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urf quality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초

축구경기장의 잔디초종 선정에 관한 연구 - 2002년 월드컵 인천경기장 모형돔을 대상으로 - (Turfgrass Selection for Soccer Fields - A Simulation of the Inchon 2002 World Cup Stadium -)

  • 심상렬;정대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8-94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suitable turfarasses for use at 2002 world cup soccer fields in Korea. A 1/1000 scale Inchon worldcup soccer dome was constructed for this research. Species and seeding rates of cool-season grasses used inside and outside the dome were Kentuck bleugrass 10g/$m^2$ (KB), Kentucky bleugrass 10g/$m^2$+ perennial ryegrass 10g/$m^2$ mixture (KB+PR) and Kentucky bleugrass 6g/$m^2$+tall fescue 14g/$m^2$+ perennial ryegrass 4g/$m^2$ mixture (KB+TF+PR). Warm-season grasses also used in this study were Zoysia japonica 'Anyangjungzii' (ZA) and Zoysia japonica 'Zenith'(ZZ) which were layed as sod. So, total 5 types of grasses were used inside and outside the dome. The rootzone was constructed by the multi-layer method(United States Golf Association method). The plots were designed by randomized block design. Cool-season grasses(KB, KB+PR, KB+TF+PR) were found to be better performers for visual rating and visual color than the zoysiagrasses(ZA, ZZ).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urf performance within cool-season grasses, while ZA showed better turf performances than ZZ within zoysiagrasses. The green color was maintained for about 10 months in the col-season grasses(KB, KB+PR, KB+TF+PR) compared to about 5~6 months in the zoysiagrasses. Root length and density data revealed higher values for KB, KB+PR and KB+TF+PR compared to ZA and ZZ. Root performance of 22 was better than ZA within zoysiagrasses which was the opposite result of turf performances.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 performance inside and outside the dome. However, the decreasing tendency of turf quality inside the dome at the end of the study showed that more proper maintenance technology was needed inside the d[me. It could be concluded by this study that cool-season grasses(KB, KB+PR, KB+TF+PR) were more suitable turfgrasses than waits-season zoysiagrasses(ZA, ZZ) for use at 2002 world cup soccer fields in Korea.

USGA 공법으로 조성된 그린의 토앙물리성과 Bentgrass의 생육 (Turfgrass Establishment of USGA Putting Greens Related with Soil Physical Properties)

  • 권동영;이정호;이동익;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95-102
    • /
    • 2005
  • USGA green specification is currently accepted in construction method of Ko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factors influencing growth of turfgrass associated with soil physical properties of soil root-zone on golf green constructed with USGA method. Three putting greens in poor turfgrass and one in good turfgrass condition were selected for investigation on one golf course site at mid-South Korean peninsula. Soil hardness, moisture content, root length, and turf density were measured on-site greens, and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soil chemical properties also analyzed in laboratory. As a result of on-site surveys and soil physical tests in laboratory,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influenced on turfgrass growth at tested greens. The results of soil particle analysis on green No. 2, in good turf condition, matched USGA sand particle recommendations. But those greens such as Nos. 1, 11 and 16, in poor putting greens, showed high soil compaction and improper soil particle distribution. Those factors created low leaf density, poor root depth, and higher moisture content compared with lower part of topsoil. Such phenomena caused inadequate turfgrass growth with soil hardening associated with poor drainage. Therefore, decline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associated with improper particle distribution caused a major factor influencing on turfgrass growth in golf green. Adequate test of soil particle analysis by USGA specification and proper construction method followed by adequate turf maintenance should be performed to obtain optimal turf quality on putting green.

