  • PDF

한국 서해산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의 생식세포발달의 미세구조적 연구 및 생식주기 (Ultrastructural Study of Germ Cel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Hen Clam, Mactra chinensis on the West Coast of Korea)

  • 정의영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권2호
    • /
    • pp.141-156
    • /
    • 1997
  • 1992년 1월부터 12월까지 1년간에 걸쳐 전북 군산, 선연리 조하애에서 채집된 개량조개, Mactra chinensis Philippi를 대상으로 생식세포 발달과 생식소 발달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토과형 전자현미경으로 미세구조 변활르 관찰하였고, 정확한 산란기를 규명하기 위해 조직학적으로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개량조개는 장웅이체이다. 난황형성과정은 난모세포의 발달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전난황형성기 난모세포질 내에서는 핵주변 구여게 골지장치와 수많은 공포들 및 미토콘드리아들이 출현하고 있는데 이들은 차후, 지방적 형성에 관여한다. 난황형성전기 난모세포에서는 지방적 및 지질과립들이 핵막 근처에서 출현하여 피질층쪽으로 분산되는 반면, 같은 발달단계의 난모세포질의 피질구역에서는 피질과립들 (단백질성 난황과립)이 처음으로 생성되어 난황막 근처의 피질층에서 핵주변 구역쪽으로 분산 분포된다. 난황형성후기 난모세포에서는 세포질 내의 골지장치, 공포, 미토콘드리아, 그리고 조면소포체들이 자율합성에 의해 난황과립 형성에 관영하고 있다. 반면, 외인성 물질들인 지질형태의 과립들, 단백질성 물질 및 다량의 글리코겐 입자들이 생식상피 낸에서 출현하고 있는데, 이들 물질이 생식상피에서 난황막 구조물인 미세융모를 통해 난황형성 후기 난모세포의 난질 내로 통과해 들어가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난황성성이 일어날 때에 hterosynthesis가 일어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완숙난모세포의 난경은 약 50-60 \mu m이고, 완숙정자 두부의 길이는 대략 3 \mu m이며, 미부의 길이는 약 30 \mu m정도이다. 정자 미부편모의 axoneme은 중앙의 2개의 미세소관(microtubule)과 주변에 위치한 9개의 2중 미세소관 (microtubule)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종의 산란기는 5월에서 9월 중순에 걸쳐 일어나는데, 주산란시기는 해수수온이 22 \circ C 이상으로 상승하는 6, 7월이다. 따라서 1년에 산란 (번식)시기가 한번 일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생식 주기는 초기활성기 (1-2월), 후기활성기 (2-4월), 완숙기 (4-9월), 산란기 (5-9월) 그리고 퇴화 및 비솰성기 (6-12월)의 연속적인 5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재생산에 가담할 수 있는 암, 수개체들의 군성숙도(%)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각장 3.5-3.9cm 범위의 개체는 55.5%이었고, 5cm 이사인 개체들은 재생산에 100% 참여하였다. 본 종의 암, 수개체들은 만 1년부터 재생산에 가담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Short-Term Storage and Cryopreservation of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Sperm

  • Kang, K.H.;Kho, K.H.;Chen, Z.T.;Zhang, Z.F.;Chang, Y.J.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제3회 국제심포지움 및 학술대회
    • /
    • pp.74-74
    • /
    • 2003
  • In present study, attempts were made to preserv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sperm in liquid form at low temperature, to evaluate the effect of various diluents in short-term storage on sperm, and cryopreservation procedures were optimized for the cryoprotectants as well as freezing rates, in terms of the motility and survival rate, and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sperm after short-term storage and cryopreservation were observed. The abalone sperm reached maximum motility until about 4min after activation. The motility was constant for about 16min, after which it dropped gradually, and about 50min later all motility ceased. Threshold activation of sperm was found in 40% artificial seawater (ASW), and motility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ASW increased. In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without calcium (Ca-Free HBSS, 300 and 400 mOsmol/kg) and 10%, 20%, and 30% ASW the sperm was immotile, and motility once again restored incompletely only in HBSS of 300 and 400 mOsmol/kg, 20% and 30% ASW after 100% ASW was added. Sperm motility was extended following 20 days of cold storage only in 70% and 100% ASW. A high motility index of 3.5-4.5 was observed for the first 8 days in 70% and 80% ASW. In other diluents sperm motility was constant less than 10 days, and the motility index was obviously lower than that of sperm in 70% and 100% ASW. After 20 days of cold storage survival rates of 10.2%-20.7% were obtained in ASW and 300 mOsmol/kg HBSS, and that in 400 HBSS (65.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The constant period of sperm motility stored in 70% ASW was longer obviously than that in 100% ASW after 6 days of storage, and the time to maximum motility of sperm stored in 70% increased gradually, while the difference in which of sperm in 100% ASW was not significant. The sperm plunged into liquid nitrogen all died except that sperm using 15% glycerol as cryoprotectant restored 10.4% of motility. The highest motility index (3.4) was obtained with 5% glycerol and freezing procedure: $50^{\circ}C$/min from $20^{\circ}C$ to $-80^{\circ}C$.

  • PDF

Nd:YAG레이저조사가 경화상아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Effect of Nd:YAG Laser Irradiation on the Sclerotic Dentin)

  • 김문현;신금백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4호
    • /
    • pp.397-410
    • /
    • 1999
  • In order to obtain the basic data concerning the optimal parameters in using Nd:YAG laser as a therapeutic modality to dentinal hypersensitivity, the author prepared 3 sections of sound dentin and 10 sections of sclerotic dentin with thickness of $0.5mm{\pm}0.1mm$ from human extracted teeth of anteriors and premolars, and applied the laser energy from a fiberoptic delivered, free running, pulsed Nd:YAG laser (wavelength 1064nm, pulse duration $120{\mu}sec$, fiber diameter $320{\mu}m$) to surfaces of sound and sclerotic dentin sections for 1 second with contact/unidirectional moving mode of the fiber under speed of 3mm~4mm/sec and parameters of 0.5W/10Hz, 1.0W/10Hz, 1.5W/10Hz, 2.0W/10Hz: $62J/cm^2$, $124J/cm^2$, $187J/cm^2$, $249J/cm^2$. The author comparatively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ultrastructural changes on surfaces of sound and sclerotic dentin sections irradiated by the pulsed Nd:YAG laser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 fairly ill-defined bordered surface of partially closed and melted dentinal tubules can be seen o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eature of the sound dentin surface irradiated by the pulsed Nd:YAG laser with energy density of $62J/cm^2$. The physical modification of sound dentin surface extensively occurred depended on the increase of energy density from $62J/cm^2$ to $124J/cm^2$, $187J/cm^2$, $249J/cm^2$. While, a fairly well-defined bordered surface of partially closed and melted dentinal tubules with thickened peritubular dentin can be seen on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feature of the sclerotic dentin surface irradiated by the pulsed Nd:YAG laser with energy density of $62J/cm^2$. The physical modification of sclerotic dentin surface of a fairly rough, shallow depression with many cracks, thickened peritubular dentin and structureless dentinal tubules extensively occurred depended on the increase of energy density from $62J/cm^2$ to $124J/cm^2$, $187J/cm^2$, $249J/cm^2$ compared to those of sound dentin surface irradiated by the pulsed Nd:YAG laser under the same parameter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pulsed Nd:YAG laser as a therapeutic modality to dentinal hypersensitivity should be applied with the less energy density than $62J/cm^2$ on the sound dentin surface, and its energy density on the partially sclerotic dentin surface should be lower than that on the sound dentin surface to preserve tooth from unnecessary excessive structural destr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