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e of natural scenery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9초

조선시대 산수화에 그려진 자연풍경의 유형구분과 특성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Natural Scenery in Landscape Painting during Joseon Dynasty)

  • 박찬우;이연희;김재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4호
    • /
    • pp.687-695
    • /
    • 2014
  •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유형을 구분하고 특성을 가늠할 수 있는 새로운 방편으로 선조들이 남긴 산수화에 주목하였다. 자연풍경(수산(山水))을 그림의 주대상으로 하고 있는 조선시대 산수화 629매를 수집, 그림에 그려진 주대상에 의해 유형을 분류하였다. 산수화는 그림이 그려진 장소에 의해 산, 강, 바다, 도시로 구분되었다. 산에서 그려진 그림은 연봉형(蓮峯型), 다봉형(多峯型), 독립봉형(獨立峯型), 산기암형(山奇巖型), 산계곡형(山溪谷型), 산수변형(山水邊型)으로 구분되었다. 강에서 그려진 그림은 강산형(江山型), 강수형(江水型), 강변형(江邊型), 강기암형(江奇巖型)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바다에서 그려진 그림은 해변형(海邊型), 해기암형(海奇巖型)으로 구분되었고 도시에서 그려진 그림은 시가지(市街地)파노라마型으로 한 개의 유형이 되었다. 한편 그림이 그려진 장소, 시점(視點)을 통합하여 보면 산수화에 그려진 자연풍경은 산봉우리의 모습, 산 강 바다 어디에 있던지 기암의 모습, 산 강 바다 모두 물과 뭍이 만나는 곳(강변(江邊) 해변(海邊) 산(山)의 수변(水邊)/계곡 폭포 담)의 모습으로 요약할 수 있다. 각 유형과 유사한 자연풍경을 갖는 장소는 이미 널리 알려진 곳이거나 또는 아름다운 자연풍경의 창출이 가능한 곳으로 자연풍경지의 가치에 주목하여 보존과 관리에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산림경관계획 수립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Forest Landscape Management Plan)

  • 박찬우;정미애;이연희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300-308
    • /
    • 2015
  • 국내에서는 2007년 경관계획제도가 시작되었다. 산림관리의 장기성과 광범위성을 생각하면 산림경관 관리의 계획적 접근은 필수불가결한 일이나 산림경관계획은 거의 수립되지 못하고 있다. 계획 수립에 필요한 식견의 부족도 하나의 원인으로 판단된다. 산림의 특성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계획 수립을 위해 산림경관요소의 도출과 산림경관계획 작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산림경관요소(산림경관유형)는 4개의 중분류(지형자원, 수자원, 식생자원, 인문자원)와 12개의 소분류(지형자원:능선 파노라마, 기암봉우리와 암릉, 수자원:폭포, 계곡과 계류, 호수와 도경, 식생자원:수관층 풍경, 주능선의 철쭉, 능선사면의 단풍, 초본군락의 꽃밭, 임내풍경, 숲길풍경, 인문자원:시설물)로 구성되었다. 산림경관계획 작성 시 제안사항으로 유형별 계획 단계의 경관권역계획 작성 시 산림의 6개 기능의 검토 필요성과 요소별 계획단계에서는 주능선, 계절감, 산림수변, 암석자원 경관관리계획 수립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자연 휴양림 내 건축물의 시각적 영향에 관한 연구 - 조령산자연휴양림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Visual Effect of Building in the Recreation Forest - The Case of Joryongsan Recreation Forest -)

  • 김범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9-57
    • /
    • 2005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scape organization and evaluating factors to harmonize the buildings with natural landscape using the landscape simulation models (near view less than $100{\cal}m$) controled the distance and obtain some knowledges about the introduction of buildings into the recreation forest. Through this stud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 ;1) As the distance got to be near, the evaluation of comprehensive scenery and natural quality became low. 2) At the view points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 clear landscape organization showed a high value of scenery in comparison with the simple landscape organization, 3) As the coniferous forest showed more high value in comparison with the deciduous forest, the forest type surrounding cottage is important factor evaluating the landscape in the recreation forest area.

