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Health

검색결과 2,341건 처리시간 0.038초

NFC 기반 U-Health 서비스 인증시스템 설계 (Design of U-Health Service Authentication System Based-on NFC)

  • 윤지상;박석천;박준식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20-922
    • /
    • 2012
  • 현재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이용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을 활용한 IT 기술들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이용 하여 사람들이 생활하는데 있어서 더욱 더 편리한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 환경을 제공해준다. 그 중 대표적인 기술이 U-Health(Ubiquitous-Health) 기술 이며 U-Health 기술은 건강증진과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효과적인 문제해결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U-Health 서비스는 스마트폰의 각종 센서를 활용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하고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하여 환자의 상태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환자와 병원 서버 간에 데이터 단일화, 통신문제 등으로 인해서 아직까지는 많이 활용되고 있지 않는 현실이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인한 환자의 개인신상 정보가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기반에서 환자와 병원간에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증 시스템을 설계 하였다.

u-Health 시스템의 수용 태도에 대한 건강증진모형의 요인 영향: 남·녀 조절효과 중심 (Effect of HPM Factors on Adoption Attitude of u-Health System: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 양영배;김민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213-22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Pender의 건강증진모형(HPM)을 활용하여 유헬스 시스템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는데 있고, 또한 제시된 연구 모형에서 성별 변수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건강증진모형에 근거하여 제시된 연구모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Smartpls 버전 2.0을 활용하여 부분최소자승법(PLS) 방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잠재적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모형에서 유헬스 시스템의 사용 태도에 대해 29% 정도의 설명력을 보여주었고, 경로에서 자기 효능감과 인지된 이점이 그 태도에서 유의한 통계적 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성별 변수의 조절 효과와 관련하여, 유헬스 시스템의 사용태도 측면에서 자기 효능감을 높일수록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관심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바이오센서 기술과 IT기술을 융합한 휴대용 의료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Embodiment for Constructing Mobile Medical Information System Combining Bio-sensor and IT Technology)

  • 김헌;이성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27-31
    • /
    • 2008
  • u-Health는 유비쿼터스 IT의 대표적인 실현방식이며 우리 삶을 풍요롭게 만들 산업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다. u-Health를 통하여 병원 중심의 진료라는 공간적 제약을 넘어, 생활과 진료공간을 자연스레 결합시키면서 일상 속에서 보편적 가치로 자리를 잡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현제 진행 중인 u-Health 시대에 맞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지식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체계적이고 지능적인 휴대용 의료정보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휴대용 의료정보시스템은 의학적인 전문적인 지식을 요하는 문제의 해결에 필요한 경험, 지식 및 전문가의 의사결정 과정을 컴퓨터에 이식하고 이를 이용자가 이용함으로서 추론 과정을 거쳐 전문가의 견해를 제공받을 수 있다.

  • PDF

상황인식 기반의 유헬스 환경정보 서비스 (Context-aware based U-health Environment Information Service)

  • 류중경;김종훈;김재권;이정현;정경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1-29
    • /
    • 2011
  • 건강증진과 고령화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효과적인 문제 해결 방안으로 유헬스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현재의 유헬스 서비스는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개발되고 서비스되고 있지만, 더 근본적인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해서는 건강과 관련된 환경정보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황인식 정보를 반영하는 유헬스 환경정보 서비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서비스는 사용자 지역의 기상 및 보건 정보를 이용하여 환경정보를 도출하고 건강관리에 이용하여 유헬스 서비스의 수준을 향상시킨다. 상황인식 기반의 유헬스 환경정보 서비스에서는 건강 및 생활 날씨 지수 기반의 식단, 운동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용자 위치기반의 위험지역에 대한 경고메시지와 원격 응급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상황인식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이벤트를 감지하고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유헬스 서비스의 만족도와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u-헬스케어시스템의 정보보안 체계 확보를 위한 5단계 보안위험도 평가모델 설계 (A Study on Five Levels of Security Risk Assessment Model Design for Ensuring the u-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 노시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1-17
    • /
    • 2013
  • 모든 u-헬스케어 시스템은 보안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이 취약점은 로컬(local) 또는 네트워크(network) 상에서 잠재적인 위험이 된다. 의료정보 기술의 Smart 환경, Ad-hoc networking, 무선통신 환경은, u-헬스케어 보안 취약성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다. u-헬스케어 의료정보시스템 도메인은 사용자단말 구간, 공중통신망 인프라구간, 네트워킹구간, 인트라넷구간으로 구분된다. 의료정보시스템 도메인별을 구분하여 취약점을 평가하는 이유는 도메인별로 취약점에 대한 대처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u-헬스케어시스템 5단계의 보안위험도 평가체계는 도메인별 보안취약성 진단체계를 설계하여 보안대책을 강구하기 위해 필요하다. 제안하는 모델을 사용할 경우 현재까지 막연하게 진행 되어온 USN 기반 의료정보네트워크 보안취약성 진단대책을 좀 더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형을 제공한다.

