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imate bearing capacity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25초

SPT-N값에 따른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특성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of End Bearing Capacity of Pre-Bored Piles for the SPT-N value)

  • 서동남;최상호;김진식;김성철;이동현;조성준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3-134
    • /
    • 2020
  • The equation of end bearing capacity i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pile, construction method, and load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standards. The bearing capacity equation of the design standard is presen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s such as construction method and ground condition, etc. but, It does not reflect the ground strength according to the SPT-N value of weathered rock.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allowable tip bearing capacity by pile diameter through about 480 dynamic loading tests conducted for the construction/quality management of piles for the last 6 years since 2015. The equation for the ultimate end bearing capacity per unit area according to the SPT-N value is presented. The proposed formula of ultimate end bearing capacity per unit area can be applied in the range of 15,000kN/m2 to 30,000kN/m2. The proposed formula, which complements the existing formula, enables pile design and construction/quality management.

  • PDF

Bearing capacity of strip footings on unsaturated soils under combined loading using LEM

  • Afsharpour, Siavash;Payan, Meghdad;Chenari, Reza Jamshidi;Ahmadi, Hadi;Fathipour, Hessa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1권2호
    • /
    • pp.223-235
    • /
    • 2022
  • Bearing capacity of shallow foundations is often determined for either dry or saturated soils. In some occasions, foundations may be subjected to external loading which is inclined and/or eccentric. In this study,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shallow foundations resting on partially saturated coarse-grained cohesionless and fine-grained cohesive soils subjected to a wide range of combined vertical (V) - horizontal (H) - moment (M) loadings is rigorously evaluated using the well-established limit equilibrium method. The unified effective stress approach as well as the suction stress concept is effectively adopted so as to simulate the behaviour of the underlying unsaturated soil medium. In order to obtain the bearing capacity, four equilibrium equations are solved by adopting Coulomb failure mechanism and Bishop effective stress concept and also considering a linear variation of the induced matric suction beneath the foundation. The general failure loci of the shallow foundations resting on unsaturated soils at different hydraulic conditions are presented in V - H - M space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matric suction has a marked influence on the bearing capacity of shallow foundations. In addition, the effect of induced suction on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obliquely-loaded foundations is more pronounced than that of the eccentrically-loaded footings.

강관스커트 보강 조립토 군말뚝의 극한지지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Granular Group Piles Reinforced with Steelpipe Skirts)

  • 김홍택;황정순;강인규;고용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79-98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강관스커트 보강 조립토 군말뚝에 초점을 두고, 상부 매트기초와 하부기초지반 사이의 접촉면 각 지점별 불균등 침하량 예측을 위한 간편 유한요소해석기법과 이에 근거한 각 말뚝 인접지반의 하중분담비 평가방법 및 극한지지력 평가절차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하고자 하는 기법의 적합성과, 이를 토대로 한 극한지지력 예측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PENTAGON_{3D$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이용한 해석결과와의 비교.분석이 수행되었다. 이외에도, 강관스커트 보강유형에 따른 거동특성 분석과 스커트 보강에 의한 극한지지력 증대효과를 관련 설계변수와 연계한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 PDF

현장 축소모형 말뚝 시험을 이용한 선단지지력 예측 (Evaluation of Point Bearing Capacity using Field Model Pile Test)

  • 이창호;이우진;정훈준;한신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3호
    • /
    • pp.47-54
    • /
    • 2005
  • 현재까지 많은 경우 아직도 실무에서의 말뚝 설계는 주로 경험적 지지력공식만을 이용하고 있다. 시공 후 말뚝의 지지력 확인은 품질관리 차원에서 실시하는 동적시험 및 정적시험 등을 통하여 가능하나 이는 시공 중 또는 시공 후에만 가능하다. 지반 조사단계에서 간단한 시험을 통하여 각 지층별로 말뚝의 선단지지력을 예측할 수 있다면 경험식이나 정적공식에 의한 예측보다 신뢰성 있는 말뚝의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반조사 단계에서 실시 가능한 간단한 막대형 축소모형말뚝에 대한 동적시험으로부터 실제 말뚝 지지층의 선단지지력 예측 시험법을 제시하고 정재하시험과의 비교를 통하여 예측된 선단지지력을 검증하였다. 시험 결과 축소모형말뚝시험과 정재하시험을 통해 예측된 단위극한선단지지력은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N값에 의해 예측된 단위극한선단지지력은 현장시험에 의해 측정된 단위선단극한지지력의 약 50%정도로 N값에 의한 지지력의 예측은 매우 보수적인 설계로 비합리적이며 비경제적인 말뚝설계가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근사적인 해석법에 의한 근입된 벽체의 극한지지력 평가 (Assessment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for an Embedded Wall by Closed-Form Analytical Solution)