해양경관의 시각적 평가에 관한 연구 (On the Visual Assessment of Seascape)

  • 이한석;이명권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49-362
    • /
    • 1998
  • Seascape means the scenery which is composed around the sea., Seascape has it's own characteristics compared with landscape and has many important roles in our urban life. Nowadays seascape is being destructed by the development in waterfront area and ocean space. Especially the various kind of buildings which are built in coastal area give great visual impact on seascape. But we have rare research on seascape and no guideline for seascape planning. Before any action against destroying seascape the assessment of seascape has to be preced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presentative seascapes which are selected from over 300 slides of various seascapes according to the types of seascapes. We used S.D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with 35 adjective pairs in seven scale to evaluate each seascap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eascapes can be classified as natural type and urban type. The natural type can be divided into beach type and rock-island type. 2) Natural type of seascape is more prefered than urban type. 3)Beach type is the most prefered among seascape types. 4) Natural elements of seascape such as sky, water, sand, trees, forest, mountain, open space, waterfront line, are evaluated as 'good' to see but artificial elements, such as buildings, persons, roads, structures, are evaluated 'bad' to see. 5)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five factors(axes) are found out. They are 'wildness', 'vividness', 'preference', 'interest', and 'openness'. These factors can be used for evaluting any seascape.

  • PDF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수변의 미지형 경관 특성과 하경양식 (A Study on the Micro-Topography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Waterfront Landscape Style of Waterfront in Korean Jingyeong Landscape Painting)

  • 김용희;강영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6-38
    • /
    • 2019
  • 본 연구는 수변경관의 특성을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최근 주거, 상업 및 여가공간의 확충을 위해 수변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변 개발 시에는 도심과 다른 수변공간에 적합한 디자인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변공간의 자연스러운 풍경상을 진경산수화에서 찾고, 그 풍경을 구성하는 주요 경관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변 경관의 분석이 가능한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105엽을 선정하였다. 105엽을 하천지형학적 분류에 따라 산간계류, 상류, 중류, 하류, 해(海)로 분류하였고, 수변경관을 구성하는 주요 미지형 요소인 수형상 13가지, 점경요소 13가지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미지형요소 수형상은 선형, 면형, 변형으로 구분되며, 장폭, 단폭, 다단폭, 선류, 곡류, 다곡류, 담, 수면, 유수면, 탄파면, 기암변, 토파변, 토사변 등 13가지이다. 점경요소는 자연 인문 요소로 구분되며, 송림, 소나무, 전나무, 대나무, 버들, 잡수, 기암, 마을, 집, 누정, 배, 다리, 사람 등 13가지이다. 하천 구역별 수변 미지형 경관의 특징을 수형상과 점경요소들로 설명하였으며, 수형상과 점경요소들의 하천 구역별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105엽은 산간계류 35엽, 상류 9엽, 중류 5엽, 하류 35엽, 해(海) 21엽으로 분류되었다. 하천 구역별로 수형상과 점경요소가 표현되는 양상을 분석한 결과, 5가지의 하경양식과 해안의 풍경 특징을 종합할 수 있었다.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서 수변 미지형 경관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하경양식은 다음과 같다. 산간계류에서는 심산속 폭포 풍경을 그린 장폭심산형, 수림지내 곡류를 유람하는 풍경인 다곡수림형이 대표적인 하경양식으로 나타났다. 중상류에서는 수변을 유람하거나, 누정이 있는 풍경인 수면누정형, 하류에서는 하류 특유의 모래톱과 누정이 있는 풍경인 토사누정형과 하류에서의 인간활동이 부각된 생활풍경인 토파나루형이 대표적인 하경양식으로 나타났다. 해안 풍경의 특징은 바닷가의 기암절경이 주 풍경을 이루는 탄파기암형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를 소재로 산수화와 경관 분야에서 아직 연구되지 않은 수변공간의 구성요소들과 수변 풍경 유형을 분석하였다.

