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7초

서목태 주정 추출물이 DOPA 산화와 멜라닌 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hynchosia Nulubilis Ethanolic Extract on DOPA Oxidation and Melanin Synthesis)

  • 김재련;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1-338
    • /
    • 2018
  • 멜라닌은 생체 내에서 발모 및 피부색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분자 물질이다. 하지만 활성산소에 의해 과도하게 생성된 멜라닌은 노화와 관련된 기미, 주근깨와 과색소 침착증 등을 야기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된 천연물 중 서목태 성분의 하나인 polyphosphate는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피부 노화를 억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멜라닌 합성에 대한 RNEE의 직접적인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RNEE는 DPPH radical의 소거효과 및 환원력과 같은 항산화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TT 실험을 수행한 결과, RNEE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독성을 증가시켰다. 또한, RNEE는 tyrosinase 활성과 DOPA-oxidation 실험 결과에서 멜라닌 합성을 증가시켰다. RNEE는 살아있는 세포에서 L-DOPA에 의한 유발되는 melanin생성 촉진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산화수소를 처리하여 melanin 생성을 감소시킨 대조군과 비교시 과산화수소 전처리 후 RNEE를 처리한 군에서는 melanin 생성 촉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RNEE는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의 단백질발현도 대조군과 비교시 $16{\mu}g/ml$의 농도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superoxide anion을 과산화수소로 변환시키는 SOD-3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16{\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군과 양성 대조군인 ${\alpha}$-MSH보다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이상의 결과는 서목태가 흑모와 관련 있는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기능적인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B16F10 멜라닌 세포에서 신규 헥사펩타이드의 MITF 조절을 통한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Novel Hexapeptide on Melanogenesis by Regulating MITF in B16F10 Melanoma Cells)

  • 이응지;김잔디;정민경;이영민;정용지;김은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2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6 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헥사펩타이드(hexapeptide)의 미백 효능에 대해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헥사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유의한 수준의 멜라닌 생성 저해가 관찰 되었고, 멜라닌 생성 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tyrosinase의 활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됨이 관찰 되었다. 멜라닌 생성 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관찰 한 결과 tyrosinase (TYR),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YRP1) 및 이들의 상위 전사인자인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발현이 헥사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유의한 수준으로 저해 되었다. 또한 헥사펩타이드 처리에 의해 MITF 발현을 조절하는 상위 전사인자인 cAMP-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의 인산화가 저해 되었고 MITF 인산화를 통해 프로테아좀 분해(proteasomal degradation)를 유도하는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인산화가 증가 되었다. 이외에도, 멜라노좀의 세포 내 이동에 관여하는 복합체의 구성 인자들로 알려진 Rab27A, melanophilin, myosinVa의 발현도 헥사펩타이드에 의해 유의한 수준으로 저해 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헥사펩타이드는 멜라닌세포의 멜라닌 생성 관련 핵심 전사인자인 MITF의 발현 및 분해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및 멜라노좀 이동과 같은 전반적인 멜라노좀 성숙 과정에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헥사펩타이드의 이러한 미백 효능은 신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금나무 열매(Fruit of Vaccinum oldhami)의 분리 정제물(클로로겐산, 퀘르세틴 및 퀘르시트린)에 관한 항산화 및 미백활성 검증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Chlorogenic Acid, Quercetin, and Quercitrin from the Fruit of Vaccinum oldhami)

  • 채정우;오민정;염현지;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5-128
    • /
    • 2023
  • 정금나무 열매(Fruit of Vaccinum oldhami)를 분리 정제하여 클로로겐산(CA), 퀘르세틴(QT) 및 퀘르시트린(QR)을 얻었다.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CA, QT, QR은 각각 1,000 ㎍/ml의 농도에서 91.9%, 89.9%, 77.4%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QT 및 QR은 1,000 ㎍/ml의 농도에서 각각 99.5%, 91.4%를 나타내었으며, CA는 100 ㎍/ml의 농도에서 90% 이상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억제 활성 측정 결과, CA, QT, QR은 각각 1,000 ㎍/ml이 농도에서 29.5%, 34.7%, 23.7%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MTT assay를 통해 B16F10의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CA, QT, QR 모두 100 ㎍/ml의 농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A에서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QT에서는 TRP-1, TRP-2 및 tyrosinase에서 우수한 단백질 발현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CA의 mRNA 발현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MITF의 mRNA 발현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며,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 발현량은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QT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MITF, TRP-2, tyrosinase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다. QR의 mRNA 발현 억제율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mRNA 발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의 결과에 따라 CA, QT, QR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Branch Extracts of Vaccinium oldhamii Stimulate Melanin Synthesis Through Activation of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Melanoma Cells

