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
References
- 교육부(2015. 9).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교과 교육과정 고시. https://www.moe.go.kr/boardCnts/view.do?boardID=141&boardSeq=60747&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21&s=moe&m=0503&opType=N에서 2019년 3월 2일 인출
- 김대욱(2019). 컴퓨팅 사고력에 기초한 유아를 위한 언플러그드 코딩의 개념과 전략. 문화기술의융합, 5(1), 297-303. doi:10.17703/JCCT.2019.5.1.297
- 김돈정(2016). 초등학교 돌봄교실 환경에서 로봇기반 프로그래밍 학습효과의 지역 및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 창의성, 문제해결력 몰입도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민정, 이원규, 김자미(2017). 컴퓨팅사고력 측정에 사용되고 있는 도구 분석을 통한 새로운 검사도구 개발방향 제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0(6), 17-25.
- 김민정, 정희진(2017). 디지털 스토리텔링 기반의 아동코딩교육 콘텐츠의 특징과 시사점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1), 21-31. doi:10.18208/ksdc.2017.23.1.21
- 김상언(2018). 유아의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로봇활용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 박사학위논문.
- 김상희, 김상언(2017). 유아 교구로봇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아와 초등학생 로봇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8(5), 859-868. doi:10.9728/dcs.2017.18.5.859
- 김영옥(2016). 빅데이터 관련연구의 현황과 한국 유아교육학의 과제. 유아교육연구, 36(6), 181-206. doi:10.18023/kjece.2016.36.6.008
- 김윤정(2018). 대학생의 취업 목적 자기소개서 쓰기 양상과 교육 방안 연구: 워드 클라우드의 핵심어 활용을 중심으로. 문화와 융합, 40(8), 403-444.
- 김재경(2018).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을 중심으로. 창의정보문화연구, 4(1), 13-23. doi:10.32823/jcic.4.1.201804.13
- 김재휘, 김동호(2016).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초등 피지컬 컴퓨팅 교육과정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1), 69-82. doi:10.14352/jkaie.2016.20.1.69
- 김정랑(2018). 언플러그드 활동의 체계적 문헌고찰에 관한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1), 103-111. doi:10.14352/jkaie.2018.22.1.103
- 박남기(2017). 제4차 산업혁명기의 교육개혁 새 패러다임 탐색. 교육학연구, 55(1), 211-240.
- 박남수(2018). 게임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백종수(2016). 초등학교에서의 창의융합 인재양성.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개소 25주년 기념 워크숍 자료집(pp.16-25). 부산: 고신대학교 아동연구소.
- 서영상, 오연재, 김응곤(2016). 영유아 사고력 발달 증진을 위한 칼라블록 놀이 코딩시스템. 한국전자통신학회지, 11(12), 1251-1258. doi:10.13067/JKIECS.2016.11.12.1251
- 신승기, 배영권(2018). 미국 컴퓨터교육 프레임워크 분석을 통한 Computational Thinking의 개념과 교육과정 편성의 시사점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2), 251-262. doi:10.14352/jkaie.2018.22.2.251
- 안장수(2018). 초.중.고 소프트웨어(SW) 교육을 위한 국내 컴퓨팅 사고력 연구동향 분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양수영(2018). 뇌 과학에 근거한 영유아 소프트웨어 교육 방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7(1), 61-83. doi:10.21183/kjcm.2018.03.17.1.61
- 양창모(2014).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8(2), 317-324. doi:10.14352/jkaie.2014.18.2.317
- 유구종, 오세경, 김은아(2018). 하브루타 교육방법에 기초한 유치원 코딩 로봇활동이 유아의 문제해결 행동과 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23(5), 383-418. doi:10.20437/KOAECE23-5-17
- 유구종, 유지성, 강지은(2017). 유아교육 현장의 ICT 매체 활용 교육활동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4), 309-328. doi:10.20437/KOAECE22-4-14
- 윤보란(2019). 기술수용요인이 코딩교육에 대한 예비 유아교사의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경진(2016). 유아교사의 학습지원 상호작용과 유아의 실행기능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민영(2017). 코딩(Coding)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관심도 및 인식.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애화(2018). 국내 소프트웨어교육 연구동향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4(2), 277-301. doi:10.15833/KAFEIAM.24.2.277
- 이연승, 성현주(2017). 코딩용 로봇, 비봇(Bee-Bot)을 활용한 수학적 문제해결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어린이미디어연구, 16(3), 261-281. doi:10.21183/kjcm.2017.09.16.3.261
- 이영준, 백성혜, 신재홍, 유헌창, 정인기, 안상진, 최정원, 전성균(2014. 4).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http://www.ndsl.kr/ndsl/search/detail/report/reportSearchResultDetail.do?cn=TRKO201500007885에서 2019년 3월 2일 인출
- 이우리(2018). 스마트로봇 알버트BT를 활용한 코딩 교육이 만 5세 유아의 의사소통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재호, 장준형(2018). 컴퓨팅 사고력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창의정보문화연구, 4(3), 273-283. doi:10.32823/jcic.4.3.201812.273
- 이정민, 박현경(2017). 국내 로봇활용 SW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2006년-2016년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10), 190-205. doi:10.5392/JKCA.2017.17.10.190
- 임명숙, 이경화(2018). 스마트로봇을 활용한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이 창의성(창의적 능력, 창의적 성격) 변화에 미치는 영향. 창의력교육연구, 18(2), 67-86.
- 임호찬(2004). 한국판 레이븐 지능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 전경원(1999).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재표준화). 서울: 학지사 부설 학지심리연구소.
