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icalit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6초

성별 고정관념의 암묵적 표상: 성별의 속성 전형성과 집단 일치성의 점화효과 (Implicit Representation of Gender Stereotype: Priming Effects of Attribute Typicality and Gender Congruency)

  • 이재호;방희정
    • 인지과학
    • /
    • 제14권2호
    • /
    • pp.37-46
    • /
    • 2003
  • 성별 고정관념은 대인 집단에 관한 표상이며 암묵적 수준에서 자동적으로 처리된다고 알려졌다. 이 연구는 고정관념의 속성 전형성과 집단 일치성 변인의 효과가 암묵적 점화과제에 반영되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는 성별 고정관념의 성별 속성을 전형성과 선호도 변인을 조작하여 점화 자극으로 제시한 다음 성별 이름에 대한 명명시간을 측정하였다. 전형성 변인의 효과만 관찰되었고, 그 효과는 여자에서 나타났다. 반면에 집단 일치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고정관념의 속성간 조건으로 전형성 변인의 점화효과를 체계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성별 범주의 주효과만 나타났고, 여성 속성이 남성 속성에 비해서 점화효과가 크게 관찰되었다. 전형성 변인의 주효과와 집단 일치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두 실험의 결과, 성별 고정관념의 속성 전형성은 암묵적인 수준에서 미약하지만 표상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성별의 집단 일치성 효과는 표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성별 속성이 미약하지만 전형성에 따라 단계적으로 표상되었을 가능성과 성별의 표상이 참가자 성에 따라 비대칭적으로 표상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데이트 폭력 사건 판단에서 '피해자다움'의 영향 (The Effect of Victim Typicality on the Judgment of Dating Violence Cases)

  • 임하연;박지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3호
    • /
    • pp.305-320
    • /
    • 2023
  • 범죄 피해자가 사람들이 기대하는 '피해자다운' 전형적인 모습에 부합하는지에 따라 사건 판단이 달라지는지에 관한 연구는 그간 주로 성범죄에 집중되어 있었고, 데이트 폭력 피해자의 피해자다움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찾아보기 매우 어렵다. 그러나, 최근 데이트 폭력사건이 급증하며 사회적 우려가 커짐에 따라 데이트 폭력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통념을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 나아가 피해자 관련 통념이 데이트 폭력 사건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데이트 폭력에서 피해자의 '피해자다움' 여부에 따라서 사건 판단이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성인 남녀 160명(여성과 남성 각 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데이트 폭력 피해자가 '피해자다움'에 부합할 경우 데이트 폭력 사건의 심각성이 더 높다고 판단되었다. 더불어, '피해자다움'과 가해자 책임 및 피해자 비난 간 각각의 관계에서 사건 심각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데이트 폭력 피해자가 '피해자다움'에 부합할 경우 사건을 더 심각하게 판단하였고, 사건 심각성을 더 높게 판단할수록 가해자 책임이 더 크다 판단하고 피해자를 더 적게 비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가 형사사법 절차에서의 이차 피해 방지나 배심원 교육 등에 대해 갖는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이 고의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범죄 전형성의 역할 (The Effect of Analytic-holistic Thinking Style on Intentionality Judgment: The role of crime typicality)

  • 김세헌;허태균;최승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2호
    • /
    • pp.253-273
    • /
    • 2023
  • 본 연구는 문화적 특성 중 하나인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이 고의성 판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에서 범죄 사건의 전형성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사건 가해자 및 피해자의 도덕적 특성을 바탕으로 범죄의 전형성을 다르게 조작한 사건에서 고의성 판단의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사람들은 범죄 사건의 전형성이 높을수록 고의성을 높게 판단하였다. 또한, 상대적으로 종합적 사고 양식을 보이는(그리고 인과성과 변화 인식이 높은) 사람들은 사건 가해자의 고의성을 낮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은 범죄의 전형성과 상호작용하여 고의성 판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종합적 사고를 하는(그리고 인과성이 높은) 사람들은 전형적인 사건에서는 가해자의 고의성을 높게 판단한 반면, 비전형적인 사건에서는 고의성을 낮게 판단하였다. 이 결과는 분석적 사고에 비해 종합적 사고를 하는 사람들이 가해자뿐만 아니라 피해자의 도덕적 특성을 고려한 범죄 전형성에 근거한 고의성 판단을 더 강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와 함께 분석적-종합적 사고 양식과 범죄 전형성 및 고의성 판단과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령, 범주전형성 및 회상조건에 따른 아동의 상위기억과 범주적 조직화 책략 사용 (Metamemory and Categorical Organization Strategy for Age, Category Typicality, and Recall Tasks)

