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Health

검색결과 2,341건 처리시간 0.048초

e-Health/u-Health 시대를 대비한 간호의 역할 확대 (New Roles of the Professional Nursing in the Era of e-Health/u-Health)

  • 김정은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5권1호
    • /
    • pp.59-71
    • /
    • 2008
  • e-Health/u-Health has generally been considered as an expansion of current medical and medical relevant segments. However. as e-Health/u-Health has been known to have typical attributes and characteristics of services supporting a physically and mentally well-balanced life of its users, we can rationally assume that e-Health/u-Health can be not only an expansion of the existing medical field but also a result of the complex and sophisticated convergence among diverse industries such as the ICT industry. traditional care-relevant segments, etc. Thus, in this study, we carefully and cautiously consider e-Health/u-Health in accordance with both possible scenarios: 1) an expansion of a typical industry, and 2) a result of a convergence among various industries. The advent of new technologies, rapid development of current technologies, and convergence trends in various fields are creating dramatic innovations in the next generation health services market. Consumerism as a characteristic of c-Health/u-Health can be expected to find a solution of the existing healthcare service problems. In the initial phase. mainly due to the absence of a vanguard, as well as to various legalistic and regulative limitations, the role of the government would be immensely critical for the successful early settlement of the e-Health/u-Health industry. Both th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need to practice continuous and effective public education and publicity mainly to increase the overall recognition and usability of e-Health/u-Health services. Nursing as a unique professional discipline should be well aware of the new paradigm shift of the healthcare market, and make maximum use of the possibility of this trend to the advent of the professional nursing's new role.

  • PDF

U-Health 서비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요인과 중요도 분석 (Exploratory Study of Success Factors for U-Health System and Analysis of It's Weight)

  • 전제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93-9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u-Health 서비스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U-Health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문헌 연구를 통해서 정리 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의료 현장에서 u-Health와 관련하여 종사하고 있는 전문가들에게 설문하여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FA분석과 AHP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생성된 요인은 모두 6가지이다. 요인분석으로 성과측정지표를 개발한 후에는 이들 요인들 사이의 중요도를 계층분석기법(AHP)으로 분석하였다. AHP 분석의 결과로 주요성공요인들 사이의 중요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유-헬스시스템의 효과는 측정기술과 서비스 수용자들의 참여 그리고 서비스 제공 기관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도 법제도의 구비와 개인의료정보에 대한 완벽한 보안장치가 그 뒤를 이었다. 본 연구는 u-Health 서비스의 정책적 실시와 그 효과를 극대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유헬스 표준용어 및 용어 표준화 가이드라인 개발 (Development of u-Health standard terminology and guidelines for terminology standardization)

  • 이수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056-4066
    • /
    • 2015
  • 유헬스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 유헬스와 관련된 용어의 이해를 돕고, 의사소통을 증진시키기 위한 유헬스 표준용어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헬스 표준용어를 개발하고, 이를 위한 용어 표준화 절차에 대한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헬스 관한 보고서, 용어집 및 정보통신기술협회 표준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용어추출, 용어정제, 용어선정 및 용어관리 절차를 통해 최종 187개의 유헬스 표준용어를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실정에 부합하는 유헬스 용어 표준화를 위한 지침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유헬스 표준용어의 정의, 분류, 구성요소, 절차에 따른 방법 및 원칙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유헬스 표준용어 및 용어 표준화 가이드라인은 개별 용어 도입 및 관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하고, 정보교환을 용이하도록 도움으로써 유헬스 산업 전반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이다.

u-Health 환경에서의 정보보호 수준제고를 위한 보안 표준 개발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Security Standard for Protecting Health Information in u-Health Environment)

  • 김동수;김민수
    • 산업공학
    • /
    • 제20권2호
    • /
    • pp.177-185
    • /
    • 2007
  • e-Business in healthcare sector has been called e-Health, which is evolving into u-Health with advances of ubiquitous technologies. Seamless information sharing among health organizations is being discussed in many nations including USA, UK, Australia and Korea. Efforts for establishing the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system and a nation-wide information sharing environment are called NHII (National Health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itiatives. With the advent of u-Health and progress of health information systems, information security issues in healthcare sector have become a very significant problem. In this paper, we analyze several issues on health information security occurring in u-Health environment and develop an information security standard for protecting health in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standard proposed in this work could be established as a national standard after sufficient reviews by information security experts, stakeholders in healthcare sector, and health professionals. Health organizations can establish comprehensive information security systems and protect health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using the standard. The result of this paper also contributes to relieving worries about privacy and security of individually identifiable health information brought by NHII implementation and u-Health systems.

u-Health 소프트웨어의 기능성 품질평가 모델 개발 (Functionality Quality Evaluate Model Development of u-Health Software)