- 정다원(2018).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디지털매체 활용실태와 교사의 인식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정민경, 박선미(2018). 언플러그드 컴퓨팅을 활용한 STEAM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3), 705-724. doi:10.22251/jlcci.2018.18.3.705
- 정웅열, 이영준(2018). 컴퓨팅 사고력 평가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26(2), 269-270.
- 조준오, 박창현, 홍광표(2017).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3), 83-106. doi:10.22251/jlcci.2017.17.3.83
- 조준오, 홍광표(2017). 누리과정 기반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 구성 방향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5), 557-583. doi:10.22251/jlcci.2017.17.15.557
- 조혜진(2001).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유아의 다중지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천희영(2018). 어린이집 교사의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인식과 자질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4(1), 227-248. doi:10.14698/jkcce.2018.14.01.227
- 천희영, 최은아, 김종민(2016). 유아와 아동을 위한 로봇 관련 최근 국내 연구의 경향 및 R-러닝 효과의 메타분석. 생애학회지, 6(2), 97-125. doi:10.30528/jolss.2016.6.2.004
- 최민숙(2018).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교회학교 유아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숙영(2018).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디지털 역량에 관한 고찰.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5), 25-35. doi:10.32431/kace.2018.21.5.003
- 최예나(2016. 9. 29). 유치원까지 코딩 사교육 열풍...초등학교엔 전문 교사 없어. http://news.donga.com/3/all/20160929/80534447/1에서 2017년 6월 25일 인출
- 최종배(2018).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을 위한 유아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소프트웨어 코딩 프로그램, 창의 인성 프로그램, 숲 체험 프로그램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형신(2018).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개발에 관한 국내 연구 고찰. 교육공학연구, 34(3), 743-774. doi:10.17232/KSET.34.3.743
- 최형신, 김미송(2017). 컴퓨팅 사고력 평가를 위한 3가지 상호보완적 접근 방안.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6), 639-646. doi:10.14352/jkaie.2017.21.6.639
- 한윤진, 정영식(2017). 유아 소프트웨어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분석. 정보교육학회 학술논문집, 8(2), 215-222.
- 한지원, 최연철(2018). 프로그래밍언어를 활용한 유아 소프트웨어교육 실행 과정에서 겪은 교사의 경험. 유아교육연구, 38(6), 91-115. doi:10.18023/kjece.2018.38.6.004
- 홍광표, 조준오, 박창현(2017). 유아 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 469-494. doi:10.22251/jlcci.2017.17.1.469
- 홍대선, 유미, 이형구(2018). 유아인지발달을 위한 코딩게임의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게임학회논문지, 18(5), 103-112. doi:10.7583/JKGS.2018.18.5.103
- 황지온, 황성온(2017).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5), 509-525. doi:10.14352/jkaie.2017.21.5.509
- Brennan, K., & Resnick, M. (2012).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Paper presented at annua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eeting, Vancouver, BC, Canada.
- Fessakis, G., Gouli, E., & Mavroudi, E. (2013). Problem solving by 5-6 years old kindergarten children in a computer programming environment: A case study. Computers & Education, 63, 87-97. doi:10.1016/j.compedu.2012.11.016
- Kazakoff, E. R., Sullivan, A., & Bers, M. U. (2013). The effect of a classroom-based intensive robotics and programming workshop on sequencing ability in early childhood.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1(4), 245-255. doi:10.1007/s10643-012-0554-5
- Khan, K. S., Dinnes, J., & Kleijnen, J. (2001) Systematic reviews to evaluate diagnostic tests.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95, 6-11. doi:10.1016/S0301-2115(00)00463-2
- Lindh, J., & Holgersson, T. (2007). Does lego training stimulate pupils' ability to solve logical problems?. Computers & Education, 49(4), 1097-1111. doi:10.1016/j.compedu.2005.12.008
- Manches, A., & Plowman, L. (2017). Computing education in children's early years: A call for debate.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8(1), 191-201. doi:10.1111/bjet.12355
- Papadakis, S., Kalogiannakis, M., & Zaranis, N. (2017). Improving mathematics teaching in kindergarten with realistic mathematical educat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5(3), 369-378. doi:10.1007/s10643-015-0768-4
- Portelance, D. J., Strawhacker, A. L., & Bers, M. U. (2016). Constructing the ScratchJr programming languag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26(4), 489-504. doi:10.1007/s10798-015-9325-0
- Scherer, R., Siddiq, F., & Sanchez Viveros, B. (2018). Learning to code - Does it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thinking skills?.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Hong Kong.
- Strawhacker, A., Lee, M., Caine, C., & Bers, M-U. (2015). ScratchJr demo: A coding language for kindergarten.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teraction Design and Children (IDC '15), ACM, Boston, MA, USA.
-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doi:10.1145/1118178.1118215
- Wing, J. M. (2010. November). Computational thinking: What and why?. https://www.cs.cmu.edu/-CompThink/resources/TheLinkWing.pdf에서 2019년 2월 28일 인출
Cited by
- 발달에 적합한 유아기 컴퓨팅 교육의 방향에 대한 탐색 vol.39, pp.5, 2019,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5.005
- An Analysis of Young Children’s Metacognition Expressed During Software Activities Using Programming Language vol.41, pp.3, 2019, https://doi.org/10.5723/kjcs.2020.41.3.37
- 만5세 소프트웨어 수업에 나타난 교육적 의미 탐색 vol.10, pp.9, 2019,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9.183
- STEAM교육 접근에 의한 언플러그드 로봇 놀이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적 및 사회적 인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vol.16, pp.5, 2020,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