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imate lateral resistanc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4초

모래지반에서 쐐기모델을 이용한 단말뚝의 극한수평저항력 산정 (Evaluation of Ultimate Lateral Resistance for Single Pile Using Strain Wedge Model in Sand)

  • 김지성;강기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2권12호
    • /
    • pp.15-2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Strain wedge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수평하중이 작용하는 단말뚝의 극한수평저항력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저항특성은 쐐기 후면부의 수평저항토압, 쐐기 측면부의 전단저항, 그리고 말뚝과 지반의 마찰저항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의 합으로써 극한수평저항력을 산정하였다. 제안된 식을 기존의 쐐기 이론과 현장실험, 유한차분법과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제안식의 값이 기존의 쐐기 이론과 1.03%, 현장실험과는 0.40~3.32%, 유한차분법과는 6.02%의 차이를 보였다.

CPT결과를 이용한 사질토지반에 관입된 짧은 단일말뚝의 극한수평단위지지력 산정 (Estimation of Ultimate Lateral Resistance for Lateral Loaded Short Piles Using CPT Results in Sand)

  • 김민기;황성욱;경두현;이준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1083-1086
    • /
    • 2008
  • In this study, Estimate solutions of ultimate lateral resistances for lateral loaded piles are proposed using cone penetration values, $q_c$ values, as CPT results. Cone penetration values, $q_c$ values measured on clean sand layers, are represented by factors for relative densities, axial stresses, and lateral stresses which are important on analysis of sandy soil layers. Also, these factors are same factors to consider existed estimations of ultimate lateral capacity. In this study, estimation of ultimate lateral capacity for lateral loaded piles using CPT results is proposed, and this estimation is verified by adequate analysis for effective reliability.

  • PDF

수평토압분포를 고려한 CPT 기반의 말뚝극한수평지지력 산정 (Estimation of Ultimate Lateral Load Capacity Using CPT Results Considering Lateral Soil Pressure Distribution)

  • 김민기;경두현;홍정무;이준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37-4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원위치현장시험인 CPT의 콘관입치 $q_c$ 값을 이용하여 말뚝의 극한수평단위지지력과 극한수평지지력을 산정하는 예측식들을 제안하고, 검증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존 극한수평단위지지력과 극한수평지지력은 사질토지반에서 중요한 요소인 상대밀도, 연직응력, 그리고 다양한 토압계수들에 대한 함수로 표현하여 왔다. 하지만 이들은 수평음력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으며, 말뚝 주변지반이 단 일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영향을 고려할 수 있는 CPT 결과를 이용한 극한수평단위지지력 산정식과 극한수평지지력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는 순수사질토에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해석을 위해 적합한 대상지반을 대상으로 제안된 산정식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모형실험에 의한 사질토 지반에서 단말뚝의 수평거동 특성 (Later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Short Pile in Sands by Model Tests)

  • 김진복;박종운;한대환;권오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초청강연 및 논문집
    • /
    • pp.366-376
    • /
    • 2008
  • The model tests of short pile with very small pile length/diameter(L/D) were performed in this paper. Varying the pile diameter, length, and the lateral loading point, the lateral resistance and behavior of very short pile were studied in this model tests. The 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are as follows. The lateral ultimate resistance of short pile in sands was the maximum at the point of h/L=0.75, regardless of pile length/diameter(L/D). As the pile diameter is larger, the lateral ultimate resistance of pile with L/D=1 decreases a little and the lateral resistance increases according to the ratio of pile length/diameter. As the lateral loads are acting on the pile, the displacement of pile head is maximum at the pile top of h/L=0, but minimum at the middle point of the pile. And if the loading point is under the middle of pile, the displacement of pile head occurs oposite in the loading direction, but its magnitude is very small.

  • PDF

사질토지반에서 콘관입저항치 $q_c$에 의한 단말뚝의 극한수평단위지지력 평가 (Estimation of Ultimate Lateral Resistances of Piles Using CPT Cone Resistance in Sand)

  • 김민기;경두현;홍정무;이준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1호
    • /
    • pp.71-7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CPT 결과인 콘관입저항치 $q_c$값을 이용하여 말뚝의 극한수평단위지지력을 산정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기존의 지반물성평가를 이용하여 평가되어 오던 간접적인 방법과 비교하여, 현장측정치의 직접적 적용을 위한 극한수평단위지지력 산정법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점착력이 없는 사질토 지반을 대상으로 측정된 콘관입저항치 $q_c$값은 사질토지반에서 중요한 요소인 상대밀도, 연직응력, 수평응력에 대한 함수로 표현되며, 이는 기존에 제안되어온 극한수평지지력의 산정에 고려되는 요소들과 유사하다. 이러한 역학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CPT결과를 이용한 극한수평단위지지력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이는 점착력이 없는 사질토에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그에 대한 해석을 위해 해석대상지반을 대상으로 제안된 산정식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극한수평단위지지력의 측정값과 예측값에 따른 비교에 대해 표준편차는 0.279를 보였으며, COV는 0.272의 값을 보여 측정된 극한수평단위지지력과 대체적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전반적으로 제안식에 의해 예측된 극한수평단위지지력이 실내모형실험을 통한 측정값에 근접함을 알 수 있다.