  • 이용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9호
    • /
    • pp.23-36
    • /
    • 2006
  • 본 연구는 사질토 지반에 근입되어 있는 벽체의 극한지지력을 구하기 위해 새로운 근사적인 해석법의 전개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근사적인 형태의 해석기법은 상계 및 하계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 하계법으로 계산된 값은 소성영역에서 구해진 2차원 실내벽체모형의 하중재하시험 및 유한요소해석 결과와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모형실험과 유한요소해석으로부터 구한 극한하중 값은 상계와 하계 사이에 모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교에서 특이 할 사항은 하계법으로 구한 벽체의 극한하중이 모형실험 및 유한요소해석에서 구한 극한하중과 잘 일치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평면변형률 조건에서 기존의 경험적인 식에 의한 계산에서 얻어진 극한하중은 하계법의 극한하중에 훨씬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laboratory and numerical study on the effect of geogrid-box method on bearing capacity of rock-soil slopes

  • Moradi, Gholam;Abdolmaleki, Arvin;Soltani, Parham;Ahmadvand, Masoud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4권4호
    • /
    • pp.345-354
    • /
    • 2018
  • Currently, layered geogrid method (LGM) is the commonly practiced technique for reinforcement of slopes. In this paper the geogrid-box method (GBM) is introduced as a new approach for reinforcement of rock-soil slope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laboratory setup was designed and the slopes without reinforcements and reinforced with LGM and GBM were tested under the loading of a circular footing. The effect of vertical spacing between geogrid layers and box thickness on normalized bearing capacity and failure mechanism of slopes was investigated. A series of 3D finite element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using ABAQUS software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the model tes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ad-settlement behavior and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footing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by the inclusion of reinforcing geogrid in the soil. It was found that for the slopes reinforced with GBM, the displacement contours are widely distributed in the rock-soil mass underneath the footing in greater width and depth than that in the reinforced slope with LGM, which in turn results in higher bearing capacity. It was also established that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geogrid-boxes, the distribution and depth of displacement contours increases and a longer failure surface is developed, which suggests the enhanced bearing capacity of the slope. Based on the studied designs,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the GBM-reinforced slope was found to be 11.16% higher than that of the slope reinforced with LGM.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reinforcement of rock-soil slopes using GBM causes an improvement in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as high as 24.8 times more than that of the unreinforced slope.

조립토 다짐말뚝의 지지력 특성 분석 - 모형토조실험 결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n Granular Compaction Pile - focusing on the Model Test Results)

  • 강윤;김홍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51-62
    • /
    • 2004
  • 조립토 다짐말뚝(granular compaction pile)공법은 비교적 강성이 크고 압축성이 작은 자갈, 쇄석 및 모래 등의 조립질 재료를 사용하여 연약한 지반에 말뚝을 조성하는 공법으로, 기초지반의 지지력 증가, 침하량 감소 및 압밀배수 촉진 등에 의한 지반개량 효과뿐 아니라, 사질토 지반에 적용시 지진에 의한 액상화 방지효과도 큰 공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립토 다짐말뚝은 Piled-raft system으로 시공되므로, 이 때 조립토 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에 대한 평가는 팽창파괴 중심부의 깊이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또한 조립토 다짐말뚝과 주변지반과의 하중분담에 대한 영향 및 지반내에서 조립토 다짐말뚝에 작용하는 구속응력의 변화를 적절하게 고려하여 조립토 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이 결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김 등(1998)에 의하여 연구되었던 조립토 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 평가에 대한 해석기법을 토대로, 단일 말뚝에 대하여 상재하중의 크기, 재하면적의 크기 및 파괴깊이에 따른 수평구속응력의 변화를 고려하여 극한지지력을 산정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조립토 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 평가기법의 타당성을 실내모형실험을 통하여 검증하였으며, 실험결과를 토대로 하여 군말뚝의 지지력 증가효과 및 압밀계수의 변화에 대하여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지중응력의 변화를 고려한 조립토 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 평가 (Evaluation of Ultimate Bearing Capacity on Granular Compaction Pile Considering Various Stresses in a Ground)

