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ase protein expression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31초

Cornus officinalis Methanol Extract Upregulates Melanogenesis in Melan-a Cells

  • An, Yun Ah;Hwang, Ji Yeon;Lee, Jae Soon;Kim, Young Chul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1권2호
    • /
    • pp.165-172
    • /
    • 2015
  • Cornus officinalis is widely distributed in Korea, and its fruit has been used to make as herbal drug for traditional medicine in Korea, Japan, and China because of its tonic, analgesic, and diuretic properties. However, the effects of C. officinalis methanol extract (COME) on melanogenesis remain poorly understood. We evaluated the melanogenic capability of COME in melan-a cells, which are immortalized mouse melanocytes. COME increased melanin synth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Treatment with $12.5{\mu}g/mL$ of COME significantly increased melanin content by 36.1% (p < 0.001) to a level even higher than that (31.6%) of 3-isobutyl-1-methyl-xanthine, a well-known pigmentation agent. COME also upregulated tyrosinase activity and its messenger RNA and protein expression. In addition, COME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related proteins 1 and 2 and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M messenger RNA expres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COME may be appropriate for development as a natural product to treat hair graying.

B16/F10 생쥐 흑색종 세포에서 제주조릿대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저해 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melanin synthesis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by Sasa quelpaertensis leaf extract)

  • 윤훈석;김정국;김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6호통권86호
    • /
    • pp.873-875
    • /
    • 2007
  • Effects of hot-water extract from Sasa quelpaertensis leaf (HWES) on melanogenesis were investigated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s. HWES inhibited 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biosynthesis in a dose-dependent manner. Western blotting analysis showed that HWES dose-dependently inhibited tyrosinase and tyrosinase related protein-1 expression. Also, HWES suppressed sustained ERK activ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suggesting that HWES inhibits the melanin biosynthesis through the suppressive effect against pathway involving sustained ERK activation.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낙과 배 물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of Fallen Pear)

  • 신보연;정보람;정종기;조승식;방미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20-32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낙과 배 물 추출물에 존재하는 미백기능 유효성분으로써 arbutin을 선정하여 HPLC를 통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낙과 배 물 추출물로 미백 효과를 알아보았다. 낙과 배 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 내 tyrosinase 저해 효과, melanin 생성 저해 효과, tyrosinase와 관련된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낙과 배 물 추출물은 tyrosinase 활성과 B16F10 melanoma 세포의 melanin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MiTF와 tyrosinase의 발현의 억제를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mushroom tyrosinase 결과를 통해 melanin 생성 과정에 있어 tyrosinase를 직접 저해하는 것이 아닌 세포 내에서 tyrosinase의 발현 조절을 통해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낙과 배 물 추출물은 천연 arbutin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로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낙과 배를 이용한 새로운 뷰티케어 소재를 개발하고 이들의 피부 기능성을 밝혀냄으로써 낙과 배의 다양한 활용성이 증대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하여 국내 과실 농가 및 관련 사업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큰비쑥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Antimelanogenic of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 in Melanoma Cells)

  • 김민진;김서연;현광희;김덕수;김승영;현창구
    • KSBB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233-237
    • /
    • 2017
  • Melani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skin color. Melanogenesis is the bioprocess of melanin production by melanocytes in the skin and hair follicles and is mediated by several enzymes, such as tyrosinase, tyrosinase related protein (TRP)-1, and TRP-2, MITF.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as natural products of whitening functional cosmetics. Melanin content in murine B16F10 melanoma cells were decreased by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s in a dose-dependently. In addition,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of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s showed to decrease tyrosinase activity as the concentration of ${\alpha}-MSH$ was increased. Furthermore, west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RP-1 which treat of ${\alpha}-MSH-induced$ melanogenesis in murine B16F10 melanoma cells. As a result, Artemisia fukudo Makino extract showed functionalities as an effective whitening agent to inhibit melanin formation.

무화과(Ficus carica L.) 열매 추출물의 tyrosinase 및 MITF 발현 억제를 통한 미백 활성 (Whitening activity of Ficus carica L. fruits extract through inhibition of tyrosinase and MITF expression)

  • 김민지;박시은;이근수;김진화;권순우;황형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204-212
    • /
    • 2023
  • 미백은 멜라닌 세포 내 멜라닌 생성 억제 기능을 의미한다. 기존 미백소재의 피부 부작용 때문에 최근에는 천연 소재를 활용한 미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화과(Ficus Carica L.)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열매로 줄기와 잎 성분의 미백 활성은 보고되었으나 무화과 열매의 미백 활성은 알려지지 않아 본 연구를 통해 멜라닌 생성 억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무화과 열매 추출물(Figs fruits extract, FFE)의 라디칼 소거 활성은 DPPH/ABTS 분석에서 최대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34.52±1.98%/60.71±1.26%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CCK-8 assay를 통한 FFE의 세포독성은 약 10% 농도부터 관찰 되어 독성이 없는 최대 농도를 5%로 설정하여 모든 실험에 적용하였다. FFE는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interleukin-6 및 tumor necrosis factor-α 유전자 발현 억제와 함께 NO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켜 항염증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백 기능 규명을 위해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FFE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세포 내 멜라닌 생성을 유의하게 하향 조절했을 뿐만 아니라 시험관 내에서 tyrosinase 활성이 억제되었다. 또한 FFE는 RT-PCR에서 α-MSH 처리군에 비해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RNA 발현을 약 94.34% 감소시켰다. 마지막으로, FFE는 α-MSH로 자극된 B16F10 세포에서 MITF, cAMP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및 tyrosinase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우리는 FFE가 tyrosinase 효소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α-MSH 신호 기전 내 MITF 유전자 발현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항산화 및 미백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Whitening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s from The Immature Seeds of Abeliophyllum distichum)

