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Victim Typicality on the Judgment of Dating Violence Cases

데이트 폭력 사건 판단에서 '피해자다움'의 영향

  • Hayeon Lim (Department of Social Psycholog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 Jisun Park (Department of Social Psychology,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임하연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
  • 박지선 (숙명여자대학교 사회심리학과)
  • Received : 2023.05.03
  • Accepted : 2023.07.21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Research on offense judgment differing by victim typicality has usually focused on sexual violence, and studies on victim typicality of dating violence remain scarce. However, the social concern for the recent increase of dating violence cases demands research on social stereotypes of dating violence victims, especially focusing on how they affect judgments of dating violence cases. We examined if judgment of dating violence cases differed by victim typicality. The results based on 160 adults (80 females and 80 males)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victim typicality, the more seriously the offense was evaluated. In addition, the level of offense seriousn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 typicality and judgment of offender responsibility and victim blame. The higher the level of victim typicality, the more seriously the offense was evaluated, and the bigger the offender responsibility and the less the victim was blamed. Finally, we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of the study for preventing secondary victimization in criminal proceedings and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for jurors.

범죄 피해자가 사람들이 기대하는 '피해자다운' 전형적인 모습에 부합하는지에 따라 사건 판단이 달라지는지에 관한 연구는 그간 주로 성범죄에 집중되어 있었고, 데이트 폭력 피해자의 피해자다움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찾아보기 매우 어렵다. 그러나, 최근 데이트 폭력사건이 급증하며 사회적 우려가 커짐에 따라 데이트 폭력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통념을 살펴볼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 나아가 피해자 관련 통념이 데이트 폭력 사건 판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데이트 폭력에서 피해자의 '피해자다움' 여부에 따라서 사건 판단이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성인 남녀 160명(여성과 남성 각 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데이트 폭력 피해자가 '피해자다움'에 부합할 경우 데이트 폭력 사건의 심각성이 더 높다고 판단되었다. 더불어, '피해자다움'과 가해자 책임 및 피해자 비난 간 각각의 관계에서 사건 심각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데이트 폭력 피해자가 '피해자다움'에 부합할 경우 사건을 더 심각하게 판단하였고, 사건 심각성을 더 높게 판단할수록 가해자 책임이 더 크다 판단하고 피해자를 더 적게 비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가 형사사법 절차에서의 이차 피해 방지나 배심원 교육 등에 대해 갖는 정책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20S1A6A3A03063902).