말뚝의 허용횡방향지지력 결정법의 비교연구 (An Comparative Study on the Method of Determining Allowable Horizontal Bearing Capacity of Piles)

  • 이승현;한진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267-274
    • /
    • 2021
  • 말뚝의 허용횡방향지지력을 결정하는 방법으로는 지반반력법과 극한횡방향지지력에 근거한 방법이 많이 쓰이고 있는데 설계시 지반반력법에 근거한 방법만을 적용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조건과 말뚝머리 구속조건 그리고 말뚝길이에 따른 말뚝의 허용지지력을 이들 두 가지 방법을 적용하여 구하고 상호 비교함으로써 해석에서 고려한 조건들이 말뚝의 허용횡방향지지력 결정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말뚝머리 구속조건 및 말뚝길이에 상관없이 연약 점성토 지반에 설치된 말뚝의 경우 지반반력법에 의한 허용횡방향지지력이 설계를 지배함을 알 수 있었고 점성토의 비배수강도가 커짐에 따라 극한횡방향지지력을 통한 허용횡방향지지력이 설계를 지배함을 알 수 있다. 사질토 지반에 설치된 말뚝의 경우 느슨한 사질토지반에 설치된 말뚝머리 자유인 짧은말뚝의 경우를 제외하고 모든 경우에 있어 극한횡방향지지력을 통한 허용횡방향지지력이 설계를 지배함을 알 수 있다. 횡방향말뚝의 설게시 허용 횡방향변위량에 근거한 설계만으로 충분하다는 견해도 있지만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극한횡방향지지력에 근거한 허용횡방향지지력의 계산 또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수평지반반력계수는 허용횡방향변위량 이내에서는 말뚝폭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실제 많이 쓰이는 말뚝폭의 범위인 20~90cm 인 경우 말뚝폭의 영향을 무시해도 될 것으로 생각된다.

단일주동말뚝의 극한수평저항각력 (Ultimate Lateral Resistance of Single Active Piles)

  • 홍원표;박래웅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3권3호
    • /
    • pp.21-30
    • /
    • 1987
  • 말뚝머리에 수평력을 받는 단일주동말뚝의 극한수평저항력을 산정할 수 있는 몇몇 방법이 수평직 반반력, 말뚝길이 및 말뚝두부구속조건을 고려하여 확립제안된다. 말뚝의 이동에 의하여 주동말뚝 이 지반으로 부터 받게 되는 극한수평지반반력은 말뚝주변지반의 소성상태 및 말뚝형상을 고려하 는 것에 중점을 두어 유도한 산정이론식을 이용하여 산정될 수 있다. 말뚝은 짧은말뚝, 긴말뚝 등 으로 구분되며 이는 말뚝에 발생하는 최대횡모멘트와 항복모멘트의 비교에 의하여 구분된다. 말뚝 머리의 구속조건으로는 두부자유 및 두부요전구동의 두가지 경우가 취급된다. 실측치와의 비교에 의하면, 본이론에 의한 극한수평진항력은 Broms이론에 의한 이론치보다 더 잘 실측치에 접근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 PDF

식물뿌리의 극한 횡방향 저항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tudy on Ultimate Lateral Resistance of Roots of Vegetation)

  • 이승현;권오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205-4209
    • /
    • 2011
  • 식물 뿌리의 극한 횡방향 저항력을 알아보고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으로 모사한 식물뿌리의 극한 횡방향 저항력은 해석에서 가정한 점착력값들에 따라 기존의 공동팽창이론에 의한 연구결과값과 지지력해에 의한 값 사이에 분포하였으며 비교적 지지력해에 의한 값에 가까웠다. 또한, 수치해석결과를 회귀분석하여 얻은 지지력계수 $N_c$는 33이었다. 수치해석 결과에 따르면 극한 횡방향 저항력에 대응하는 항복변위는 점착력값에 따라 뿌리 지름의 0.08~0.29배 범위의 값을 보여주는데 작은 점착력값에 대한 항복변위는 큰 말뚝 지름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에 근접한 값을 보여주었으며 점착력이 증가함에 따라 작은 말뚝지름(=1cm)에 대한 연구결과에 근접한 값을 보여주었다.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강관합성 말뚝재료의 수평저항력 고찰 (Study on lateral resistance of steel-concrete composite drilled shafts by using 3D FEM)

  • 이주형;신휴성;최상호;박재현;정문경;곽기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683-690
    • /
    • 2008
  • Steel-concrete composite columns are popular for superstructures of bridges, and the outside steel attached to the shaft increases the shaft resistance due to confining concrete. In this study, lateral resistance of steel-concrete composite drilled shafts was evaluated quantitatively based on numerical analysis when steel casings are used as structural elements like composite columns. Ultimate lateral resistance of composite drilled shafts with various diameters was numerically calculated through 3D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hat, elasto-plastic model with perfectly plasticity is involved to capture the ultimate load. A commercial FEM program, MIDAS-GTS, is used in this study. Real field conditions of the West Coast, Korea were considered to set up the ground conditions and pile lengths required for this parametric studies.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stress and displacement distributions are evaluated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the composite shaft behavio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