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5초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의 B16F10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미백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Whitening Activity of Inonotus obliquus Extracts in B16F10 Melanoma Cells)

  • 최송윤;이제백;염현지;오민정;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5-11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차가버섯의 미백 활성 검증을 통하여 화장품 소재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차가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도도 증가하였으며 1,000 ㎍/ml 농도에서 82.1%의 우수한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MTT assay를 통해 멜라노마 세포(B16F10)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100 ㎍/ml 이하 농도에서 80% 이상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포 관련 실험은 25, 50, 100 ㎍/ml 농도에서 진행하였다. B16F10 cell에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하여 멜라닌 합성과 관련된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농도 의존성에 따라 모든 인자에서 단백질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100 ㎍/ml의 농도에서 TRP-1, MITF는 40.1%, 64.2%의 발현량을 나타내었고 tyrosinase 및 TRP-2는 arbutin 보다 단백질 발현 저해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멜라닌 합성 관련 mRNA 발현 측정을 위해 B16F10 세포에 차가버섯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mRNA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에 따라 차가버섯 추출물이 미백 활성을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소(Protopectinase) 처리한 대두가 세포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ybean Protopectinase on Melanin Biosynthesis)

  • 유진균;이진희;조형용;김정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5-3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및 hydroxyl radical 포착활성을 측정하였고, 멜라닌 생성의 첫 단계인 tyrosinase 활성, mouse melanoma B16BL6 세포 생존율 및 TRP-1, TRP-2 발현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계적 마쇄 가공한 대두추출물과 효소처리 가공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이 마쇄처리 한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히 효소처리군이 마쇄군에 비하여 20%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마쇄군에 비하여 효소처리군이 tyrosinase와 TRP-1, TRP-2의 더 높은 활성 억제능을 보였다. 이는 대두가 B16BL6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하는 동시에 효소처리에 의하여 대두의 영양소의 손실이 더 적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효소처리에 의한 대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2',4'-Dimethoxyflavone의 합성과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Synthesis of 2',4'-Dimethoxyflavone and Its Anti-pigmentation Effect)

  • 이범천;심관섭;김진화;김기호;이화정;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53-160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미백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2',4'-dimethoxyflavone을 합성하였으며 멜라닌 형성 세포에서의 미백효과를 연구하였다 2',4'-Dimethoxyflavone은 프리 라디칼 소거활성(DPPH)이나 mushroom tyrosinase에 대한 직접적인 저해 효과는 없었다. 2',4'-Dimethoxyflavone을 48 h 처리한 B16 멜라노마 세포에서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효과는 $5{\mu}g/mL$에서는 멜라닌생성이 27% 정도 감소되었다. 2',4'-Dimethoxyflavone은 농도에 비례해서 B16 멜라노마 세포내의 tyrosinase 활성을 저해하였으며, western blot을 이용하여 tyrosinase 단백질 발현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RT-PCR을 이용하여 2',4'-dimethoxyflavone이 멜라닌 생성 과정에 관련하는 유전자 발현을 조사한 결과 tyrosinase와 tyrosinase 관련 단백질(TRP-1)의 mRNA발현을 억제 하였으며 TRP-2의 발현량에는 영향이 없었다. 이 결과로 2',4'-dimethoxyflavone은 멜라닌 형성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타이로시나제와 TRP-1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하여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의 melanin 합성 촉진효과 (Promotive Effect of Polygonum multiflorum radix Ethanol Extract on Melanogenesis)

  • 김혜정;김문무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23-429
    • /
    • 2017
  • 모발의 색은 melanin의 종류와 양에 의해 결정 된다. Melanocyte는 주로 자외선 자극에 의하여 L-tyrosine으로부터 멜라닌을 합성한다. 활성산소종은 백발의 진행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적하수오는 백발화되는 노화과정을 억제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흑모발생과 연관된 melanin 합성에 대한 적하수오 에탄올 추출물(PMEE)의 효능을 조사한 것이다. 항산화 실험에서 PMEE는 DPPH radical을 감소시켰고 환원력을 증가시켜 PMEE는 백발과정에 관여하는 활성산소종을 소거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PMEE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능을 감소시켰다. 더욱이 melanin의 생성에 대한 PMEE의 효과는 DOPA assay와 tyrosinase 활성측정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PMEE는 tyrosinase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melanin 합성을 촉진시켰다. 뿐만 아니라 Western blot 분석을 이용하여 tyrosinase, TRP-1, TRP-2 및 MITF 뿐만 아니라 SOD-3와 catalase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단백질 발현을 조사하였다. PMEE의 항산화 활성의 증가로 인하여 SOD-3와 catalase의 발현 수준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MEE는 tyrosinase와 TRP-2의 발현 수준은 증가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PMEE가 백발화 된 모발에서 흑발로 변하는 것과 관련된 melanin 합성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선학초 추출물의 미백활성 (Whitening Activities of the Agrimonia pilosa L. Extracts)

  • 김동희;안봉전;이진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4호
    • /
    • pp.284-289
    • /
    • 2011
  • 선학초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미백효과를 검증하였다. 세포 내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결과 선학초 에탄올 추출물 $500{\mu}g/mL$에서 42%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선학초 추출물이 세포 내 tyrosinase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서 멜라닌 합성 또한 저해 하는 것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선학초 추출물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 억제효과를 검토한 결과 선학초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한 B16F10군에서는 tyrosinase protein의 발현이 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선학초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식품 및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 꽃(괴화)과 열매(괴각)의 미백활성 평가 (Evaluation of Whitening Activities of Flower and Fruit of Sophora japonica L.)

