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e 1 fimbria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55초

동물세포의 부착에 관여하는 살모넬라 유전자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of Salmonella Adhesins Required for Colonization of Animals)

  • 김영희;김상웅;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2-210
    • /
    • 2005
  • 살모넬라는 질병을 일으키기 위해서 장내의 상피세포에 먼저 부착하여 집락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살모넬라는 부착에 관여하는 세포내 몇 몇 소기관들을 합성한다. 이러한 소기관에는 type 1 fimbriae, plasmid-encoded fimbriae, long polar fimbriae 그리고 thin aggregative fimbriae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type 1 fimbriae, thin aggregative fimbriae, LP fimbriae, 그리고 PE fimbriae 각각을 결손시킨 변이주와 4종류를 모두 결손시킨 변이주를 만들 수 있었다. 변이주들에 대해서 세포배양 부착성 실험을 한 결과, 각각을 결손시킨 변이주들은 몇몇 mammalian 세포주에서 야생형 살모넬라와 동일한 양상으로 부착성을 나타내었고 마우스 실험에서 야생형과 거의 마찬가지로 독성을 가지고 있었다. 반면, 4종류의 fimbriae가 모두 결손된 균주는 닭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었으나 마우스에서는 매우 약독화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오는 차이점은 닭과 비교하여 마우스에서 살모넬라의 부착을 매개하는 표면 구조에 연관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국내 Bordetella pertussis 분리균주에서 Agglutinogen과 Fimbriae 혈청형 변이 분석 (Serotype Variations of Agglutinogen and Fimbriae in the Korean Isolates of Bordetella pertussis)

  • 정상운;문유미;성화영;강연호;유재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21-227
    • /
    • 2008
  • Bordetella pertussis는 유아의 호흡기감염질환인 백일해의 원인균으로 배신도입에 의해 발생률이 크게 낮아졌다. 그러나 최근에 일부 백신접종률이 높은 국가에서 증가된 백일해 발생건수가 보고되고 있으며, 그 추정 원인 중에 하나는 백신주와 유행주 사이의 유전형 흑은 혈청형 변이 이다. 따라서 분리주에 대한 변이 현황을 유전형 혹은 혈청형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고 국내에서 백일해 발병증가에 대한 가능성을 추정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9\sim2006$년 사이에 분리된 국내 백일해 분리균주의 변이 양상을 agglutinogen과 fimbriae에 대한 혈청형 조사를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agg 1과 fim 2가 국내 분리주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혈청형이었고, 두 항원 모두 시대에 따른 혈청형 변이 현상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agglutinogen의 경우는 백신균주(agg 1,2)와는 다른 유형(agg 1)이 증가되는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fimbriae의 경우는 백신균주(fim 2)와 동일한 유형이 증가되어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백일해 발병증가가 나타나는 국가들에서도 확인되는 현상으로 국내에서의 백일해 발병증가에 대한 보다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는 항원결정기 유전자에 대한 변이정도 및 정상인에서의 항체가 분포양상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pression of Type-1 Fimbriae in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O91:H21 Isolated from Asymptomatic Human Carriers in Korea

  • Kim, Jung-Beom;Oh, Kyung-Hwan;Park, Mi-Sun;Cho, Seung-Ha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5호
    • /
    • pp.731-737
    • /
    • 2013
  • Seventy-four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TEC) isolates belonging to the serotype O91:H21 were isolated from 1,643 asymptomatic human carriers in a STEC outbreak at Gwangju in Korea. Although the isolates did not cause any symptoms, all of them produced Shiga toxins 1 (Stx1) and 2 (Stx2). In order to determine why these strains cause no symptoms, we explored the differences in virulence potential between the asymptomatic STEC O91:H21 isolates and symptomatic STEC O91:H21 strains (ATCC 51435 and ATCC 51434). The asymptomatic STEC O91:H21 isolates showed strongly reduced cytopathic effects compared with the symptomatic strains when intact bacterial cells were used as an inoculant. Moreover, we found a reduced adherence phenotype when testing asymptomatic strains on HeLa cells. Real-time quantitative PCR results suggest that transcriptional repression of the genes encoding type-1 fimbriae occurs in the asymptomatic isolates but not in the symptomatic strains.

