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nd publications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2초

대한임상독성학회지에 발표된 연구 문헌의 통계적 분석 (Bibliometric Analysis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 이진혁;임태호;김원희;김창선;오재훈;강형구;최혁중;강보승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6-100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 of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by bibliometric analysis. Methods: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quantitative literature review of the publications. We collected data from the internet homepage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Among 228 publications, a total of 225 articles were included in this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cluding article types, study design, number of authors, type of toxic material, and the top five ranking prolific authors and the affiliated organization were identified. Results: A total of 225 articles were analyzed; 98(43.6%) were original articles, 115(51.1%) were case reports, and 12(5.3%) were reviews. Among the original articles, nine were prospective studies and 89 were retrospective studies, which were assorted according to study design; there were two(2.0%) cross sectional studies, 93(94.9%) cohort studies, and three(3.1%) etc. The median number of authors per article was five and the top five ranking authors and affiliated organizations published 31.1% and 32.8% of total articles, respectively. The most abundant topic was pesticides, followed by natural poisons and poisons encountered in the work place. Conclusion: Since its found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has published 19 issues and 228 articles and has played a key role in development of toxicology research in Korea. However, low ratio of original articles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recent articles indicates that greater effort is needed in clinical research. In addition, further interest of many experts and various institutions is necessary.

  • PDF

지역 독립서점 현황 및 활성화 방안 :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s of Local Independent Bookstores and Methods to Vitalize the Bookstores : Focused on Local Independent Bookstores in Gwangju)

  • 노미령;정경운
    • 지역과문화
    • /
    • 제7권2호
    • /
    • pp.85-111
    • /
    • 2020
  • 국내에서 1990년대 중반 등장하기 시작한 독립출판물 시장의 성장과 함께, 2008년에는 이 출판물들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독립서점이 문을 열었다. 2019년 말 기준, 국내 독립서점은 총 466개로, 지난 10년 동안 급격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세만큼, 폐점하고 있는 비율도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는 광주지역 독립서점 또한 유사한 상황이다. 뒤늦게 출발해 활발한 활동으로 주목을 받았던 광주 독립서점들의 폐점비율은 전국 평균의 2배를 상회한다. 이에 본 연구는, 광주 독립서점의 현황을 파악한 후, 이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분석해 그 해법들을 찾아보고자 했다. 현재 광주 독립서점들은 북큐레이션, 다양한 부대프로그램, 북마켓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특정 분야에 집중하는 큐레이션과 프로그램, 20,30대 특정 연령층에 대한 집중, 수도권의 출판물에 대한 의존성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지역콘텐츠 기획·개발을 통한 출판물의 다양화, 취향 기반의 살롱 성격 강화, 독립서점 네트워크 조직화, 독립서점의 체계적 인큐베이팅 등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제도적 측면에서, 지역서점인증제, 완전한 도서정가제 시행, 공급률의 공정성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2011년 전후의 과학교육분야에서의 융합교육 연구동향의 변화 탐색 (Exploring the Research Trend Changes on Convergence Education of Before and After 2011 in Science Education)

  • 송영욱;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31-542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분야에서 꾸준히 지속해 오고 있는 융합교육을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2011년 이후 융합교육 연구동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교육분야의 융합교육관련 논문 발행 편수, 연구대상, 연구내용, 주제연계를 선행연구와 비교 분석하고, 최근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융합교육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과학교육분야에서 융합교육관련 논문 편수는 8.0%이상 꾸준하게 발행되었으며 2012년부터 증가했다가 다시 2015년부터 낮아지고 2017년부터 다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대상이 높은 반면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대상은 낮았다. 현직 교사는 증가한 반면에 예비 교사는 감소했고, 문헌과 일반은 다소 증가하였다. 연구내용에서 효과연구는 감소한 반면에 개발연구는 증가했으며, 이론 및 인식연구는 비슷하였다. 주제연계에서 과학 내 연계는 23.9%이고, 과학 외 연계는 76.1%이며, 과학 외 연계에서 공학·기술, 예술 연계가 높았다. 네트워크 분석에서 초등, 과학, STEAM, 프로그램 단어는 출현빈도가 높은 동시에 다른 단어들과 함께 등장하여 네트워크를 주도하고 있었다. 융합교육 연구동향에 대한 교육적 함의는 앞으로 과학교육분야에서 융합교육은 지속될 것이며, 교육 현장에 뿌리를 내리기 위해서는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STEAM 중심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벗어나 융합교육의 철학적 근거 및 이론적 확립을 위한 연구가 늘어날 필요가 있다.