상업공간에서의 자연요소 표현방법 및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Method and Characteristics of Ecology Design in Commercial Space)

  • 이진영;서지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86-193
    • /
    • 2013
  • In the commercial space, the modern consumers want to consume not only product but also culture. Thus, the modern commercial space tries to induce the customer's concern and purchase to the differentiated design. The introduction of this 'the natural element' delivers the pleasure and stability to the consumer buying process and availability is enlarged. Therefore, the purpose of study is gain that expression and characteristic method of the natural element in the commercial space. The detailed study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looks into the natural element expression tendency in the modern space. Second, the expression type of the natural element was classified as 'Reappearance', 'Transformation', and 'Fuse'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An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expression type, subdivided method of 'Inclusion' and 'Replication' of 'Reappearance' and method of 'Imitation' and 'Association' of 'Transformation' and method of 'Juxtaposition' and 'Combine' of 'Fuse'. Third, the result of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expression of the natural element of the besides the commercial space case 20 place is as follows. First, 'Inclusion' of 'Reappearance' introduced the external scenery or planned garden as the inside through the opening. 'Replication' is used for decorative purposes or functional purposes as the natural element. 'Imitation' of 'Transformation' imitated the form, pattern, and color of the natural element and was mainly expressed in the wall and objet. The method of 'Association' expressed the concept of the natural element for the whole of the space and a portion of the wall and objet repetitively. As for 'Juxtaposition', mixture of 'Reappearance' had a good visual effect, because it can be obtained the external-internal nature. As for 'Combine', mixture of 'Replication' and 'Imitation' was the most common method. Thus,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e date in designing the commercial with development of the natural element application method.

군집분석을 통한 경상남도.전라도 별서의 입지적 특성 (Locational Characteristic of Byeolseo in Gyeongsangnamdo.Jeollado by Cluster Analysis)

  • 이경은;안계복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7-45
    • /
    • 2012
  • 별서는 세속을 피하고 은둔전원생활을 위해 수려한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다양한 장소에 입지하였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와 전라도 지역 별서의 입지유형을 분류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경상남도 52개소 전라도 44개소 총 96개소 별서의 복합적인 입지특성을 조사하고, 다음으로 별서의 입지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입지특성을 유사한 성격을 가진 몇 개의 군집으로 집단화하는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상남도와 전라도의 입지유형이 각각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경상남도는 '산계형', '절벽형'이, 전라도는 '평지형', '강변 구상형'이 각기 다른 유형으로 '구상형'과 '곡강형', '강변 기타형'은 공통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 경상남도는 절벽형이 30.8%, 산계형이 15.4%로 전체의 46.2%가 '강가의 절벽'이나 '산계'에 입지하고 있어 가장 대표적인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경상남도와 달리 전라도는 평지가 18.2%, 강변 구상형이 18.2%, 구상형이 38.6%로 전체의 75.0%가 '평지'나 '강가의 언덕 위' 또는 '언덕 위'에 입지하고 있어 전라도 지역의 대표적인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입지특성은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주변의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입지함을 알 수 있다.

"대(臺)"양식(樣式)의 역사적(歷史的) 발달과정(發達過程)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분석(分析)을 통한 대(臺)의 개념(槪念) 분석(分析)- (A Study 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Pattern of ${\ulcorner}$Dae${\lrcorner}$ In Korea, (I) - Review of the Sinjungdonggukyojisungram -)

  • 안계복
    • 건축역사연구
    • /
    • 제2권2호
    • /
    • pp.26-36
    • /
    • 1993
  • The ${\ulcorner}$Dae${\lrcorner}$ is a place where a man could commune with nature. Our ancestors, who had very interested in natural landscape, and were named to the typical rock in the nature, which they called 'Dae'. The results of a analyzed the old literature(1530 : early stage of Chosen Danasty) are as follows. 1. The distribution of Dae is differ from provinces. Gangwon-do, Kyongsang-do, Cholla-do had many of the Daes. 2. The characteristics of form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1) A type of huge flat rock, which able to sit 5-6 persons(30.2%) 2) A type of mountain peak, which unable to use but seems to use images (27%) 3) A type of cliff(25.4%) 4) A type of fantastic rock (9.5%) 5) A type of stratified rock (6.3%) 3.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Dae were summarized watching a scenery and strolling (유(遊)), enjoying acenery, and relaxation. 4. The site locations of Dae are various such as, hill top, on cliffs, on the mountain, around river, river side cliff or grand rocks, and so forths.