살모넬라가 발현하는 stf 오페론의 조절과 병원성 인자로서의 기능 (Regulation of stf Operon Expression and Its Virulence)

  • 김삼웅;김영희;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53-560
    • /
    • 2005
  • stf 오페론은 stfA CDEFG로 구성되며, S. typhimurium과 S. choleraesuis에서는 완전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S. typhi에서는 이 오페론이 결여되어 있고 S. paratyphi A에서는 stfC의 유전자가 돌연변이 되어 있다. 이 섬모는 class 1형태의 섬모로 분류되며, StfD chaperone을 다른 섬모를 구성하는 chaperone들과 비교할 때 각 subunit들의 C-말단 잔기의 분석은 StfD chaperone이 FGS subfamily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stf 오페론이 lacZYA 유전자와 fusion된 S. typhimurium 돌연변이 균주를 사용하여 MacConkey 고체배지에서 장시간 배양한 후 $Lac^+$ 표현형을 보이는 21 isolate들을 분리하였다. $Lac^+$ 균주들은 34 세대 당 $0.28\~1.75$의 빈도로 발생하였다. 21 isolate들은 구성적으로 stf operon을 발현했지만, 범용의 조절자인 RpoS, OmpR, CpxR등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다. Mouse독성 실험에서 S. typhimurium $_X8661$은 야생형인 $_X3761$에 비교하여 6.7배의 약독화를 보였다.

마우스에서 조류 병원성 대장균의 P Fimbriae subunits을 발현하는 약독화 살모넬라균 경구 접종 후 면역 반응 유도 실험 (Induction of Systemic and Mucosal Immune Responses in Mice Orally Administered with Recombinant Attenuated Salmonella Expressing Subunits of P Fimbriae of Avian Pathogenic Escherichia coli)

  • 오인경;문보미;이존화;허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7-302
    • /
    • 2011
  • 조류병원성 대장균 (APEC)은 가금에서 많은 장관외 질병을 야기한다. 병원성 인자 중 하나인 P-fimbriae 또한 질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번 연구에서 마우스에 P-fimbriae의 subunit 들인 PapA와 PapG를 발현하는 재조합 약독화 Salmonella Typhimurium 백신균주 접종 후 APEC 방어에 필요한 면역반응 유도 여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백신 균주로 경구 접종 후 각 항원에 대한 serum IgG 항체 역가는 접종 후 4주째부터 대조군에 비해 항체 역가가 높게 유도되기 시작하여 실험이 끝날 때까지 높은 항체 역가가 계속 유지 되었다. 한번 접종 된 경우보다 추가 접종 된 군에서 보다 높은 항체 역가가 관찰되었다. 더불어 각 항원에 대한 mucosal IgA 역가 또한 높게 유도되었다. 두 균주를 혼합하여 접종 하였을 경우에는 각 백신 균주를 접종하였을 경우보다 높은 serum IgG와 mucosal IgA의 역가가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이들 백신 균주가 면역원성이 있음을 확인하는 결과였다. 또한 helper T cells type을 알아보기 위해 IgG1과 IgG2a의 항체 역가를 측정하여 본 결과 각 백신 균주를 접종하였을 경우에는 IgG2a의 항체 역가가 IgG1의 항체 역가 보다 월등히 높은 이들 백신 균주를 접종 하였을 경우에는 Th1-type의 면역 반응이 유도되지만 두 백신 균주를 혼합 접종하였을 경우에는 Th1-과 Th2-type 모두를 유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이들 두 백신 균주를 혼합 접종 하였을 경우에는 세포성 면역뿐만 아니라 체액성 면역 모두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임플란트주위염시 Porphyromonas gingivalis 섬모유전형의 출현율 (Prevalence of fimA Genotypes of Porphyromonas gingivalis Strains in peri-implantitis patients)