  • 강상원;전인오;양해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22-925
    • /
    • 2010
  • u-Health 기술의 표준화 추진 및 국내 자체의 원천 기술 개발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이에 따른 u-Health 소프트웨어의 품질평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u-Health 소프트웨어 분야 기반기술을 조사하고 u-Health 소프트웨어 기능성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상선승무원의 건강관리를 위한 u-health 웰빙 지수 서비스 시스템 설계 (U-health wellbeing index system design for health care of crew on ships)

  • 이영호;김인재;이수현;김종훈;강영창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77-585
    • /
    • 2009
  •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과 삶의 질 향상으로 개인의 건강관리 응용 서비스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고 있다. 더구나, 유비쿼터스 환경 및 의료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양질의 삶을 위한 u-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u-헬스케어 분야가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가정을 떠나 많은 시간을 바다에서 보내야 하는 상선승무원은 신체적으로는 물론이고 정신적으로도 다른 직업보다 스트레스가 많고 조속한 시간 내에 적절한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선박에서의 u-헬스케어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논문에서는 선원들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건강관리 지수 모델인 SF-36를 보완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u-건강 웰빙 지수를 도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건강 지수에 따라 적당한 운동 프로그램, 식단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u-건강 웰빙 지수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 서인주;박정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8-210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o evaluate its efficacy. Methods: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was comprised of eight 100-minute weekly sessions. Each session included understanding of health responsibility, nutrition, physical ac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 stress management, and self actualiz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under the principles of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 test design. The outcome variables were health promoting behavior, health status, acculturation, self efficacy, and perceived barrier. The participants were 15 immigrant wom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in the control group. Data was analyzed using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Mann Whitney U-test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health promoting behaviors (U=-3.08, p=.002), left shoulder flexibility (U=-3.02, p=.003), right shoulder flexibility (U=-3.02, p=.003), low back flexibility (U=-3.37, p=.001), social health status (U=-3.38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U=-2.17 p=.030)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mprov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physical health status, social health,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refore, the developed health promotion program needs to be applied to married immigrant women in other kinds nursing care settings in future research.

개인통신단말기를 통한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t Management System via Personal Communication)

  • 문태균;장성봉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8년도 정보통신설비 학술대회
    • /
    • pp.331-335
    • /
    • 2008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u-City and u-City services have been actively pursued by individual local government bodies in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u-Health service, one of the services of u-City, by studying u-Health services in development (domestic and foreign) and by analyzing and proposing th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required to provide such services. Mainly, this study will focus on analyzing the current trend in personal mobile device based u-Health service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nd propose a new type of u-Health service, u-Diet service. The study will introduce the architecture, service scenario, technologies, characteristics, and the business model for the u-Diet servic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provide the guideline for developing new u-Health services.

  • PDF

USN과 영상관제 시스템을 이용한 U-Health 시스템 개발 (U-Health System Development that use USN and Video Control)

  • 권오영;임용묵;곽우영;김우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28-832
    • /
    • 2009
  • 오늘날 유비쿼터스 IT기술의 시대로 진입하면서, 의료분야에서도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인 유헬스(u-Health)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U-Health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는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여 USN 센서와 영상관제를 이용한 U-Health 시스템 설계에 대하여 기술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센서노드가 이상 데이터 수집시 영상관제 시스템이 작동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기법은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켜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영상관제를 적용한 U-Health 시스템은 생체 센서를 통하여 환자의 상태 정보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는 환자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고 영상 관제를 시작하고 병원의 단말기로 환자의 상태를 전송하는 구조로 동작한다.

  • PDF

충북 u-Health 산업의 국제적 마케팅전략 연구 (International Marketing Strategies for Chungbuk's U-Health Industry)

  • 하대용;오상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655-1661
    • /
    • 2007
  • 최근 유비쿼터스 기술을 응용하여 다양한 산업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미래 산업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인류의 건강 관련은 유비쿼터스 시스템과 융합되면서 중요한 산업으로 등장하고 있다. 이를 u-Health산업이라 한다. 국내에서는 지방자치제도에 따라 지역 여건에 맞는 고부가가치 산업을 창출하고자 노력한다. 본 연구는 충북 지역의 특화 산업으로서 u-Health 산업 분야를 가정하고, 제품의 효율적 시장 진입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연구하였다. 마케팅전략으로는 세계 시장을 대상으로 한 STP 전략를 제시하였다. 전략 구상의 기준은 세계 주요 선진국의 노령화 지수 및 모딜리아니의 생애주기가설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충북 지역에 u-Health 제품 출시가 되지 않은 것을 감안하여 제품 출시 후 활용할 마케팅 믹스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