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al Characteristic of Byeolseo in Gyeongsangnamdo.Jeollado by Cluster Analysis

군집분석을 통한 경상남도.전라도 별서의 입지적 특성

  • Lee, Kyoung-Eun (Dept. of Enviormental Science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 Ahn, Gye-Bo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이경은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 안계복 (대구가톨릭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Byeolseo was located in various places with beautiful natural scenery to avoid the mundane world and for country life in seclusion. In this study, to classify locational type and characteristics of Byeolseo in Gyeongsangnamdo and Jeollado areas, complex locational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otal 96 Byeolseo (52 in Gyeongsangnamdo and 44 in Jeollado) were researched and cluster analysis was executed to group locational characteristics to several clusters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classify locational types of Byeolseo. As the result, locational type for Gyeongangnam-do and Jeolla-do were classified to 5 types each. Unique locational types Gyeongsangnamdo were 'valley type' and 'cliff type' and unique ones for Jeollado were 'flatland type' and 'riverside.hill type'. 'Hill type', 'curvy river type' and 'riverside other type' were shown in both areas. In Gyeongangnamdo, 30.8% was cliff type and 15.4% was valley type 46.2% of the total was locatedon 'cliff near river' or 'valley'. These were the most popular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Gyeongangnamdo. Unlike Gyeongangnamdo, 18.2% was flatland type, 18.2% is riverside.hill type, and 39.6% was hill type in Jeollado 75.0% of the total was locatedon 'flatland', 'on hill near river' or 'on hils'. These were the most popular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Jeollado. Such location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Byeolseo was located using nearby scenery considering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located area.

별서는 세속을 피하고 은둔전원생활을 위해 수려한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다양한 장소에 입지하였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와 전라도 지역 별서의 입지유형을 분류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경상남도 52개소 전라도 44개소 총 96개소 별서의 복합적인 입지특성을 조사하고, 다음으로 별서의 입지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입지특성을 유사한 성격을 가진 몇 개의 군집으로 집단화하는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상남도와 전라도의 입지유형이 각각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경상남도는 '산계형', '절벽형'이, 전라도는 '평지형', '강변 구상형'이 각기 다른 유형으로 '구상형'과 '곡강형', '강변 기타형'은 공통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 경상남도는 절벽형이 30.8%, 산계형이 15.4%로 전체의 46.2%가 '강가의 절벽'이나 '산계'에 입지하고 있어 가장 대표적인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경상남도와 달리 전라도는 평지가 18.2%, 강변 구상형이 18.2%, 구상형이 38.6%로 전체의 75.0%가 '평지'나 '강가의 언덕 위' 또는 '언덕 위'에 입지하고 있어 전라도 지역의 대표적인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입지특성은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주변의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입지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민수, 김상단, 김보경, 김형수(2007). 군집분석을 통한 수문학적 가뭄의 가뭄심도-가뭄면적-가뭄지속기간 곡선의 작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7(3B): 267-276.
  2. 김동찬, 김신원, 박태석(2006). 경기지역 정자의 입지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부설 디자인연구원 논문집. 9(1): 1-10.
  3. 김영빈, 안계복(1985). 별서에 관한 연구(I), 효성여자대학교 연구논문집. 30: 1-22.
  4. 김용기, 이재근(1992). 朝鮮時代亭子園林의 地域的特性에 관한 硏究-嶺․湖南의 別墅庭園을 中心으로-. 한국정원학회지. 10(1): 15-32.
  5. 나주목향토문화연구회(2002). (國譯)樓亭題詠.
  6. 노형진(2002). SPSS10.0에 의한 조사방법 및 통계분석. 형설출판사.
  7. 문화재청(2010). 2010전국 별서 명승자원 지정조사 보고서.
  8. 민경현(1991). 韓國庭園文化-始原와 變遷論-. 예경산업사.
  9. 밀양문화원(2008). (국역)밀양루정록.
  10. 박기용(1998). 거창의 누정. 거창문화원.
  11. 박창석, 임승빈, 김용(1999). 農村마을 計劃을 위한 마을 類型및 特性 硏究.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4(4): 61-70.
  12. 박창용, 최영은, 문자연, 윤원태(2009). 기온과 강수특성을 고려한 남한의 기후지역 구분. 대한지리학회지. 44(1): 1-16.
  13. 서주환, 윤재남(1999). GIS와 군집분석을 이용한 경관자원평가와 관리. 한국조경학회지. 27(3): 88-97.
  14. 석당전통문화연구원(1995-1998, 2006). 石堂論叢. 21, 22, 26, 27, 36집. 동아대학교 석당문화연구소.
  15. 송두범, 오남현(2001). 농촌지역사회의 유형구분 및 특성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3(3): 107-120.
  16. 송민경, 장훈(2010).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도권 도시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8(1): 83-88.
  17. 안계복(1988). 경북지방을 중심으로 한국의 정양식형성에 미친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효대논문집 36: 471-510.
  18. 안계복(1990). 樓閣및 亭子樣式을 통한 韓國傳統庭園의 特性에 關한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안계복(1991). 韓國의 樓亭樣式上諸特性및 計劃理論에 關한 硏究. 한국조경학회지. 19(2): 1-11.
  20. 안계복, 오태호(2010). 경남지방 별서의 경관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4): 28-35.
  21. 이기철, 강기래(2009). 군집분석을 통한 전국자연휴양림 유형분류. 한국조경학회지. 37(1): 9-17.
  22. 이재근(1991). 조선시대 별서정원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3. 이학식, 임지훈(2009). SPSS14.0매뉴얼. 법문사.
  24. 장윤배, 이훈, 노병덕(2010). 문화재 입지 특성에 따른 유형 분류와 규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5(4): 5-16.
  25. 전남대학교 호남문화연구소(1985-1991). 湖南文化硏究14, 15, 16, 17, 18, 19, 20집. 전남대학교.
  26. 정동오(1986). 傳統的인 亭子園林의 立地特性및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한국정원학회지. 5(1): 25-38.
  27. 정홍우, 이상룡, 박평식(1989). Cluster分析法에 의한 營農類型分類에 관한 硏究. 농업경제연구. 30: 137-147.
  28. 조춘환, 김성호(2009). 일반국도 도로특성분류를 위한 통계적 군집분석과 KohohenSelf-OrganizingMaps의 비교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9(3D): 347-356.
  29. 창녕문화원(1995). 昌寧樓亭錄. . 미화출판사.
  30. 최만봉(2001). 全北地方의 傳統的인 樓亭園林의 立志的特性및 空間構成에 관한 硏究. 한국산림휴양학회지. 5(3): 39-57.
  31. 함안군 문화공보실(1985). 아라의 얼. 32. 함양문화원(2001). 咸陽樓亭誌. 上-下.
  32. 함양문화원(2001). 咸陽樓亭誌.上-下
  33. 합천문화원(2002). 陜川樓亭錄. 합천군: 세기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