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Dry Matter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Tall type and Tail + Short type Mixtures

상번초 및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 연구

  • Published : 2003.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all type mixtures and tall+short type mixtures on dry matter yield, botanical composition and quality. The experimental design includes two mixture types: Tall type mixtures(TM); orchardgrass(Potomac) 40+tall fescue(Fawn) 20+Festulolium braunii (Paulita) 10+perennial ryegrass(Reveille) 10+timothy(Climax) 10+red clover(Kenland) 5+alfalfa(Vernal) 5%) and tall+short type mixtures(TSM); orchardgrass(Potomac) 40+tall fescue(Fawn) 20+Kentucky bluegrass(Newport, turf type) 10+redtop(Barricuda, turf type) 10+perennial ryegrass(Palmer III, turf type) 10+red fescue(Flyer II, turf type) 5+white clover(Regal) 5%. The dry matter(DM) yield was higher obtained in TSM than that of T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M and TSM. In the chemical compos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M and TSM, but the content of cellulose, lignin were higher in TM than those in TSM(p<0.05). Also, the content of acid detergent fiber which affected dry matter digestibility was higher in TM than that of TSM. The crude protein dry matter yield was not observ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M and TSM, but digestible dry matter(DDM) yield was higher in TSM than that of TM. In botanical composition, tall fescue, alfalfa and orchardgrass were highly maintained in TM but white clover, tall fescue and orchardgrass were highly, and redtop, red fescue were continuously maintained in TSM. In this experiment, DM yields and quality of two mixture types were no difference. However, the tall+short type mixtures(TSM) wer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dry matter digestibility and DDM yield, and in maintaining the various botanical composition.

본 시험은 초지를 상번초형 및 상+하번초형으로 혼파조합하여 조성하였을 때 목초의 건물수량, 품질 및 식생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1999년 9철부터 2002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내 부속 초지시험포장에서 수행하였다. 공시된 혼파초지는 상번초형 혼파초지{orchardgrass, Potomac 40+tall fescue, Fawn 20+Festulolium braunii, Paulita 10+perennial ryegrass, Reveille 10+timothy, Climax 10+ red clover, Kenblue 5+ alfalfa, Vernal 5%)와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orchardgrass, Potomac 40+tall fescue, Fawn 20+Kentucky bluegrass, New port(turf type) 10+redtop, Barricuda(turf type) 10+perennial ryegrass, Palmer III(turf type) 10+red fescue, Flyer II(turf type) 5+white clover, Regal 5%}의 두 처리를 두어 시험하였으며, 얻어진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3년 평균 건물수량은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가 13,732kg/ha으로 상번초형 혼파초지의 13,117kg/ha 보다 약간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2) 상번초형 혼파초지와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간에 화학적 성분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상번초형 혼파초지에서는 cellulose와 lignin 함량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한편, 건물소화율은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에서 다소 높은 결과를 보였다(p < 0.05). 3) 3년 평균 조단백질 건물수량은 두 처리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가소화건물수량은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가 10,670kg/ha으로 상번초형 혼파초지의 가소화건물수량 9,955kg/ha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가져왔다(p < 0.05). 4) 연차가 경과함에 따라 상번초형 혼파초지에서 식생을 높게 유지한 초종은 tall fescue, alfalfa 및 orchardgrass 등이었으며 timothy는 없어진 반면에,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에서는 white clover, tall fescue 및 orchardgrass 등의 식생비율이 높았으며, redtop, red fescue와 같은 하번초 초종의 식생도 비교적 고르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상번초형 혼파초지에 비하여 상ㆍ하번초형 혼파초지는 목초의 건물수량과 품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건물소화율 및 가소화건물수량이 높았고(p < 0.05), 연중 고르게 식생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아 생장습성이 다른 초종을 다양하게 혼파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Blaser, R.E., W.H. Skrdla and T.H. Taylor. 1952 Ecological and physiological factors in compound-ing seed mixtures. Adv. Agron. 4:179-217 https://doi.org/10.1016/S0065-2113(08)60309-0
  3. Crampton, F.W. and L.A. Maynard. 1938. The relation of cellulose and lignin content to the nutritive value of animal feeds. J. Nut. 15:383-395 https://doi.org/10.1093/jn/15.4.383
  4. Frame. I. and I.V. Hunt. 1964. The effect of Com-panion grass and seed rate on the productivity of a tall fescue sward. J. Brit. Grassl. Soc, 19(3):330-335 https://doi.org/10.1111/j.1365-2494.1964.tb01181.x
  5. Frame. J. and R.D. Harkness. 1987. The Produc-tivity of four forage legumes sown alone and with each of five companion grasses. Grass and Forage Sci. 42: 213-223 https://doi.org/10.1111/j.1365-2494.1987.tb02109.x
  6. Go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 Handbook. No. 379. ARS. USDA. Washington, D, C
  7. Peel, S. and J.O. Green. 1984. Sward composition and output on grassland farms. Grass and Forage Sci. 39:107-110 https://doi.org/10.1111/j.1365-2494.1984.tb01671.x
  8. Taylor. R. W. 1995. Hay sampling and grading. Agronomy fact series: AF-16. University of Dalaware. USA
  9. Tilley, J.A. M. and R.A. Terry. 1963. A two stage technique for in vitro digestibility of forage crops. J. Brit. Grassl. Sci. 18:104-111 https://doi.org/10.1111/j.1365-2494.1963.tb00335.x
  10. 고서봉, 송상택, 백윤기, 이종렬. 1988. 목초 혼파조합별 방목 및 예취이용이 수량과 식생 구성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학회지 8(1):1-7
  11. 김내수. 김정우. 박홍양, 상병찬. 여정수. 전광주, 최광수.홍기창. 1995. 응용통계학. 유한문화사. 서울
  12. 김득수, 이인덕. 이형석. 2001. 야생화 도입초지의 생육특성. 식생비율 및 동물상에 관한 연구.한초지 21(4):233-246
  13. 김문철. 김종하. 1999. 단파 또는 혼파초지에서 Italian ryegrass와 Kentucky bluegrass의 잡초억제 효과. 한국초지학회지 19(37):241-250
  14. 김문철. 정창조. 김규익, 장덕지. 김중계. 1997. 혼파 방목지에서 Tall fescue와 두과목초 조합에 따른 가축 생산성 및 질병 비교연구. n. 목초의 생산성, 사료가치. 식생구성 비율 및 토양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초지. 17(2): 157-166
  15. 서성, 이종경, 조무환. 1996. 서로 다른 화본과/두과 방목이용 초지에서 사초 생산성 및 초지 이용률 비교연구. 한국초지학회지 16(3):183-189
  16. 이인덕. 이형석. 1993. 혼파유형이 목초의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3(1):38-42
  17. 이인덕. 이형석. 2001. 여름철(6, 7, 8월) 고온이혼파초지의 부실화에 미치는 영향. 제39회 학술발표회 및 특별강연 초록. 한국초지학회. 103
  18. 이인덕, 이형석, 김선균. 2000a. 하고피해 초지의 갱신전과 후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연구. 한국초지학회지 20(3):215-220
  19. 이인덕, 이형석, 박연진. 2000b. White clover 우점초지의 갱신에 관한 연구. 한국초지학회지 20(3): 207-214

Cited by

  1. Effect of Mixed Pasture Using Domestic Varieties Orchardgrass ‘Kodione’ and Tall fescue ‘Purumi’ on Forage Yields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Middle Region of Korea vol.36, pp.2, 2016, https://doi.org/10.5333/KGFS.2016.36.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