  • 장태원;박재호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2-28
    • /
    • 2017
  • 회화나무는 한의학에서 간과 혈관계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어온 약용 식물로, 그 꽃과 열매를 괴화와 괴각이라 한다. 괴화와 괴각은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얻어 시료로 사용하였고, B16 F10 세포를 이용하여 Western blot을 실행하였다. 미백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yrosinase, TRP-1, TRP-2, MITF 단백질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괴화와 괴각 추출물은 세포 생존율에는 영향이 미미하였으며, 모두tyrosinase, TRP-1, TRP-2, MITF 단백질의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괴화와 괴각은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와 같은 천연식물 유래 자원으로 상당한 가치를 나타냈다.

꽃송이버섯에서 추출한 β-glucan의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 합성 억제 효능 (Inhibitory Effect of β-Glucan Extracted from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 오철현;구미정;이용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1019-1027
    • /
    • 2021
  • 천연물에서 피부 미백 효능을 가진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꽃송이 버섯(Sparassis crispa)은 β-glucan의 함량이 건조중량의 40% 이상으로서 항암과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어 약용으로도 인정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S. crispa β-glucan의 멜라닌 생합성 및 tyrosinase 활성억제 효능을 확인함으로써 피부 미백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외부 자극제인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와 S. crispa β-glucan (10, 100, 1,000 ㎍/ml)을 B16F1 melanoma 세포에 투여하여 멜라닌 생성량과 tyrosinase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 TRP-2,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발현정도에 대해서는 western blot으로 분석하였다. S. crispa β-glucan을 10, 100, 1,000 ㎍/ml의 농도로 투여하였을 때 α-MSH 만 투여군에 비하여 멜라닌 생성이 각각 13.9%, 18.7%, 39.5% 감소하였다. S. crispa β-glucan을 10, 100, 1,000 ㎍/ml의 농도로 투여하였을 때 β-glucan을 투여하지않은 α-MSH 유도군에 비하여 tyrosinase 활성도는 각각 15.6%, 26.9%, 43.2% 억제되었다. 또한 tyrosinase와 TRP-1, TRP-2, MITF 단백 발현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S. crispa β-glucan은 MITF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tyrosinase 발현을 감소시켜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S. crispa β-glucan은 미백제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Whitening Activity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Leaves According to the Ratio of Prethanol A in the Extracts

  • Jang, Tae-Won;Choi, Ji-Soo;Kim, Hoi-Ki;Lee, Eun-Ja;Han, Man-Wook;Lee, Ki-Beom;Kim, Do-Wan;Park, Jae-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667-674
    • /
    • 2018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whitening activity of prethanol A and water extract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The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0, 50, 70, and 100% prethanol A at $121^{\circ}C$, 1.2 atm for 15 minutes. To confirm effective extraction, the acteoside content of each extract was analyzed with the HPLC-PDA method.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using DPPH and ABTS scavenging activity assays, and the whitening activity was evaluated based on inhibitory activities on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in B16 F10 cells. Each extract showed strong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y. $IC_{50}$ values of antioxidant activity from each extract were in order of 100%, 70%, 50%, and 0%. In addition, whitening activity inhibited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melanin synthesis factor, following the same pattern as antioxidant activity. In conclusion, water and prethanol A extracts of A. distichum showed effective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y and are thus considered to be valuable materials for whitening cosme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afe and efficient production of A. distichum as a cosmetic material.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의 피부 과다색소침착에 미치는 영향 (Action of Rodgersia podophylla Root Extracts on Melanin Biosynthesis in Skin)

  • 공연희;이평재;최상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434-436
    • /
    • 2007
  • 멜라닌 생합성은 tyrosinase의 작용으로 인한 tyrosine의 산화로부터 시작되어 dopaquinone 및 dopachrome가 생성되고 dopachrome는 다시 dihydroxyindole과 dopachrome tautomerase에 의한 dihydroxyindole-2-carboxylic acid 로 전환되는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Alaluf et al.; 2001).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의 멜라닌 생합성 저해 기전을 검정하기 위하여 melan-a 세포에서의 tyrosinase 및 TRP-2 발현량을 western immunoblotting하여 측정한 결과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은 TRP-2 발현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tyrosinase의 발현량을 현저히 감소시킴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따라서 이전의 연구와 종합하여 볼 때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은 멜라닌 생합성의 초기에 주요한 역할을 하는 tyrosinase의 활성 및 발현을 모두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도깨비 부채 뿌리 추출물은 brown guinea pig 피부에서 3% 농도로 도포 시 발적이나 이상 징후를 일으키지 않고 자외선으로 유도된 색소 침착을 감소 시켜 피부 미백 용도의 기능성 원료로써 큰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Capsosiphon Fulvescens Decreases Melanin Synthesis Via Downregulation of Tyrosinase and TRP-2 Expression

  • Yoo, Hyun-Ju;Jo, Mi-Gyeong;Park, Si-Jun;Mun, Yeun-Ja;Pyo, Hyeong-Bae;Lim, Kyu-Sang;Lee, Ki-Nam;Woo, Won-Hong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98-1003
    • /
    • 2007
  • The green marine algae, Capsosiphon fulvescens (CF) is a food supplement cultivated in south coast of Souther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CF-induced hypopigmentation.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F extracton melanogenesis in B16 cells, particularly its specific effects on tyrosinase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We measured melanin contents and analyzed melanosome associated protein levels using Western blot and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ian reaction (RT-PCR) analysis. CF extract markedly inhibited melanin synthesis and tyrosinase activity. In addition, cellular dendricity was slightly decreased by CF extract. In further experiments, CF extract significantly reduced the protein levels of tyrosinase and TRP-2 in B16 cells. RT-PCR analysis revealed that tyrosinase and TRP-2 mRNA levels were unaffected by CF treatment.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popigmentary effect of CF was due to post-translational degradationof tyrosinase and TRP-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