  • Park, Su Bin;Kim, Ha Na;Kim, Jeong Dong;Park, Gwang Hun;Son, Ho-Jun;Eo, Hyun Ji;Song, Jeong Ho;Jeong, Hyung Jin;Jeong, Jin Bo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5-95
    • /
    • 201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ranch extracts from Vaccinium oldhamii (VOB)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cells. VOB promoted melanin production in absence or presence of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alpha}-MSH$) in B16F10 cells. However, VOB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RP-1 associated with melanin synthesis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 in B16F10. But, VOB decreased TRP-2 protein level and induced tyrosinase activation in B16F10 cells.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tyrosinase knockdown attenuated VOB-mediated melanin synthesis. In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VOB may stimulate melanin synthesis through activating tyrosinase activity.

  • PDF

선학초 추출물의 멜라닌합성 억제 및 항산화효과 (Study of Inhibitory Effect of Melanogene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grimonia pilosa Ledeb)

  • 김대성;김영목;우원홍;문연자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36-24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ethanol extract of Agrimonia pilosa Ledeb. (EAP)-reduced melanogenesis and 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grimonia pilosa Ledeb.,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has been used as an antihemorrhagic, anthelminntic, and antiinflammatory agents in Chinese herbal medicine. In the present study, we observed that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of B16F10 cel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EAP. However, EAP could not suppress tyrosinase activity in the cell-free system, whereas kojic acid direct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Furthermore, EAP decreased the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otein 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otein 2 (TRP-2). EAP scavenged DPPH radical up to 41% with 100 ${\mu}g/m{\ell}$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ypopigmentary effect of EPA was due to regulation of tyrosinase protein.

참까막살 에탄올 추출물이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의 멜라닌합성에 미치는 영향연구 (Inhibitory Effects of Polyopes affinis Ethanol Extract on Melanogenesis in B16F10 Melanoma Cells)

  • 김향숙;최영현;황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72-976
    • /
    • 2019
  • 본 연구는 참까막살 에탄올 추출물이 천연 미백 소재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멜라닌 함량, 세포내 tyrosinase 활성 측정 및 Western blotting 실험이 수행되었다. 참까막살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MTT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율 및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500{\mu}g/ml$ 농도까지를 실험 조건으로 설정하였다. B16F10 melanoma cell의 melanin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alpha}-MSH$만 처리한 경우 뚜렷하게 증가하였고, 참까막살 에탄올 추출물을 100, 300, $500{\mu}g/ml$의 농도로 각각 처리한 결과 ${\alpha}-MSH$만을 처리한 것에 비해 25%, 30%, 35%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Tyrosinase 활성도 100, 300, $500{\mu}g/ml$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alpha}-MSH$만을 처리한 것에 비해 6%, 12%, 21%로 감소하였다. 참까막살 에탄올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관련 단백질 발현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으로 미백관련 전사인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 발현을 조사하였다. ${\alpha}-MSH$을 단독 처리한 경우에 각 단백질의 발현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반면 참까막살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00{\mu}g/ml$의 농도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본 연구 결과 참까막살 에탄올 추출물은 멜라닌 생합성에 관련된 유전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기능성 화장품 개발에 있어 효과적인 미백 기능성 해양 소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크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저해 및 피부장벽개선 효과 (Effect of Abelmoschus esculentus extract on anti-melanogenesis and skin barrier function)

  • 김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44-348
    • /
    • 2018
  • 본 연구에서 오크라(Abelmoschus esculentus)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오크라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오크라 추출물 처리 시, 산화방지활성($ID_{50}$, $5.24{\mu}g/mL$), tyrosinase 활성저해($ID_{50}$, $102.12{\mu}g/mL$) 및 멜라닌 함량 저하($ID_{50}$, $17.85{\mu}g/mL$)를 보여주었다. 오크라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tyrosinase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오크라 추출물이 직접적인 tyrosinase 활성저해 및 세포 내 tyrosinase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오크라 추출물이 피부장벽 보호 지표물질로서 관련된 단백질인 involucrin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오크라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Padina boryana, a brown alga from the Maldives: inhibition of α-MSH-stimulated melanogenesis via the activation of ERK in B16F10 cells