References

  1. 김민정, 권인숙, 김선영 (2017). 성폭력 피해의 치명성 낙인이 피해자다움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 - 폭력후유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피해자학연구, 25(3), 117-139.
  2. 김선희 (2019). 성범죄재판에서 '피해자다움'이란 있는가?: 좁은 의미의 피해자다움의 논리에 대한 비판적 논의. 여성학논집, 36(1), 3-25. https://doi.org/10.18341/WSR.2019.36.1.3
  3. 김은영. (2016). 스토킹행위에 대한 인식과 경찰개입의 필요성 판단에 관한 분석연구.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7(3), 93-112.
  4. 김재한 (2019). 데이트폭력의 현주소와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 국회 법률안을 중심으로 -. 법학연구, 19(2), 1-27.
  5. 김태명 (2011). 성폭력 범죄의 실태와 대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형사정책연구, 22(3), 5-44.
  6. 박경은, 유영권 (2017).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의 심리내면에 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3), 711-742. https://doi.org/10.23844/KJCP.2017.08.29.3.711
  7. 박정난 (2020). 성폭력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 판단에 관한 검토. 형사소송의 이론과 실무, 12(2), 207-238.
  8. 박지선, 강은영 (2021). 성범죄 피해자 진술신빙성과 피고인 처벌 판단에 성차별의식과 강간통념이 미치는 영향. 이화젠더법학, 13(1), 1-34. https://doi.org/10.22791/EWHAGL.2021.13.1.001
  9. 백지연, 윤호영 (2021). 방송 뉴스가 재현하는 성범죄 피해 여성 이미지에 대한 키프레임 분석: 가상물, 자료화면을 통한 피해자다움의 재생산과 익명-실명 보도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5(2), 75-113.
  10. 성용은 (2021). 데이트 폭력피해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심리연구, 17(1), 113-130.
  11. 신지연, 최수미 (2017). 거부민감성, 비대칭패러다임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4), 533-549.
  12. 오주령, 박지선 (2019).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 주의가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법, 10(1), 47-65. https://doi.org/10.53302/KJFP.2019.03.10.1.47
  13. 우현진, 장숙희, 권호인 (2017). 데이트폭력 피해여성의 극복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3), 315-335.
  14. 윤덕경, 김차연 (2015). 성폭력 판례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과 개선과제. 이화젠더법학, 7(1), 73-107. https://doi.org/10.22791/EWHAGL.2015.7.1.003
  15. 이명신, 양난미 (2012). 성폭력 수사에 있어 이차피해 과정: 남성 경찰관을 중심으로. 여성연구, 83(2), 149-197.
  16. 이선미, 박용철 (2020). 성폭력 형사사건에서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과 경험칙에 관한 연구. 고양: 사법정책연구원.
  17. 이수정, 김은영 (2022).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데이트폭력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젠더감수성의 역할: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7(1), 1-21.
  18. 이수진 (2019). 성폭력 범죄에서 피해자 진술의 이해- '2018고합75 판결'과 '2018노2354 판결' 이슈를 중심으로-. 법학연구, 60(3), 35-62. https://doi.org/10.35275/pnulaw.2019.60.3.002
  19. 이숙정, 권호인 (2021). 남녀의 가해동기와 폭력 정당화가 데이트 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APIM)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7(4), 391-410. https://doi.org/10.20406/KJCS.2021.11.27.4.391
  20. 이예림, 박지선 (2021). 권위주의 성격과 강간통념 수용도에 따른 청소년 성범죄 사건에서의 판단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법, 12(1), 75-97. https://doi.org/10.53302/KJFP.2021.03.12.1.75
  21. 이한올, 박지선 (2022). 특권의식이 데이트 관계에서의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지배경향성과 사회비교경향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8(4), 555-575. https://doi.org/10.20406/KJCS.2022.11.28.4.555
  22. 임채영, 정소영, 이명신 (2010). 대학생의 폭력인식이 데이트폭력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35, 147-179.
  23. 장정윤, 강지현 (2017). 대학생의 대상관계수준이 데이트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집착행동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8(1), 307-327. https://doi.org/10.15703/KJC.18.1.201702.307
  24. 정대현 (2018). 피해자다움을 왜곡한 안희정 1심 무죄 판결의 부당성. 여성학논집, 35(2), 87-112. https://doi.org/10.18341/WSR.2018.35.2.87
  25. 정찬영, 김현정, 김태경, 박상희 (2020). 성폭력 피해 주장 여성에 대한 인식: 주체성과 판단자 성별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3), 167-194. https://doi.org/10.20406/KJCS.2020.8.26.3.167
  26. 정혜욱 (2018). 성폭력 범죄 2차 피해의 원인 및 방지책. 법학연구, 18(3), 55-88.
  27. 조무용, 김정인 (2016). 대학생들의 스토킹에 대한 태도와 두려움 지각 간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3(3), 341-364.
  28. 치안정책연구소 (2022). 치안전망 2023. https://psi.police.ac.kr/police/board/view.do?bbsId=BBSMSTR_000000000159&pageIndex=2&nttId=158870&menuNo=116001000000.
  29. 하예지, 서미경 (2014). 데이트폭력 인식과 폭력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30(4), 79-103. https://doi.org/10.16935/EJSS.2014.30.2.004
  30. 허민숙 (2017). "너 같은 피해자를 본 적이 없다": 성폭력 피해자 무고죄 기소를 통해 본 수사과정의 비합리성과 피해자다움의 신화. 한국여성학, 33(3), 1-31.
  31. 홍영오, 연성진, 주승희 (2015). 여성 대상 폭력에 대한 연구: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32. Ask, K., & Landstrom, S. (2010). Why emotions matter: Expectancy violation and affective response mediate the emotional victim effect. Law and Human Behavior, 34(5), 392-401. https://doi.org/10.1007/s10979-009-9208-6
  33. Barrett, B. J., & Pierre, M. S. (2011). Variations in women's help seeking in response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Findings from a Canadian population-based study. Violence Against Women, 17(1), 47-70. https://doi.org/10.1177/1077801210394273