하번초형 혼파조합간의 건물수량, 사료가치 및 식생비율 비교연구 (A Comparison Study of Dry Matter Yield, Forage Quality and . Botanical Composition for Three TUrf-type Mixtures)

  • 이중해;이인덕;이형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443-450
    • /
    • 2004
  • 본 시험은 혼파조합이 하번초형 혼파초지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하번초형 혼파초지를 조성하는데 적합한 혼파조합을 찾고자 1998년 9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 혼파조합은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perennial ryegrass 중심의 3가지 혼파조합을 공시하였으며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년 평균 ha당 건물수량, 일반화학적 성분, 건물소화율과 조단백질수량(CPDM) 및 가소화건물수량(DDM)은 혼파조합간에차이가 없었다. 2) 2001년도 6회 마지막 예취시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perennial ryegrass 중심의 혼파조합에서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perennial ryegrass의 식생 비율은 각각 42, 35 및 28%이었고, 전체 초종에서 이들 3초종이 차지하는 식생 비율은 모든 혼파조합에서 84%로 나타나 혼파조합이 식생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기타 초종 중에서는 redtop(8%)과 creeping bentgrass(6${\sim}$7%)의 식생비율이 낮았으며, 특히 red fescue(1${\sim}$2%)는 매우 낮은 식생비율이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혼파조합간에 건물수량과 사료가치 및 식생비율에 뚜렷한 차이가 없었던 것으로 보아, tall fescue, Kentucky bluegrass 및 perennial ryegrass 중심의 어느 혼파조합으로 하번초형 혼파초지를 조성하여도 공익목적과 부수적으로 생산되는 목초를 조사료원으로 활용가능성은 크다고 하겠다.

아미노산 비료가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과 질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wo Amino Acid Fertilizers on Growth of Creeping Bentgrass and Nitrogen Uptake)

  • 김영선;함선규;이재필;황영수;이규승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46-252
    • /
    • 2014
  • 본 연구는 두 종류의 아미노산 비료를 엽면시비하여 크리핑 벤트그래스의 생육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처리구를 비료의 종류와 시비량에 따라 무처리구(NF), 대조구(CF), 아미노산 비료 정량 처리구(ALF)와 배량 처리구(2ALF), 아미노산-사포닌 비료 정량 처리구(ASLF) 및 배량 처리구(2ASLF)로 설정하여 처리한 후 엽색지수, 엽록소지수, 건물중, 잔디 밀도, 뿌리 길이 및 잔디의 양분 함유량 등을 조사하여 생육을 평가하였다. 잔디의 품질을 나타내는 엽색지수와, 엽록소지수, 잔디 밀도 및 잔디 뿌리 길이는 CF와 비슷하거나 약간 높았다. 잔디의 생육을 나타내는 건물중과 잔디 중 질소와 칼리 함량, 질소 흡수량 및 이용율은 2ALF와 2ASLF구에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미노산 비료(AaLF)와 아미노산-사포닌 비료(AaSLF)의 시비가 잔디의 질소 흡수 및 이용율이 증가하여 잔디 잔디생육과 잔디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식 시기와 초종에 따른 잔디뿌리의 활착력 (Rooting-Potential of Sod by Transplanting Time and Turfgrass Species)

  • 주영규;김덕환;이성호;이정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7권2_3호
    • /
    • pp.67-73
    • /
    • 2003
  • 본 연구는 이식 후 경기를 수용할 수 있는 잔디의 생육기간과 잔디뿌리의 활착 요구기간을 측정함으로써 2002년 월드컵 잔디그라운드 조성 공사에서 발생될 문제를 예측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1998년부터 2000년까지 2년에 걸쳐 월드컵 경기장과 동일한 지반에서 포장실험을 실시하였다. 한지형잔디와 한국잔디 모두 묘포장의 뗏장에서 경기장 그라운드로의 이식시기는 잔디의 활착력과 근계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초종에 따라 그 영향은 달리 나타났다. 한국잔디로 그라운드를 조성하려면 한지형잔디와 달리 충분한 양생기간을 확보한 적기에 뗏장을 식재하는 것이 좋았다. 또한 동계 간 보온 등의 관리가 수반되면 지하부의 발육과 근계 활착이 동계에도 지속되어 활착력이 조기에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번초 및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Tall type and Tail + Short type Mixtures)