  • PDF

별서명승의 개념에 대한 의미론적 해석 (A Meaningful Interpretation on Concept of Byeulseo Scenic Spot)

  • 이재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9-58
    • /
    • 2010
  • 본 연구는 별서명승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으로서, 별서 및 명승의 정의를 먼저 제시한 후, 별서가 별서명승으로 불릴 수 있는 근거와 이유, 당위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명승지정 기준은 3항에 저명한 경관의 전망지점, 5항에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 및 중요한 전설지 등으로서 종교, 교육, 생활, 위락 등과 관련된 경승지를 명승으로 지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여기에 덧붙여 우리 선조들이 별서공간에 대한 명승개념을 정의해 놓은 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별서공간을 역사 및 생활명승으로서의 명승으로 지정해 나갈 수 있는 준거를 찾아보고자 한다. 첫째, 문화재법상 명승의 개념은 경치가 좋기로 이름난 건물이 있는 경승지 또는 이름난 풍경을 볼 수 있는 지점으로서 경치도 중요하지만, 대상지의 담겨진 삶의 기록(Story Telling)인 역사자원을 발굴해 내는데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우리나라의 명승에 대한 지정 기준은 자연경관, 저명한 경치가 있는 동식물군락지, 경관조망점,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庭苑) 및 중요한 전설지 등으로 다양화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생활명승으로서의 별서명승의 지정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외국 사례 중 일본의 경우, 별서 및 주택정원을 명승으로 196개소나 지정하여 전체 명승 355개의 55.4%에 달하고 있음에 유의하여, 우리도 이들의 제도를 우리에 맞게 원용해볼 필요가 있다. 특히 저명한 건물이나 중요사적 및 민속자료 등이 포함된 대단위 경관지역은 복합문화명승이나 특별명승과 같은 개념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사적, 중요 민속자료 등으로 분류된 정원, 원지 중에서 명승으로의 가치가 더욱 부각되는 대상지의 명승으로의 문화재 지정종별 분류작업을 지속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생활명승이면서 경치가 아름다운 별서정원의 명승지정을 확대하여야 한다. 정자들은 경승지에 선비들이 은일하며, 학문을 했던 별서의 중심공간으로서, 작정자가 분명하고 행장기록이 있어 국민들에게 이야기거리를 창출하여 홍보할 수 있는 가치가 있는 경우 명승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별서정원에서 경치가 아름다운 조망점의 경우 지정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명승 지정을 확대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별서정원의 경우 조망점이 우수한 사례가 많고, 아직 조망점이 좋은 대상지를 명승으로 지정한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저부하형 개발을 위한 화단형 빗물침투시설 적용방안 - 생태전원마을에서의 적용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the Flowerbed Type Infiltration System for Low Impact Development - Focus on the Application to Eco-Village -)

  • 한영해;이태구
    • KIEAE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33-40
    • /
    • 2012
  • Since 2000 country region developmental policy has been to integrate not only the improvement of physical living environment but also various subjects on ecology, environment, scenery, local culture, and green tourism. This study has recently established a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plan in order to provide an hydrology cycle system to the eco-village being planned by Seocheon-gun as a part of the garden village development business promo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subject area is measured at $10^{-7}{\sim}10^{-10}m/sec$, and a flowerbed-type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 non-point pollution source that stems from the development-caused impermeable surface has been applied. In the case of rainwater flowing out from the main entrance way and parking lot within the complex being treated in the flowerbed-type rainwater infiltration system, natural purification effects via soil and plants as well as natural water cycling effects through evaportranspiration and infiltration are expec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mpared to conventional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being applied limited to the urban areas, is that it offers appropriate rainwater management plan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ubject area. 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is a valuable measure both economically and ecologically that reduces the burdens on local underground water cultivation as well as rain water pipe lines or purification systems, and sewage pi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