  • 장태원;박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36-544
    • /
    • 2017
  •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물푸레나무과의 관목으로 전세계적으로 1속 1종의 중요한 식물자원이다. 대한민국에서는 미선나무 자생지를 보존하고 멸종위기식물로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항산화 활성과 미백 관련 단백질인 tyrosinase, TRP-1, TRP-2, MITF의 단백질 발현 및 mRNA 수준의 발현 억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활성산소종에 효과가 뛰어났으며, 활성산소종은 노화, 염증, 암 등 다양한 질병을 야기시킨다. 항산화 활성은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을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활성은 페놀류 화합물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페놀류 화합물은 천연 폴리페놀이라고 불리는 파이토케미칼로서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의한 식물 방어 기작의 일환으로 생성되는 2차 대사산물이다. 페놀류 화합물은 노화, 항암을 포함한 많은 인간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tyrosinase, TRP-1, TRP-2 단백질 및 mRNA를 조절하였으며, 이러한 요인은 멜라닌 생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단백질 및 mRNA를 억제하였다. MITF는 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과 전사에 연관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의 미백활성, 페놀류 화합물, 항산화 활성 사이의 연관관계를 확인하였으며, 결론적으로 미선나무 미성숙 종자는 천연 식물 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항산화제 및 피부 미백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공심채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및 피부장벽 개선 효과 (Effect of Ipomoea aquatica extract on anti-melanogenesis and skin barrier function)

  • 김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19-523
    • /
    • 2017
  • 본 연구에서 공심채(Ipomoea aquatica)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공심채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공심채 추출물 처리 시, 산화방지 활성($ID_{50}$, $7.84{\mu}g/mL$),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저해($ID_{50}$, $106.56{\mu}g/mL$) 및 멜라닌 함량 저하($ID_{50}$, $41.75{\mu}g/mL$)를 보여주었다. 공심채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타이로시네이스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공심채 추출물이 직접적인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저해 및 세포 내 타이로시네이스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심채 추출물이 피부장벽 보호 지표물질로서 관련된 단백질인 인볼루크린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공심채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녹나무 부탄올 분획물이 멜라닌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BuOH Soluble Fraction of Cinnamomum camphora on Melanin Biosynthesis)

  • 하상근;문은정;이민재;박혜민;유은숙;오명숙;김선여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93-300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innamomum camphora on melanogenesis. The MeOH extract of Cinnamomum camphora inhibit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in dose-dependent manner. Moreover, i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melanin production in melan-a cells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m{\ell}$. The MeOH extract was partitioned with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Among them, the BuOH soluble fraction exhibited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mushroom tyrosinase. In addition, the BuOH soluble fraction reduced the melanin production in melan-a cells. But, the BuOH soluble fraction had less inhibition effects on melan-a cell originated tyrosinase. So, it was performed western blotting for melanogenic proteins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TRP-2)) using melan-a cells. The BuOH soluble fraction inhibited the protein expression of tyrosinase at the concentration of $100{\mu}/m{\ell}$.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BuOH soluble fraction of C. camphora might be a potent inhibitor of melanin biosynthesis in melan-a cells.

Enhancement of Melanin Synthesis by the Branch Extracts of Vaccinium oldhamii through Activating Tyrosinase Activity in B16F10 Melanoma Cells

  • Son, Kun Ho;Baek, Jueng Kyu;Park, Su Bin;Kim, Ha Na;Park, Gwang Hun;Son, Ho-Jun;Eo, Hyun Ji;Song, Jeong Ho;Jeong, Hyung Jin;Jeong, Jin Bo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47-55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anch extracts of Vaccinium oldhamii (VOB) on melanin synthesis in B16F10 cells. VOB promoted melanin production in absence or presence of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alpha}-MSH$) in B16F10 cells. However, VOB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and TRP-1 associated with melanin synthesis 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in B16F10. But, VOB decreased TRP-2 protein level and induced tyrosinase activation in B16F10 cells.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tyrosinase knockdown attenuated VOB-mediated melanin synthesis. In conclusion, VOB may stimulate melanin synthesis through activating tyrosinase activity.

Hexane Extract of Kaempferia galanga L. Suppresses Melanogenesis via p38, JNK and Akt

  • In, Myung-Hee;Jeon, Byoung Kook;Mun, Yeun-Ja;Woo, Won-Hong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47-53
    • /
    • 2016
  • Kaempferia galanga L. is one of the plants in Zingiberaceae family. It is used by people in many regions of Asia and Africa for relieving toothache, abdominal pain, muscular swelling and rheumatism. Tyrosinase is a key enzyme for melanogenesis, and hyperpigmentation is associated with abnomal accumulation of melanin pigm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hibition of melanogenesis by hexane extract of Kaempferia galanga L. (HKG) in B16F10 melanoma cells. Cell-free tyrosinase, melanin contents, intracellular tyrosinase activity and western blot analysis were performed to elucidate the effects on anti-melanogenesis. Cytotoxicity of the extracts was measured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nd determined the concentration of 12.5, 25 μg/ml. HKG significantly inhibited to activities of intracellular tyrosinase and melanin synthesis in the absence or presence of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 with dose-dependent manner. And HKG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and tyrosinase-related protein 2 (TRP-2),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α-MSH. HKG also down-regulated phosphorylation of p38 and JNK, and up-regulated phosphorylation of Akt. These effects were not related to its cytotoxicity 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KG has the potential to be a useful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hyperpigmentation disorders and as a beneficial additive in whitening agents in cosmetics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