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chothecium roseum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5초

Trichothecium roseum에 의한 토마토 분홍빛열매썩음병 발생 (First Report of Pink Mold Rot on Tomato Fruit Caused by Trichothecium roseum in Korea)

  • 한경숙;이성찬;이중섭;소재우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96-398
    • /
    • 2012
  • 2005년 7월 경기도 파주시 시설재배 농가에서 완숙토마토 과실의 배꼽 부위가 암갈색으로 변하면서 낙과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병반 표면에 옅은 분홍색의 곰팡이가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병든 식물체에서 병원균을 분리하여 균학적 특징을 검토한 결과 Trichothecium roseum으로 동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가지고 이 병을 T. roseum에 의한 토마토 분홍빛열매썩음병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richothecium roseum에 의한 배 분홍빛썩음병 발생 (Pink Mold Rot on Asian Pear (Pyrus serotina Rehder) Caused by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 in Korea)

  • 권진혁;이흥수;최시림;조용조;최옥희;조현숙;심창기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3-380
    • /
    • 2013
  • 2012년 10월 경상남도 진주시 농가포장에 재배중인 성숙기 배 과실에서 분홍빛썩음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배 과실 표면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위에 분홍빛 곰팡이가 많이 형성되었다. 균총의 색깔은 처음에 흰색이고 배양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배지 표면에 분홍빛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되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이었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서양배형이며 좌우 지그자그로 부착하며 성숙한 분생포자는 2세포로 되어있다. 크기는 $10{\sim}22(34){\times}6{\sim}10(12){\mu}m$이었다. 분생자경은 균사표면에 직립으로 형성하고, 폭이 4~5 ${\mu}m$이고 무색이었다. 동정을 확실시하기 위해 rDNA의 complete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분석된 염기서열(613 bp)을 BLASTN 프로그램으로 확인한 결과, T. roseum(GenBank accession no. JQ898156)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배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이 병을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에 의한 배 분홍빛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Trichothecium roseum에 의한 시설재배 멜론성과의 분홍빛열매썩음병(신칭) 발생 (First Report f Pink Mold Rot on Matured Fruit of Cucumis melo Caused by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 in Korea)

  • 권진혁;강수웅;이준택;김희규;박창석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42-645
    • /
    • 1998
  • A severe pink mold rot on matured melon fruits occurred under a glass tunnel cultivation in Chinju at Kyeongasngnam-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tion Services on May of 1998. Basal portion of the fruits toward blossom end was preferably infected and colonized by the fungus. The causal fungus consistently isolated from the lesions was identified as Trichothecium roseum based on following mycological characteristics. Conidia were hyaline or brightly colored, 2-celled, ovoid or elipsoid, characteristically held together zi-zag chains. Conidiophore was long, slender, simple, septate, bearing conidia-meristem arthrospores-apically, singly when young and successively by slight growth of conidiphore apex. Optimum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and conidial germination was recorded at 20~$25^{\circ}C$. However, over 48% of the fungal conidia were germinated at 15$^{\circ}C$ and mycelial growth was only slightly slower than $25^{\circ}C$. The temperature profiles and high humidity available during the cultivation were considered favorable for the pathogen as showing 22% infection rate on matured melon fruits cv. Saro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pink mold rot of melon caused by T. roseum in Korea.

  • PDF

Identification of Acremonium acutatum and Trichothecium roseum isolated from Grape with White Stain Symptom in Korea

  • Oh, Soh-Young;Nam, Ki-Woong;Yoon, Deok-Hoon
    • Mycobiology
    • /
    • 제42권3호
    • /
    • pp.269-273
    • /
    • 2014
  • During 2010 and 2012 grape harvest seasons in Gyeonggi-do, Korea, a white stain symptom was observed on the harvested grape fruits in 'Campbell-Early' and 'Kyoho' varieties. In samples collected from the infected vine, two different strains of pathogenic fungi have been found and identified as Acremonium acutatum and Trichothecium roseum based on fungal morphology and nucleotide sequence of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supported by the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rDNA-ITS region. The DNA homologies of the isolated strains were 99.8% and 99.6% identical with T. roseum (IFB-22133) and A. acutatum (CBS682.71), respectively. In the pathogenicity test, the spores of A. acutatum and T. roseum sprayed on the grapes caused white stain symptoms on the fruits in two weeks after the artificial inoculation, which is similar to observations in the field.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white stain symptoms caused by A. acutatum and T. roseum on the grapes in Korea.

멜론 분홍빛썩음병과 포도 흰얼룩병의 원인균인 Trichothecium Roseum에 대한 Bacillus Subtilis HK2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Bacillus Subtilis HK2 against Trichothecium Roseum Causing Pink Rot of Melon and White Stain Symptom on Grape)

  • 오소영;이은영;남기웅;윤덕훈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9-45
    • /
    • 2016
  • 2012년부터 2013년에 걸쳐 식물체 근권과 비근권 토양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토양을 희석평판법을 이용하여 총 782개의 세균을 분리하였고, 분리한 세균을 실험실내에서 Trichothecium roseum과의 대치배양을 통해 균사생장억제율이 80% 내외로 우수한 길항력을 나타내는 균주를 선발하였다. I-plate에서 HK2균주와 T. roseum두 균을 격리하여 밀폐배양 시 모두 균사생장억제 효과는 없기 때문에 휘발 물질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NB배지에 길항균주와 T. roseum을 액체배양 한 결과 88% 이상 균사생장억제 효과를 보였다. HK2균주를 동정하기 위해 16S rDNA 염기서열분석과 API 50 CHB Kit (BioMerieux, France)를 이용하여 생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HK2 균주가 생산한 항진균물질을 butanol로 추출한 후 flash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항진균물질을 정제한 결과 methanol 80%의 조건에서 잘 분리되었으며 향후 분리 순화를 통한 화학구조분석이 필요하다.