  • Jayawardena, Thilina U.;Sanjeewa, K.K. Asanka;Kim, Hyun-Soo;Lee, Hyo Geun;Wang, Lei;Lee, Dae-Sung;Jeon, You-J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3권3호
    • /
    • pp.8.1-8.9
    • /
    • 2020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 skin whiten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from the brown alga, Padina boryana (PBE) which was collected in the shores of Fulhadhoo Island, the Maldives, and its specific pathways of action. The effect of PBE which contains a rich amount of polyphenols was evaluated using B16F10 murine melanoma cells and provides insight to the underlying mechanisms with reference to the inhibition of melanin formation. Methods: Melanin synthesis and cellular tyrosinase inhibition were assessed in the α-MSH-stimulated melanocytes. Melanogenic pathway-related protein expressions were investigated via Western blotting. ERK 42/44 was particularly examined considering its involvement in the melanogenic pathway. Further, RT-qPCR techniques were involved in gene expression analysis. Results: PBE dose-dependently inhibited the cellular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levels. Western blotting revealed the potential of PBE to downregulate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1 and protein-2 (TRP-1 and TRP-2). Moreover, results explain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was sustained via PBE and hence declined the ultimate melanin synthesis. Gene expression analysis reinforced the results obtained. Conclusions: The study provides substantial evidence to express the potential of PBE to inhibit B16F10 melanoma cell melanin synthesis. Concisely, results suggest the ability of PBE to be involved in medicinal and cosmeceutical applications.

백복령 주정 추출물의 멜라닌합성 억제를 통한 미백효과 (Whitening Effect of Poria cocas Ethanol Extract by Inhibition of Melanin Synthesis)

  • 박혜정;권은정;김문무;이경록;홍일;이도경;오영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85-490
    • /
    • 2014
  • 백복령(Poria cocas)은 전통적으로 민간에서 피부미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지금까지 melanin 합성에 대한 백복령의 직접적인 효과는 과학적으로 잘 연구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멜라닌 합성에 대한 백복령 주정 추출물(PCEE)의 직접적인 효과를 밝히기 위해, 쥐의 B16F1 세포를 이용하여 DOPA synthesis assay, tyrosinase activity assay, Western blotting for melanogenic proteins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TRP)-1 and TRP-2]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PCEE가 3,4-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DOPA) 합성을 차단함으로써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형성을 억제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비록 tyrosinase의 활성은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TRP-1 과 TRP-2의 단백질 발현 수준은 PCEE에 의해 조절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PCEE가 미백 효능을 가지고 있어 미백 화장품 개발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산약의 멜라노마 세포(B16F10)에서 MITF, TRP-1, TRP-2, Tyrosinase, PKA, ERK 발현 억제 효과 (Inhibitory Efficacy of Dioscoreae Rhizoma on MITF, TRP-1, TRP-2, Tyrosinase, PKA and ERK Expression in Melanoma Cells (B16F10))

  • 이수연;유단희;주다혜;이진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5-100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whitening effects and developing by cosmetics of the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 which is one of the most popular health-promoting herb in herbal medications.Methods : We performed tyrosinase inhibition assay,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 for whitening effects. Also we measured MTT assay for cell viability.Results :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For whitening effect, tyrosinase inhibition rate of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showed more than 42.28% at 1,000 ㎍/㎖ concentration. Cell toxicity effect on melanoma cells (B16F10) of extract fromDioscoreae Rhizomashowed 81.97% with toxicity at 50 ㎍/㎖ concentration. So we were measured at a concentrations of 5, 10 and 50 ㎍/㎖ in all experiments involving cell. In addition, whitening related mRNAs including microphthalmia 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 tyrosinase were reduced byDioscoreae Rhizoma. We also foundDioscoreae Rhizomatransiently decreased protein kinase A (PKA) which is known to be upstream to the down regulation of MITF and tyrosinase. But phosphorylation of extracellular signal related kinase (pERK) were increased byDioscoreae Rhizoma. These results imply thatDioscoreae Rhizomadecrease melanogenesis via ERK activation and subsequent down regulation of MITF and tyrosinase.Conclusions : Therefore, all these findings suggested the potent usage ofDioscoreae Rhizomaas materials of functional cosmetics by confirming whitening activity related with melanin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