  • 이혜련;이경님
    • 아동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5-138
    • /
    • 1995
  •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study developmental trends in categorical organization strategy. The subjects were 160 children - 40 nine - year - old boys, 40 nine - year - old girls, 40 seven - year - old boys, 40 seven - year - old girls. All subjects received one of three lists of items differing in category representativeness in either a free -recall or a sort -recall task. The selection of list materials permitted separation of the effects of age differences in category knowledge from those of knowledge per se on children's recall behavior. The tasks were administered to children individually with the memory task followed by the metamemory task.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ree - way ANOVA ari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that (1) Children's recall, clustering, and metamemory increased with age, while age effects for clustering were restricted to the sort - recall/high typicality condition. At each age level, children showed higher level of recall, clustering and metamemory for category typical rather than atypical list, and sort - recall than free-recall. Level of clustering and metamemory were superior in the sort - recall task and for items of high category typicality. (2) 9 - year - old children were capable of deliberately and efficiently using category organization as a memory strategy at least when appropriate contextual support was present (as determined by task requirements and list materials: sort - recall/high typicality).

  • PDF

패턴사전과 비정형성을 통한 이상치 탐지방법 적용 (Anomaly Detection via Pattern Dictionary Method and Atypicality in Application)

  • 오세홍;박종성;윤영삼
    • 센서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81-486
    • /
    • 2023
  • Anomaly detection holds paramount significance across diverse fields, encompassing fraud detection, risk mitigation, and sensor evaluation tests. Its pertinence extends notably to the military, particularly within the Warrior Platform, a comprehensive combat equipment system with wearable sensors. Hence, we propose a data-compression-based anomaly detection approach tailored to unlabeled time series and sequence data. This method entailed the construction of two distinctive features, typicality and atypicality, to discern anomalies effectively. The typicality of a test sequence was determined by evaluating the compression efficacy achieved through the pattern dictionary. This dictionary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frequency of all patterns identified in a training sequence generated for each sensor within Warrior Platform. The resulting typicality served as an anomaly score, facilitating the identification of anomalous data using a predetermined threshol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attern dictionary method, we leveraged atypicality to discern sequences that could undergo compression independently without relying on the pattern dictionary. Consequently, our refined approach integrated both typicality and atypicality, augmen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attern dictionary method. Our proposed method exhibited heightened capability in detecting a spectrum of unpredictable anomalies, fortifying the stability of wearable sensors prevalent in military equipment, including the Army TIGER 4.0 system.

국립공원 선호의 문화권간 비교: 경관의 전형성으로부터의 접근 (Cross-cultural Comparison of Landscape Preference for the National Park: An Approach from a Typicality of Landscape)

  • 이덕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82-49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른문화권 간에 경관이 지닌 전형성과 그 경관에 대한 시각적 선호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여기에 지역간 혹은 문화간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비교해 보는데 있다. 영국과 한국의 전형적 자연경관을 선별하기 위하여 영국의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과 한국의 지리산 국립공원의 사진이 이용되었다. 이에 대한 자연경관 선호를 측정하기 위하여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 및 지리산 국립공원 방문자에 대한 사진설문 조사가 실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두 집단 모두 연령과 방문횟수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케이른고럼스 국립공원 응답자의 경우 지리산 국립공원 응답자에 비하여 방문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형성과 선호성의 관계에 있어서는, 지리산 자연경관의 전형성이 높은 경우에 이에 대한 시각적 선호성도 높게 나타났으나, 반면에 케이른고럼스 경관의 전형성이 높은 경우에는 시각적 선호성이 오히려 낮게 나타났다. 즉, 자연경관의 전형성과 시각적 선호성 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성립하지만, 문화집단간 그 정도의 방향은 다르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