  • 신승일;권영혁;박준봉;허익;정종혁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5권1호
    • /
    • pp.31-41
    • /
    • 2005
  • Fimbriae (fimA) of Porphyromonas gingivalis are filamentous components on the cell surface and are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olonization and invasion of periodontal tissue. P. gnigivalis fimA gene encoding fimbrillin, a subunit of fimbriae, has been classified into 5 genotypes (types I to V)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prevalence of these fimA genotypes in patients with dental impla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evalence of these genotypes and peri-implantitis. Dental plaque specimens obtained from 80 peri-implant sulci of 50 patients with dental implants were analyzed by 16S rRNA fimA gene-directed PCR assay. P. gingivalis were detected in 74.4% of the samples of the control group (healthy peri- implant sulci; probing depth<5mm) and in 92.0% of the samples of the test group (peri-implant sulci with peri-iimplantitis; probing $depth{\geqq}5mm$). Among the P. gingivalis-positive samples of the control group, the most prevalent fimA type was type I (29.3%), followed by type II (26.8%). In contrast, a majority among the P. gingivalis-positive samples of the test group was type II (56.S%), followed by type I (43.5%). TypeII fimA genotype organisms were detected more frequently in the test group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of type II was observed between test and the control groups. A correlation between specific fimA types and peri-implant health status was found in type II (OR 3.545) and only a weak relationship was revealed in typeIV(OR 3.807).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 gingivalis strains that possess type II fimA are predominant in peri-implant sulci with peri-implantitis and are closely associated with peri-implant health status. P. gingivalis with type II fimA may be involved in peri-implantitis.

생육조건에 따른 Salmonella typhimurium의 숙주세포 부착성 (Effect of Growth Conditions in the Attachment of Salmonella typhimurium to the Host Cells)

  • 김영희;김상웅;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41-646
    • /
    • 2005
  • Salmonella typhimurium TML이 Int-407 숙주세포에 부착하는 정도는 S. typhimurium이 낮은 농도의 철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되었을 때보다 LB 액체배지 또는 높은 농도의 철이 함유된 배지에서 생육한 것에서 약 10배 정도의 높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고농도의 철이 포함된 배양조건이 살모넬라가 숙주세포에 부착시키는 정도를 향상시키는데 반해, 칼슘, 코발트, 구리, 인산, 마그네슘 그리고 망간과 같은 다른 양이온은 그렇지 않다. 이것은 아마도 철이 Salmonella가 부착에 필요한 요소들의 발현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철 농도에 따른 부착정도의 차이들은 type 1 fimbriae, mannose resistant hemagglutinin과 flagellum등을 생성하지 않는 다양한 S. typhimurium 돌연변이주들에서도 관찰되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이들 구조체들과 상관이 없는 밝혀지지 않은 어떤 인자가 부착성 증가에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fur유전자가 불활성화된 S. typhimurium 돌연변이주의 부착성이 야생형 Salmonella와 유사한 방식으로 철에 의해 조절되었는데, 이는 철 농도에 따른 부착성의 변화에 관여하는 잠재적인자의 발현이 Fur 단백질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우(牛) 유래(由來)의 Salmonella속균(屬菌)에 대하여 (Studies on Salmonella Isolated from Cattle)