  34. Bosma, A. K., Mulder, E., Pemberton, A., & Vingerhoets, A. J. (2018). Observer reactions to emotional victims of serious crimes: Stereotypes and expectancy violations. Psychology, Crime & Law, 24(9), 957-977. https://doi.org/10.1080/1068316X.2018.1467910
  35. Boyle, K. M., & Rogers, K. B. (2020). Beyond the rape "victim" - "survivor" binary: How race, gender, and identity processes interact to shape distress. Sociological Forum, 35(2), 323-345. https://doi.org/10.1111/socf.12584
  36. Chung, K. L., & Sheridan, L. (2021). Perceptions of stalking in Malaysia and England: The influence of perpetrator-target prior relationship and personalit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82, 111064.
  37. Eigenberg, H., & Policastro, C. (2016). Blaming victims in cases of interpersonal violence: Attitudes associated with assigning blame to female victims. Women & Criminal Justice, 26(1), 37-54. https://doi.org/10.1080/08974454.2014.997417
  38. Hayes, A. F. (2017).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Guilford publications.
  39. Landstrom, S., Ask, K., & Sommar, C. (2019). Credibility judgments in context: Effects of emotional expression, presentation mode, and statement consistency. Psychology, Crime & Law, 25(3), 279-297. https://doi.org/10.1080/1068316X.2018.1519828
  40. Larcombe, W. (2002). The 'Ideal' victim v successful rape complainants: Not what you might expect. Feminist Legal Studies 10, 131-148. https://doi.org/10.1023/A:1016060424945
  41. Lawrence, A. E., & Taft, C. T. (2013). Sham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intimate partner violence perpetration.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8(2), 191-194. https://doi.org/10.1016/j.avb.2012.10.002
  42. Lockwood, D., & Prohaska, A. (2015). Police officer gender and attitudes toward intimate partner violence: How policy can eliminate stereotypes. International Journal of Criminal Justice Sciences, 10(1), 77-90.
  43. McKeon, B., McEwan, T. E., & Luebbers, S. (2015). "It's not really stalking if you know the person": Measuring community attitudes that normalize, justify and minimise stalking. Psychiatry, Psychology and Law, 22(2), 291-306. https://doi.org/10.1080/13218719.2014.945637
  44. Peters, J. (2008). Measuring myths about domestic violenc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omestic violence myth acceptance scale.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16(1), 1-21. https://doi.org/10.1080/10926770801917780
  45. Peterson, B. E., & Zurbriggen, E. L. (2010). Gender, sexuality, and the authoritarian personality. Journal of Personality, 78(6), 1801-1826. https://doi.org/10.1111/j.1467-6494.2010.00670.x
  46. Reyns, B. W., & Englebrecht, C. M. (2010). The stalking victim's decision to contact the police: A test of Gottfredson and Gottfredson's theory of criminal justice decision making.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8(5), 998-1005. https://doi.org/10.1016/j.jcrimjus.2010.07.001
  47. Scott, A. J., & Sheridan, L. (2011). 'Reasonable'perceptions of stalking: The influence of conduct severity and the perpetrator-target relationship. Psychology, Crime & Law, 17(4), 331-343. https://doi.org/10.1080/10683160903203961
  48. Sorenson, S. B., & Taylor, C. A. (2005). Female aggression toward male intimate partners: An examination of social norms in a community-based sampl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29(1), 78-96. https://doi.org/10.1111/j.1471-6402.2005.00170.x
  49. Straus, M. A., Hamby, S. L., Boney-McCoy, S. U. E., & Sugarman, D. B. (1996). The revised conflict tactics scales (CTS2) development and preliminary psychometric data. Journal of Family Issues, 17(3), 283-316. https://doi.org/10.1177/019251396017003001
  50. Toplu-Demirtas, E., Oztemur, G., & Fincham, F. D. (2022). Perceptions of dating violence: Assessment and antecedents.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37(1-2), 48-75. https://doi.org/10.1177/0886260520914558
  51. van Doorn, J., & Koster, N. N. (2019). Emotional victims and the impact on credibility: A systematic review.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47, 74-89. https://doi.org/10.1016/j.avb.2019.03.007
  52. White, E., Longpre, N., & Stefanska, E. B. (2022). Stalking behaviors presented by ex-intimate stalkers: A victim's perspective.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37(7-8), NP5074-NP5093. https://doi.org/10.1177/0886260520934429
  53. Witte, T. H., Schroeder, D. A., & Lohr, J. M. (2006). Blame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An attributional analysis.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5(6), 647-667. https://doi.org/10.1521/jscp.2006.25.6.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