  • Kang, Yun;Yun, Ji-Yeon;Chang, Weon-Ho;Kim, Hong-Taek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115-124
    • /
    • 2004
  • 조립토 다짐말뚝(granular compaction pile)공법은 비교적 강성이 크고 압축성이 작은 자갈, 쇄석 및 모래 등의 조립질 재료를 사용하여 연약한 지반에 말뚝을 조성하는 공법으로, 기초지반의 지지력 증가, 침하량 감소 및 압밀배수 촉진 등에 의한 지반개량 효과 뿐만 아니라, 사질토 지반에 적용시 지진에 의한 액상화 방지효과도 큰 공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조립토 다짐말뚝은 Piled-raft system으로 시공되므로, 이 때 조립토 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에 대한 평가는 팽창파괴 중심부의 깊이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또한 조립토 다짐말뚝과 주변지반과의 하중분담에 대한 영향 및 지반내에서 조립토 다짐말뚝에 작용하는 구속응력의 변화를 적절하게 고려하여 조립토 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이 결정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김 등(1998)에 의하여 연구되었면 조립토 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 평가에 대한 해석기법을 토대로, 단일 말뚝에 대하여 상재하중의 크기, 재하면적의 크기 및 파괴깊이에 따른 수평구속응력의 변화를 고려하여 극한지지력을산정하기 위한 기법을 부시네스크 식을 이용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된 조립토 다짐말뚝의 극한지지력 평가 기법의 타당성을 실내모형 실험 및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PFC-2D 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치해석 결과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Composite action of notched circular CFT stub columns under axial compression

  • Ding, Fa-xing;Wen, Bing;Liu, Xue-mei;Wang, Hai-bo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24권3호
    • /
    • pp.309-322
    • /
    • 2017
  • This paper conducted both numerical and theoretical studies to investigate the composite action of notched circular concrete-filled steel tubular (CFT) stub columns under axial compression and established a theoretical method to predict their ultimate bearing capacity. 3D finite element (FE) analysis was conducted to simulate the composite action and the result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experimental results on circular CFT stub columns with differently oriented notches in steel tubes. Parametric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different parameters on the mechanical behavior of circular CFT stub columns and also the composite action between the steel tube and the core concrete. Based on the results, a theoretical formula was proposed to calculate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notched CFT stub columns under compression with consideration of the composite action between the steel tube and the core concrete.

전기동역학을 이용한 해성 점토 지반내의 말뚝 마찰지지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provement Pile friction in Marine Clay using Electrokinetics Treatment)

  • 이광열;구태곤;;현재덕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211-218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piles embedded in marine clay by electrokinetic(EK). The focus of improvement is at interlace between soil and pile. A series laboratory test was performed in EK cell. In each of test, the pile in the centre as anode is surrounded by cathode and it wa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pile with triangular layout. The pile was made by stainless and embedded with 30cm of depth. Afterward, the DC voltage was applied to electrode over period of time. It caused flowing water from anode to cathode, thus the soil in the center of box has higher bearing capacity value than in the side of box has. It is shown by increasing of un-drained shear strength(Cu) near the pile and also ultimate bearing capacity of pile increase after EK treatment. In the future work, the continuous of this study is finding the effective DC voltage and makes EK treatment more applicable in the fiel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