  • 정석찬;최원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9-85
    • /
    • 1986
  • This paper deals with the isolation of Salmonella on 3 herds during the period from May 1984 to May 1985. Isolated Salmonella were examined for serotypes, adhesive fimbriae, antibiotic susceptibility and detection of R plasmi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Of total 1505 cattle, 24 Salmonella were isolated from 18 cattle (1.2%) and their serotypes were S. enteritidis (9 strains), S. derby(4 strains), S. infantis (1 strain), $C_1$ group(8 strains), $C_2$ group(1 strain) and untypable(1 strain). Twelve strains of Salmonella were isolated from 227 cattle with diarrhea and their serotypes were S. enteritidis(4 strains), S. derby(3 strains), S. infantis(1 strain), $C_1$ group(3 strains) and untypable(1 strain). The isolation rate of Salmonella in cattle varied from 1.6 to 0.9% in 3 herds, it was higher in summer and autumn and lower with the age. Of total 24 strains, 23 were adhesive type 1 fimbria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of Salmonella isolated was performed by the agar dilution method, using 9 antibiotics as follows: ampicillin(Am), chloramphenicol(Cm), gentamicin(Gm), kanamycin(Km), nalidixic acid(Na), rifampicin(Rf), streptomycin(Sm), sulfadimethoxine(Su) and tetracycline(Tc). All the strains tested were susceptible to Am, Cm, Gm, Km, Na, Rf and Tc. Of total 24 strains, 23(95.8%) were resistant to Su and 14(58.3%) to Sm. Of the 23 resistant Salmonella strains, all the strains were found to carry R plasmid. Among them, two strains which had the R plasmid conferring SmSu resistance was transferable at $25^{\circ}C$ only.

  • PDF

Prevalence of Porphyromonas gingivalis fimA genotypes in peri-implant sulcus of Koreans using new primer

  • Kim, Sung-Geun;Hong, Ji-Youn;Shin, Seung-Il;Moon, Ji-Hoi;Lee, Jin-Yong;Herr, Yee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6권1호
    • /
    • pp.35-45
    • /
    • 2016
  • Purpose: Porphyromonas gingivalis fimA is a virulence factor associated with periodontal diseases, but its role in the pathogenesis of peri-implantitis remains unclear. We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dition of peri-implant tissue and the distribution of P. gingivalis fimA genotypes in Koreans using a new primer. Methods: A total of 248 plaque samples were taken from the peri-implant sulci of 184 subjects.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sound implants with a peri-implant probing depth (PD) of 5 mm or less with no bleeding on probing (BOP). Test group I consisted of implants with a peri-implant PD of 5 mm or less and BOP, and test group II consisted of implants with a peri-implant PD of more than 5 mm and BOP. DNA was extracted from each sample and analyzed a using 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ith P. gingivalis -specific primers, followed by an additional PCR assay to differentiate the fimA genotypes in P. gingivalis-positive subjects. Results: The Prevalence of P. gingivalis in each group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P>0.05). The most predominant fimA genotype in all groups was type II. The prevalence of type Ib fimA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est group II than in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s: The fimA type Ib genotype of P. gingivalis was found t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destruction of peri-implant tissue, suggesting that it may be a distinct risk factor for periimplantitis.

Antibiofilm and Anti-β-Lactamase Activities of Burdock Root Extract and Chlorogenic Acid against Klebsiella pneumoniae

  • Rajasekharan, Satish Kumar;Ramesh, Samiraj;Satish, Ann Susan;Lee, Jinta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3호
    • /
    • pp.542-551
    • /
    • 2017
  • Small phytochemicals have been successfully adopted as antibacterial chemotherapies and are being increasingly viewed as potential antibiofilm agents. Some of these molecules are known to repress biofilm and toxin production by certain bacterial and yeast pathogens, but information is lacking with regard to the genes allied with biofilm formation.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 of burdock root extract (BRE) and of chlorogenic acid (CGA; a component of BRE) on clinical isolates of Klebsiella pneumoniae. BRE and CGA exhibited significant antibiofilm activity against K. pneumoniae without inflicting any harm to its planktonic counterparts. In vitro assays supported the ${\beta}$-lactamase inhibitory effect of CGA and BRE while in silico docking showed that CGA bound strongly with the active sites of sulfhydryl-variable-1 ${\beta}$-lactamase. Furthermore, the mRNA transcript levels of two biofilm-associated genes (type 3 fimbriae mrkD and trehalose-6-phosphate hydrolase treC) we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CGA- and BRE-treated samples. In addition, CGA inhibited biofilm formation by Escherichia coli and Candida albicans without affecting their planktonic cell growth. These findings show that BRE and its component CGA have potential use in antibiofilm strategies against persistent K. pneumoniae inf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