Trichothecium roseum에 의한 감귤 분홍빛열매썩음병 발생 (Pink Mold Rot on Unishiu Orange (Citrus unshiu Mac.) Caused by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 in Korea)

  • 권진혁;강동완;최옥희;심홍식
    • 식물병연구
    • /
    • 제19권3호
    • /
    • pp.226-228
    • /
    • 2013
  • 2012년 경상남도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 판매중인 감귤에서 분홍빛열매썩음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감귤 과실 표면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위에 분홍빛 곰팡이가 많이 형성되었다. 균총의 색깔은 처음에 흰색이고 배양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배지 표면에 분홍빛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되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이었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서양배형이며 좌우 zigzag로 부착하며 성숙한 분생포자는 2세포로 되어 있으며 크기는 $12-26{\times}8-12{\mu}m$이었다. 분생자경은 균사표면에 직립으로 형성하고, 폭이 4-5 ${\mu}m$이고 무색이었다. rDNA의 complete internal transcribed spacer(ITS)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분석된 염기서열(613 bp)을 BLASTN 프로그램으로 확인한 결과, Trichothecium roseum와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감귤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이 병을 Trichothecium roseum(Pers.) Link ex Gray에 의한 감귤 분홍빛열매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Trichothecium roseum에 의한 해바라기 분홍빛썩음병 발생 보고 (First Report on Pink Rot of Sunflower (Helianthus annuus) Caused by Trichothecium roseum in Korea)

  • 김상규;허온숙;성정숙;고호철;;이주희;백형진;류경열
    • 식물병연구
    • /
    • 제23권2호
    • /
    • pp.202-205
    • /
    • 2017
  • 해바라기 재배포장에서 화뢰 부분이 썩는 증상이 나타났다. 병징은 감염된 화뢰 부분이 갈변되어 줄기로 번져갔다. 감염된 화뢰의 종자에는 주황색의 포자덩어리를 관찰할 수 있었다. 병징으로부터 곰팡이를 순수 분리하여 감자 한천배지에 배양한 결과, conidiophores에 포자를 형성하여 흰색에서 분홍빛을 띠었다. Conidiophores는 단순형 또는 분지형으로 길이는 $62.5-123.1{\mu}m$였다. 분생포자는 무색의 격막이 없거나 하나 있는 둥근타원형에서 서양배 모양으로 크기는 $10.2-21.4{\times}7.5-12.6{\mu}m$였다. 이 균은 건전한 해바라기 잎에 접종하였을 때 잎에서 윤문형의 검은색 반점을 형성하였다. 균학적 특징, 병원성 검정, ITS 염기서열 분석 등의 결과를 바탕으로 Trichothecium roseum으로 동정되었으며 해바라기 분홍빛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Trichothecium roseum에 의한 사과 분홍빛열매썩음병 발생 (Pink Mold Rot on Apple (Malus pumila var. dulcissima Koidz.) Caused by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 in Korea)

  • 권진혁;김민정;심창기;지형진;이상대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29-433
    • /
    • 2014
  • 2012년 경상남도 진주시 농산물도매시장에서 구입한 사과에서 분홍빛열매썩음병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사과 과실 표면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약간 함몰되어지고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그 위에 분홍빛 곰팡이가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 위에서 균총의 색깔은 처음 흰색이고 배양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분홍빛의 분생포자가 많이 형성되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이었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서양배형이며 좌우 지그자그로 부착하며 성숙한 분생포자는 2개의 세포로 되어있다. 크기는 $12-26{\times}8-12{\mu}m$이었다. 분생자경은 균사표면에 직립으로 형성하고, 폭이 $4-5{\mu}m$이고 무색이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사과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기초로 하여 이 병을 Trichothecium roseum (Pers.) Link ex Gray에 의한 사과 분홍빛열매썩음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저장미곡중의 균류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gi in Stored Rice)

  • Mheen, T.I.;Cheigh, H.S.;Ragunathan, A.N.;Majumder, K.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91-196
    • /
    • 1982
  • 미곡저장중 균류에 의한 미곡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1978년 12월 부터 1979년 6월까지 7개월간 싸일로, 평창고 및 통가리에 저장한 미곡시료(밀양23호)에서 균류를 분리, 동정하였다. 한국산 벼 및 현미에서 분리된 30종의 균류중, Aspergillus속 11종(A. caespitosus, A. condidus, A. chevalieri, A fischeri, A. fumigatus, A. fiavus, A. nidulans, A. oryzae, A. ruber, A. sydowii, A. versicolor), Penicillium 속 5 종 (P. atramentosum P. chrysogenum, P. cyaneofulvum, P. nototum, P. steckii), Alternaria 속 2종 (Al. faesiculata, Al. grisea) Curvalaria 속 2종 (C, interseminata, C. tetromea), Trichothecium roseum, Nigrospora sphaerica, Rhizopus nigricans, Fusarium spp., Mucor spp., Helminthosporium spp., 및 Gliocladiopsis spp. 각 1종, 총 27종이 동정, 확인되었다. 한국산 벼에서 분리된 표면균류는 A. flavus와 A. candidus가 대부분이었으며, 현미에서는 A. sydowii가 많이 출현하였다. 또한 저장중 변질미에는 A. candidus, A. versicolor 및 A. glaucus group들이 주로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