유아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국내 최근 연구의 경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Korea)

  • 천희영;박소연;성지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7-196
    • /
    • 2019
  • 본 연구는 2016년부터 3년간 발표된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국내 최근 연구들의 경향을 게재 경향과 연구방법의 측면에서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분석대상은 한국학술지인용색인과 국가학술연구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검색된 유아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연구 26편이었다. 발표된 연구의 게재 경향은 발표 연도, 발표 형식, 학문 분야의 범주에 따라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연구의 주제 특성과 연구방법 유형, 그리고 연구변인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연구의 게재 경향 측면에서 살펴본 바, 2016년부터 최근 3년간 발표된 연구 편수는 연도별로 점차 증가하며, 학술지 논문 형태로 대다수가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분석대상의 61.5%(16편)가 유아교육 및 아동학 관련 학문 분야에서 발표된 논문이었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먼저, 연구의 주제와 연구대상 관련하여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또는 만4세와 만5세를 대상으로 효과 검증을 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방법으로는 실험연구와 문헌연구방법 (각 8회), 조사연구(7회)의 순으로 많이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의 특성으로서 많이 다루어진 측정변인은 유아의 인지적 특성 변인으로 나타났다. 연구에 적용된 프로그램의 특성과 관련하여, 첫째, 프로그래밍 도구 환경을 중심으로 분류한 결과 가장 많은 6편의 연구가 피지컬 컴퓨팅 환경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래밍 도구 로봇 중에서는 Albert가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적용 기간은 5주~48주로 차이가 있었다. 분석대상 연구들에서 컴퓨팅 사고력은 소프트웨어 교육에 의해 향상되는 문제해결 능력으로 개념화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하위요인별 개별도구로써 측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유아의 소프트웨어 교육 관련 연구가 최근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연구 편수의 축적과 연구방법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stimation of Time Trends of Incidence of Prostate Canner - an Indian Scenario

  • Lalitha, Krishnappa;Suman, Gadicherla;Pruthvish, Sreekantaiah;Mathew, Aleyamma;Murthy, Nandagudi 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2호
    • /
    • pp.6245-6250
    • /
    • 2012
  • Background: With increase in life expectancy, adoption of newer lifestyles and screening using 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the incidence of prostate cancer is on rise. Globally prostate cancer is the second most frequently diagnosed cancer and sixth leading cause of cancer death in men. The present communication makes an attempt to analyze the time trends in incidence for different age groups of the Indian population reported in different Indian registries using relative difference and regression approaches.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 published in Cancer Incidence in Five Continents for various Indian registries for different periods and/or publications by the individual registries served as the source materials. Trends were estimated by computing the mean annual percentage change (MAPC) in the incidence rates using the relative difference between two time periods (latest and oldest) and also by estimation of annual percentage change (EAPC) by the Poisson regression model. Results: Age adjusted incidence rates (AAR) of prostate cancer for the period 2005-2008 ranged from 0.8 (Manipur state excluding Imphal west) to 10.9 (Delhi) per $10^5$ person-years. Age specific incidence rates (ASIR) increased in all PBCRs especially after 55 years showing a peak incidence at +65 years clearly indicating that prostate cancer is a cancer of the elderly. MAPC in crude incidence rate(CR) ranged from 0.14 (Ahmedabad) to 8.6 (Chennai). Chennai also recorded the highest MAPC of 5.66 in ASIR in the age group of 65+. Estimated annual percentage change (EAPC) in the AAR ranged from 0.8 to 5.8 among the three registries. Increase in trend was seen in the 55-64 year age group cohort in many registries and in the 35-44 age group in Metropolitan cities such as Delhi and Mumbai. Conclusions: Several Indian registries have reveal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incidence of prostate cancer and the mean annual percentage change has ranged from 0.14-8.6.

패션산업에 나타난 콜라보레이션 최신 경향 연구: 2012-2013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Latest Trend of Collaboration Appearing in Fashion Industry: Focused on Cases in 2012-2013)

  • 박유리;조경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8권2호
    • /
    • pp.95-112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the type and item of collaboration, national form and purpose_of collaboration in both the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industries in oder to study the trend of collaboration that has appeared in a the field of the recent fashion industry. The analysis focused on 221 collaboration cases from designers in the domestic and foreign fashion industries during the period of January 2012 to December 2013. The cas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cusing on publications related to newspapers on fashion, internet articles on fashion information sites etc.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on shown in the recent fashion industr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observed that a portion of collaboration in the two different industries was very high. Second, through the high portion of cases where collaboration between foreign companies was made, it could be found that the world fashion market is enormous: moreover, domestic brands tended to borrow foreign brand images. Third, it was known that fashion companies are very interested in establishing a positive company image and sharing feeling with consumers by implementing collaboration in oder to appeal to consumers' emotions. Therefore, it shoud be done an effective collaboration implement for the development of fashion industry that an understanding of partner, a study of fashion image through development item, an established image foundation of domestic brand, a correct analysis for reflecting artistic image, an effective collaboration implement for the development of fashion industry.

의복구성학 분야의 연구 현황과 전망 - 학회지를 중심으로 - (Present and Prospect of Clothing Construction Research - Focus on academic associations' publication -)

  • 김선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5호
    • /
    • pp.102-11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a scientific and rational approach for future research agenda setting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Through analysis of research papers on clothing construction published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during the recent decade, the research trend of clothing construction in respective academic journal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contents were grasped thoroughly. From all domestic academic associations' publication on garment/clothing and textiles/fashion, 7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research,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search trend in the last ten years. The ten-year period ranged from April 2006 to March 2016, and a total of 735 papers published on clothing construction were used for analysis. The number of publications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area during the last decade has decreased, which is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lothing and textiles fashion-related academic journals, other than the 7 journals analyzed, and since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has also increased. Body type, patterns, fitting test, and functional clothing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research themes in clothing construction. In terms of body type, there was an increasing tendency towards usage of 3D body measurement. In the patterns area, the 3D virtual dressing system was actively used. For functional clothing, sportswear, protective clothes, and innerwear were most widely researched, and ergonomic design together with smartwear was actively studied.

