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onification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8초

초음파 처리시간이 튀김 계육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ltrasonic Treatment Time on the Quality and Palatability of fried Chicken Meat)

  • 남주현;송형익;박충균;박성하;김도완;문윤희;정인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5-121
    • /
    • 2002
  • 본 연구는 초음파 처리시간이 튀김 계육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의 경우 가슴육 및 다리육 모두 U-10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단백질 함량은 대조구와 초음파 처리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지방함량은 초음파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높아졌다. 튀김감량은 초음파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보수력은 초음파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대조구보다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물리적인 조직감은 대조구와 초음파처리구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 L*(명도)값은 대조구와 초음파 처리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나, 가슴육이 다리육보다 높았다. 그리고 a*(적색도)값은 초음파처리에 의한 영향은 없었으나 다리육이 가슴육보다 높았다.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및 argin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가 약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초음파 처리시간에 따라 향상되었다.

Purification of Total Ginsesides with Macroporous Resin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 Li, Huayue;Jin, Haizhu;Lee, Dong-Geun;Lee, Jae-Hwa;Lee, Sang-Hyeon;Ha, Bae-Jin;Ha, Jong-Myung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321-1326
    • /
    • 2006
  • Total ginsenosides were purified and their antioxidant, antibacterial and anticancer activities were measured. The crude extracts of ginseng, which were extracted with 75% ethanol by ultrasonification method, were firstly purified on AB-8 macroporous adsorption column to remove water soluble impurities, and decolored on Amberlite IRA 900 Cl anion-exchange column. Then, they were purified on Amberlite XAD16 adsorption column to delete the non-polar impurities. Total ginsenosides contents of the purified extracts were 79.4%, 71.7% and 72.5% in cultured wild ginseng,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whic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ose of crude extracts. All of the three extracts showed concentration-dependant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DPPH radicals, among which white ginseng showed the most powerful activity. Cultured wild ginseng roots showed strongest effect against both B. subtilis PM 125(Gram-positive) and E. coli D31 (Gram-negative) bacteria, while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only showed the activity against B. subtili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TT assay, ail of the three extracts inhibited the growth of U-937 human hohistiocytic lympma cell, which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추출조건에 따른 진피(陳皮) 및 승마(升麻) 추출물의 미백 활성효과 (Inhibitory Effect of Citrus Unshiu Peel and Cimicifuga Dahurica Extracts on Melanogenesis accroding to the Various Extraction Methods)

  • 이윤정;송현우;이보리;나혜림;송봉준;이영미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36
    • /
    • 2022
  • Objectives: Excessive melanin production leads to skin pigmentation, which causes various cosmetic and health problems. Citrus unshiu Markovich peel (CS) and Cimicifuga dahurica (CD) have long been widely used as a oriental medicinal plant because of their pharmac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ul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Metho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CS,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on melanogenesis according to the various extraction methods. CS and CD extracted were prepared by ethanol extraction (E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USE), Supercritical extraction (SCE), reflux extraction (RE), respectively. Results: DPPH radical scavenging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were increased in dose-dependent manners.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effect of CS,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induced B16-F10 melanoma cells. CS,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significant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at 10-200 ㎍/mL. Conclusions: Therefore, our study suggests that CS and CD extracts have potential as a safe treatment for excessive pigmentation or as a natural ingredient in cosmetics.

추출방법에 따른 참취(Aster scaber Thunb.)의 페놀화합물 함량과 생리활성 및 소화효소 저해 효과 (Polyphenolic Compounds,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Digestive Enzyme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Processes)

  • 김재원;윤광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701-1708
    • /
    • 2014
  • 참취의 활용 및 생리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 추출방법을 알아보고자 상온교반, 환류냉각, 가압가열,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두벌 째 수확 참취 추출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 수율은 환류냉각추출, 초음파추출, 가압가열추출, 상온추출, 저온고압추출 순으로 높았다.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저온고압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상압가열, 고온고압, 초음파추출에서는 대등한 함량을 나타내었다. 페놀화합물 정량의 경우 chlorogenic acid 함량은 가압가열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cynarin 함량의 경우 환류냉각,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astragalin 함량의 경우 저온고압추출에서 높은 함량이 검출되었다. Xanthine oxidase(XO),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HMG-CoA reductase 저해활성의 경우 저온고압추출 및 초음파 추출물에서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소화효소 저해활성(${\alpha}$-amylase, trypsin, lipase)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저온고압 및 초음파 추출물에서 소재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며 천연 항산화제 및 기능성 증진을 위한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안경용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한 소프트렌즈 세척 실태 조사와 세척용기에 따른 단백질 제거 효과 (The Investigation on Ultrasonic Cleaning of Soft Contact Lenses in Local Optical Shops and the Protein Removal Effect by Lens Containers)