Study on the Latest Trends of u-Health and Relations of Medical Technologist

  • Sung, Hyun-Ho;An, Yong-Ho;Lee, Dong-Beom;Kim, Sang-Won;Park, Chang-Eun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178-183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latest trend of u-Health and relations with clinical technologist. Since 2000, Korea has become an aging society. Korea will become an aged society by 2018, and it is expected to enter the ultra-high aged society by 2026. Increase in over 65 years population means that the desire of medical service and care demand for the elderly is greatly required. In addition, many predicted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would falter financially. Medical suppression policies and regulations are also amended continuously. U-Health based on the IT industry and development of related technologies and industries contains the variety concepts of telemedicine, telehealth, e-health, u-healthcare and POCT. Especially, the use of POCT supplied quick clinical examination is extending steadily in medical center and hospital, which will generate the field friction between nurses and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transition situation from provider-centric service to consumer-driven health care system, this study recommended the principal role and correspondence of clinical laboratory workers and offered information about changes in healthcare market and the basic concept of expert system, measurement and the diagnosis principle to clinical technicians throughout the investigation of the recent research and government policy trends.

  • PDF

IoT를 결합한 Arudino기반의 척추 측만증 예방을 위한 자세 교정기 및 U-Health System 개발 (Development of U-Health System and Posture Corrector for Scoliosis Prevention based on Arduino combined IoT)

  • 이학준;오염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2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2호
    • /
    • pp.109-110
    • /
    • 2015
  • ICT 기술의 발달에 따라, 현대인들이 컴퓨터 앞에서 작업하는 시간은 증가했으며 장시간 의자에 앉아 한 자세 및 부적절한 자세와 생활 습관으로 인한 척추 측만증 및 허리 디스크 발병률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척추는 몸을 지탱하는 기둥으로써 사람의 몸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데 척추가 여러 원인으로 꼬이고 굽어져 'S'형으로 흰 상태를 척추 측만증이라고 한다. 유비쿼터스 컴퓨팅 기술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U-Health 시스템이 주목받고 있기 때문에 따라서 본 논문에서 일상 생활에서도 자신의 자세를 측정 및 교정이 가능하며 센서로부터 측정한 값은 사람의 체형마다 다르다는 단점을 보완하고 환자-의사가 통신 할 수 있는 IoT를 결합한 아두이노 기반의 척추 측만증 예방을 위한 자세 교정기 및 U-Health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U-Healthcare를 위한 Visualization Engine 개발 (Developing the Visualization Engine for U-Healthcare)

  • 김승욱;김민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767-1772
    • /
    • 2008
  • 최근 웰빙, 건강 등을 추구하는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자신의 건강에 대한 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가능하게 하는 u-Healthcare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의료정보시스템은 측정값의 저장과 단순 디스플레이만이 지원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의료정보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고 효율적인 상태확인이나 진단을 하기 위해서는 원하는 의료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제공해주도록 원활한 상호 작용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결과는 u-Healthcare의 다양한 서비스에서 보다 사용자 친화적(user-friendly)이면서도 더 나은 정보변별력을 제공하는 Visualization Engine에 대한 개발적 내용을 제시하였다.

휴대형 u-Health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ortable u-Health Monitoring System)

  • 한정수;김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6-53
    • /
    • 2009
  • 본 연구는 무구속 무자각 지향의 센싱 기술을 통해 취득된 환자 데이터를 지능적으로 처리하고 판단하여 개인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모바일 기반 휴대형 u-Health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USN 기반의 휴대형 모니터링 unit을 구성하였다. 환자의 몸에 부착하여 생체정보를 검출하는 생체계측센서, 그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고 모니터서버로 정보를 전송하는 휴대용 무선단말기, 그리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은 데이터를 해석하고 처리하기 위한 모니터서버가 그것이다. 또한, 당뇨 및 심혈관 질환 관련 무구속 무자각 지향의 센싱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센서 네트워크 기술에 기반한 유헬스 서비스 공간 구현 (An Implementation of a u-Health Service Space Based on Sensor Network)

  • 안시영;이태영;김도원;오하령;성영락;박준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2B호
    • /
    • pp.225-23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유헬스(u-Health) 서비스를 제공하는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거주자의 생체 정보를 수집하고 응급 상황을 자동으로 판단한다. LEID(Lighting Embedded Information Device)는 센서 네트워크에 이용 되는 장치로서 생활공간에 필요 불가결한 조명 기기에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시킨 장치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유헬스 시스템의 실용성 검증을 위해 국민대학교에 위치한 지능형 홈 센터에 설치하였고 실생활을 가정하여 시험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유헬스 시스템은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환자가 있는 기관에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