한국 과학지식의 세계화 추이 분석: 한국 SCI 저널의 발전 양상과 분야별 차이 (An Analysis of Globalization Trends in the Korean Scientific Knowledge: Investigating the Factors of the Scientific Collaboration Structure in the Science Citation Indexe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 김영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31
    • /
    • 2012
  • 한국의 급속한 세계화는 과학 분야에도 어김없이 적용된다. 지금까지 과학의 세계화에 대한 연구는 SCI 등재 저널에 출판된 논문 수의 증감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과학지식 세계화에 있어서 생산, 유통 그리고 소비의 차원을 각각 살펴봐야 할 것을 제안하며, 과학지식 생산과 유통에 있어서 세계화를 고찰한다. 기초과학, 응용과학, 의학 각 분야에서 대표적인 한국 SCI 저널을 선정하여 국내외 공동연구 추이 및 국외 연구자 참여 논문 증가 추세를 살펴보고, 국가 수준의 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조의 비교를 통해 학문 분야별 차이를 짚어본다. 또한, 국내 SCI 저널에서 국외 연구자 포함 논문 출판이 증가하는 요인을 분석한다. 국가 수준에서의 공동연구 네트워크 구조 분석을 통해서는 학문 분야별로 국내 SCI 저널에 게재하는 국가들의 범위와 정도가 다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 SCI 저널에 중국 연구자들의 참여가 가장 높은 반면,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문화적으로 교류가 많은 미국 일본 연구자들의 참여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다. 이는 한국 과학저널의 위상 및 한국 과학지식의 세계화 수준을 보여주는 한 단면이라 할 수 있다. 국외저자 참여 논문 증가 요인을 고정효과가 통제된 모형(패널 회귀 모형)을 통해 살펴본 결과 출판 논문 수를 통제하였을 때, 2년 전의 영향력 지수와 1년 전의 국외 편집위원 수가 국외저자 참여 논문 수에 양의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영향력 지수가 과학지식 평판의 부익부빈익빈을 생성하는 요인임을 확인한다.

  • PDF

한국 모던 걸 패션의 미적특성과 스타일링 연구 (A Study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Styling of Korean Modern Girl Fashion)

  • 양정희;박혜원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5호
    • /
    • pp.110-127
    • /
    • 2015
  • This study probed into the fashion styling of modern girls who led fashion and revealed power of woman as the center of modernization in Korea. Methods included the theoretical study based on fashion related newspaper articles at the time, specialized publications, advance researches, and internet data and the empirical study that involved contents analysis centering on visual data, expert evaluation, and styling development and presentation. The image of Korean modern girl analysis found in the order of modern image, elegant image, classic image, mannish image, romantic imag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could be classified into sensual classicism, modern elegance, feminist epicenism, and romantic simplicity. The theme was 'Retro Modern' and a total of 4 styles were applied. 'Progressive Tradition' express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sensual classicism and it gave a modern reinterpretation of the seamless one-piece skirt which is the modified Korean clothes of Korean modern girls. 'Luxe Beauty' express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modern elegance, and it developed the long and slim style which was popular in the 1930's in a trendy way. 'Dressy Avant-garde' express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feminist epicenism, and it suggested the mannish style Western clothes that Korean modern girls wore by following recent fashion trend. 'Minimal Couture' expresse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omantic simplicity and it presented the garçonne look which was popular in the 1920's by following recent trend.

최근 북한정보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 (Analysis on North Korea Information Research Trend in Korea)

  • 명재진;이한태
    • 정보화정책
    • /
    • 제22권1호
    • /
    • pp.3-27
    • /
    • 2015
  • 본 연구는 북한정보 연구와 관련된 2010년부터 2014년까지의 국내 연구 400편들을 분석하였다. 최근 북한정보의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그 내용상 범주 또한 특정 분야로 한정해야 함에 따라 분석대상이 되는 연구 분야를 북한의 정치 외교, 경제, 군사, 사회 문화, 인권의 5개 분야로 나누어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비교 하였다. 각 분야별 연구실적은 대체로 20%내외로 분포되어있어 북한에 대한 연구가 여러 분야에서 고르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발간유형별로 보면 연구논문뿐만 아니라 학위논문과 단행본의 연구건수도 북한이외의 다른 정보 분야의 연구동향과 달리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는 과거에 정치나 군사 분야가 북한관련 주된 연구영역이었던 경향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인다. 다양해진 북한에 대한 연구는 환영할만한 일이지만 향후 보다 더 질적인 성장이 필요하며 북한정보에 대한 신뢰성문제도 아직 해결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