  • 구성봉;조슬비;박미정;김소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40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안경원에서의 안경용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한 소프트렌즈 세척 실태를 조사하고 세척용기를 달리하였을 때의 단백질 제거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서울시 소재 75개 안경원을 대상으로 소프트렌즈 세척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인공누액을 사용하여 소프트렌즈에 인위적으로 단백질을 침착시킨 후 세척용기를 달리하여 안경용 초음파세척기로 세척한 후 단백질 잔존량을 측정함으로써 세척효율을 비교하였다. 또한 반복적인 초음파 세척으로 인한 소프트렌즈의 표면과 습윤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안경원에서 콘택트렌즈 세척에 안경용 초음파세척기를 이용하는 주목적은 신속함 때문임을 확인하였다. 세척용기로 플라스틱 렌즈 용기와 유리병 렌즈용기를 사용하고 안경용 초음파세척기로 소프트렌즈를 세척한 경우 유리병 렌즈용기를 사용하였을 때 세척효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 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한편 반복적인 초음파 처리로 인하여 소프트렌즈의 표면과 습윤성의 변화가 나타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안경용 초음파세척기 이용 시 세척용기로 플라스틱 렌즈용기와 유리병 렌즈용기의 사용이 모두 효과적이었지만 반복적인 초음파 세척 시에는 세척용기를 사용하였다 하더라도 초음파로 인한 소프트렌즈의 변성이 우려되므로 주의를 기울여 사용하여야 것이다.

초음파와 전기장 처리에 의한 하수슬러지 탈수성 향상 (Enhancement of Dewaterability of Sewage Sludge by Ultrasonification and Electric Field Treatment)

  • 모우종;한지선;안창민;윤순욱;석희정;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3-30
    • /
    • 2013
  • 슬러지 처분비용은 하수처리장 운영에 있어서 중요한 경제적 요소이다. 더욱이, 2013년부터 유기성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금지되면서 대부분의 슬러지가 육상 처리 되어야 하기 때문에 슬러지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음파와 전기장 처리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탈수성 향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슬러지는 pilot-scale의 전처리 장치로 초음파와 전기장 단독처리 그리고 초음파 및 전기장 병합처리 되었으며, 처리 후 lab-scale 필터프레스 장치로 탈수되었다. 실험한 초음파 에너지 밀도 범위는 225~1,200 kJ/L였고 전기장 처리장치는 4.5~24 kJ/L였다. 초음파 단독처리와 초음파 및 전기장 병합처리 된 슬러지의 탈수 cake 함수율은 에너지 밀도 1,200 kJ/L일 때, 처리하지 않은 슬러지보다 각각 10~12% 감소하였으며 이 때 슬러지 함수율은 65~66%였다. 초음파 및 전기장 병합처리가 초음파 단독처리보다 탈수된 슬러지 cake의 함수율을 낮추는데 효과적이었으나, 전기장 단독처리의 경우 에너지 밀도가 낮아 함수율의 변화는 거의 없었다.

추출 방법에 따른 쑥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Effects of Extraction Methods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Artemisia sp.)

  • 강경명;이신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49-1254
    • /
    • 2013
  • 3종의 사철쑥, 약쑥, 개똥숙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적정 추출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환류냉각추출, 고온가압추출, 저온고압추출 및 초음파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추출수율은 환류냉각과 고온가압추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총 polyphenol 및 총 flavonoid의 함량 또한 환류냉각 추출물이 각각 사철쑥(260.82 mg GAE/g, 11.52 mg RHE/g), 약쑥(218.62 mg GAE/g, 8.32 mg RHE/g), 개똥쑥(189.23 mg GAE/g, 7.35 mg RHE/g) 순으로 높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쑥의 세 시료 중 모두 환류냉각과 고온가압추출이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 사철쑥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은 사철쑥(45.48%, 68.29%), 약쑥(45.73%, 61.43%), 개똥쑥(44.25%, 58.19%) 모두 환류냉각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사철쑥 추출물의 지질산패 억제활성은 환류냉각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다.