  • 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1-128
    • /
    • 2003
  • 본 시험은 초지를 상번초형 및 상+하번초형으로 혼파조합하여 조성하였을 때 목초의 건물수량, 품질 및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1999년 9철부터 2002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된 혼파초지는 상번초형 혼파초지{orchardgrass, Potomac 40+tall fescue, Fawn 20+Festulolium braunii, Paulita 10+perennial ryegrass, Reveille 10+timothy, Climax 10+ red clover, Kenblue 5+ alfalfa, Vernal 5%)와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orchardgrass, Potomac 40+tall fescue, Fawn 20+Kentucky bluegrass, New port(turf type) 10+redtop, Barricuda(turf type) 10+perennial ryegrass, Palmer III(turf type) 10+red fescue, Flyer II(turf type) 5+white clover, Regal 5%}의 두 처리를 두어 시험하였으며,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년 평균 건물수량은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가 13,732kg/ha으로 상번초형 혼파초지의 13,117kg/ha 보다 약간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상번초형 혼파초지와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간에 화학적 성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상번초형 혼파초지에서는 cellulose와 lignin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건물소화율은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에서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p < 0.05). 3) 3년 평균 조단백질 건물수량은 두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가소화건물수량은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가 10,670kg/ha으로 상번초형 혼파초지의 가소화건물수량 9,955kg/ha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가져왔다(p < 0.05). 4) 연차가 경과함에 따라 상번초형 혼파초지에서 식생을 높게 유지한 초종은 tall fescue, alfalfa 및 orchardgrass 등이었으며 timothy는 없어진 반면에,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에서는 white clover, tall fescue 및 orchardgrass 등의 식생비율이 높았으며, redtop, red fescue와 같은 하번초 초종의 식생도 비교적 고르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상번초형 혼파초지에 비하여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는 목초의 건물수량과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건물소화율 및 가소화건물수량이 높았고(p < 0.05), 연중 고르게 식생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아 생장습성이 다른 초종을 다양하게 혼파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야생화 도입 초지의 건물수량 및 품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Chemical Composition of Wildflower Pasture)

  • 김득수;이인덕;이형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15-122
    • /
    • 2001
  • 본 연구는 공익적인 기능을 가진 야생화 초지를 조성하고, 야생화 초지에서 생산된 초류의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조사하여 가축의 조사료원으로써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시험은 관행 혼파초지(Conventional pasture; COP, 6종), 하번 초 혼파초지(Bottomgrass pasture; BOP, turf grass 6초종), 국산 야생화 초지(Native wildflower pasture; NWP, turf grass 6종 + 국산야생화 11종) 빛 외국 산 야생화 초지(Introduced wildflower pasture; IWP, turf grass 6종 + 외국산야생화 9종) 등의 4처리를 두어 난괴법 4반복으로 시험하였다. 시험은 충남 대학교 농과대학 초지시험포장에서 1997년 8월부 터 2000년 12월까지 수행하였으며,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야생화 초지의 3년평균 건물생산량(NWP 6,688 k kg/ha, IWP 7,240kg/ha)은 turf grass에 야생화를 도입하였던 관계로 관행 혼파초지(8,592kg/ha)나 하변 초 혼파초지(7,264kg/ha)에 비하여 건물수량이 낮게 나타났다(p<0.05). 2. 관행 혼파초지에 비하여 야생화 초지의 품질 이 상대적으로 약간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편, 국산 야생화 초지는 외국산 야생화 초지에 비하여 CP와 섬유소물질인 NDF, lignin은 낮은 편이었고, IVDMD는 높은 결과를 보였다. 3. 관행 혼파초지에 비하여 야생화 초지(NWP, IWP)는 토양의 pH와 교환성 Ca 함량은 낮은 편이었으나, 유기물 함량, 총 질소 함량, 인산 함량, 교환성 Mg, K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토양의 화학적 성분이 다소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야생화 초지는 관행 혼파초지에 비해 건물수량, 사료가치 및 건물소화율 등이 다소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 관행 혼파초지에 비하여 일부 토양의 화학적 성분이 개선되었다. 그러나 야생화초지는 가축의 조사료 생산적인 측면보다는 공익적인 측변도 강조되기 때문에 생산성과 품질이 다소 낮더라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PDF