건조 및 추출 방법을 달리한 떡쑥(Gnaphalium affine D. DON)의 항산화 효과에 대한 연구 (Effect of Drying and Extraction Methods on Antioxidant Activity of Gnaphalium affine D. DON)

  • 김혜진;박병건;한인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95-701
    • /
    • 2015
  • 본 연구는 떡쑥을 동결건조, 음지건조, 열풍건조 후 상온교반과 초음파를 각각 적용하며 물, 80% 메탄올, 80% 에탄올로 추출한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각 건조 방법 및 추출 조건에 따라 비교하였다. 총 페놀 물질 함량에서는 동결건조 상온교반 80% 에탄올 추출물(13.87 mg QE/g)이 가장 많은 양을 나타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는 음지건조 상온교반 80% 메탄올 추출물(12.78 mg QE/g)이 가장 높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에 있어서는 건조 방법 및 교반 조건에 따라서 DPPH radical 소거능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80% 에탄올과 80% 메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다. 환원력은 음지건조 초음파 80% 메탄올 추출물($225.5g{\mu}g$ TERP/g)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결건조 초음파 물 추출물($22.2{\mu}g$ TERP/g)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떡쑥의 환원력에서는 용매에 따라 80% 메탄올, 80% 에탄올, 증류수 순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떡쑥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능과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DPPH radical 소거능과 환원력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떡쑥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플라보노이드를 포함한 페놀물질로부터 기인하며 떡쑥은 물보다 80% 에탄올과 80% 메탄올이 항산화 물질 추출에 더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80% 에탄올 추출물의 모든 항산화 효과는 건조 및 교반 조건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물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80% 메탄올 추출물의 환원력은 열풍건조와 음지건조 처리 시 동결건조보다 높게 나타났다.

추출방법에 따른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및 소화효소 저해 효과 (Antioxidant and digestive enzyme inhibitory effects of Eisenia bicyclis extracted by different methods)

  • 김진학;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7-103
    • /
    • 2016
  • 미역과에 속하는 대황 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탄수화물 및 단백질 소화효소 저해능을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환류냉각추출물(RE), 초음파추출물(SE), 고온가압추출물(AE), 저온고압추출물(LE)의 수율과 주요 성분함량은 AE, RE, SE, LE 순으로 높았다. 고온가압추출물(AE)의 수율, 라미나린, 후코이단,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5.21%, 39.03%, 24.75%, 115.68 mg GAE/g, 36.67 mg RHE/g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모든 시료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500 mg% 농도에서 AE(86.60%), RE(83.09%), SE(84.41%), LE(80.45%) 순이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50 mg% 농도에서 모두 98%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모든 실험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고 AE, RE, SE, LE 순으로 높았으며, 500 mg% 농도에서 추출방법에 관계없이 98%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탄수화물 소화효소 중 amylase 저해 효과는 50 mg% 농도에서 AE(64.76%), RE(58.57%), SE(54.76%), LE(45.48%)순으로 나타났으며, ${\alpha}$-glucosidase 저해효과는 5 mg% 농도에서 AE(86.71%), RE(81.87%), SE(75.21%), LE(72.65%) 순으로 나타났다. 단백질 분해 효소 중 trypsin 저해 효과는 50 mg% 농도에서 AE(24.37%), RE(22.76%), SE(19.97%), LE(15.95%)순으로 나타났으며, ${\alpha}$-Chymotrypsin 저해효과는 50 mg% 농도에서 AE(49.05%), RE(43.60%), SE(40.63%), LE(38.10%) 순이었으며, 대황 추출방법은 $121^{\circ}C$에서 15분간 열처리하는 고온가압 추출방법이 가장 양호하였다.

자생 양치식물 지상부와 근경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Obtained from Aerial Part and Rhizomes of Ferns Native to Korea)

  • 신소림;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8-46
    • /
    • 2010
  • 메탄올을 용매로 12종 양치식물의 지상부와 근경의 건조시료를 초음파추출하여 페놀성 물질 함량 및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의 함량은 건조시료 1 g에 $2.793{\sim}140.014\;mg{\cdot}g^{-1}$, 생시료 1 g에 $0.779{\sim}49.579\;mg{\cdot}g^{-1}$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넉줄고 사리와 더부살이고사리의 지상부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건조시료 1 g에 $2.559{\sim}34.909\;mg{\cdot}g^{-1}$, 생시료 1g에 $0.714{\sim}11.487\;mg{\cdot}g^{-1}$으로 나타났다. 건조시료 중에는 관중 지상부, 생시료 중에는 더 부살이고사리의 지상부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은 지상부보다 근경에 많이 함유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는 지상부에 많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지상부보다 근경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은 지상부보다 근경에 많이 함유된 경향을 보였으나, 총 플라보노이드는 지상부에서 함량이 많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은 지상부보다 근경 추출물에서 높게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모두 나도히초미 근경 추출물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그러나 시료의 수분함량과 추출수율을 고려하여 $RC_{50}$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생시료의 양을 계산한 결과, 나도히초미 근경보다는 더부살이고사리 지상부가 DPPH와 ABTS radical 소거용 식물소재로 적합하였다. 양치식물의 추출물은 특히 ABTS radical 소거능이 매우 우수하였으며, 가지고비고사리 추출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가 ascorbic acid 또는 BHT와 유사한 소거활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