집중적 답압 피해에서의 잔디 회복을 위한 강제 흡.호기 순환식 설비의 효과 (Effects of a Forced Air-Flow System for Recovery of Turfgrass after Intensive Traffic Injury)

  • 이정호;손진수;김인철;주영규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7-135
    • /
    • 2007
  • Korea and Japan hosted the FIFA World Cup Soccer Game in 2002. Ten stadiums had been built and more than 30 soccer grounds for practice were renovated in Korea. Sport fields in both countries had problems on cool-season turfgrass growth and quality by summer decline during humid and warm climate especially followed by intensive uses. We measured the effects of air-flow system, which is designed to optimize rootzone soil gas and moisture levels to promote the growth and maintenance turfgras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system on soil gas exchange, ground resilience, and turfgrass recovery in turfgrass rootzone. Within 1 or 2hr of operation of the system, rootzone soil gas ($CO_2$, $O_2$) levels returned to natural atmospheric levels completely Soil $CO_2$ levels began to decrease within the first 10 min of operation of the system. The levels were reduced from 1.3 to 0.06% after 30 min, and natural atmospheric levels within 1 hr. When the system was turned off, $CO_2$ levels increased to 0.36% and 0.7% after 5 and 20 hr, respectively.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did not affect the resilience of turf surface after traffic treatments. Higher traffic treatment resulted in higher surface resilience especially in zoysiagrass plots. Operation of the system had a significant beneficial impact on turf recovery by increased root dry wight and improved turf quality, as compared with the non-operated check plots.

깎기주기, 통기작업, 시비수준 및 비료종류가 한국 잔디의 품질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wing interval, aeration, and fertility level on the turf quality and growth of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 황연성;최준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79-90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understandings for proper management of zoysiagrass fairways. Mowing intervals of 2, 4 and 6-days, with and without aeration were compared at two fertility levels. Turfgrass quality, growth and pest infestation were evaluated. Turf density, number of tillers, leaf width and resiliency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mowing frequency. Turfgrass plots mowed every 2-day had greater density, tillering, and resiliency but had narrower leaf width compared to other mowing treatments. Clipping dry weight with every 2-day mowing increased in the early stage of mowing treatment regardless of fertilizer application rates but gradually decreased in the later stage of mowing treatment compared to every 4 or 6-day mowings. The dry weight of above-ground part was not affected by mowing frequency, but that of underground part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every 6-day mowing frequency(3.3kg/day/m2) compared to every 2 or 4-day mowings. The organic mater content in soil was not different among mowing treatments but it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core aerification treatment, indicating significant effect of core aerification on thatch decomposition. Occurrences of weeds such as annual bluegrass and crabgrass according to mowing frequency were greater in every 2-day mowing treatment, while plots mowed every 6 days had less weed occurrence. Occurrence of rusts significantly increased in high fertility plots and frequently mowed turfgrasses.

  • PDF

난지형 잔디의 가뭄 스트레스 상태로 인한 멀티스팩트럴 반사광 연구 (Multi-Spectral Reflectance of Warm-Season Turfgrasses as Influenced by Deficit Irrigation)

  • 이준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2
    • /
    • 2008
  • Multi-spectral radiometer (MSR)를 사용한 리모트 센싱 기술이 향 후 잔디의 건조스트레스를 감지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네가지 각기 다른 조건의 건조스트레스를 받은 난지형 잔디의 잎에서 반사되는 Reflectance와 토양수분, 비주얼 잔디상태, 엽록소 함량, 광합성 등을 측정하여 각 factor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모든 factor가 MSR 데이터와 질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Reflectance 민감도는Visual spectral region보다 Infrared spectral region에서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볼 때 Multi-spectral radiometer (MSR)은 잔디의 건조상태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기술의 자료를 활용하게 된다면 향 후 MSR이 부착된 기구(Balloon)를 이용한 필드 스터디 연구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