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species identification

검색결과 152건 처리시간 0.029초

An Approach to the Spectral Signature Analysis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 for Forest Damages - An Assessment of Low Altitued Airborne MSS Data -

  • Kim, Choe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49-163
    • /
    • 1991
  • This paper discusses the capabilities of airborne remotely sensed data to detect and classify forest damades. In this work the AMS (Aircraft Multiband Scanner) was used to obtain digital imagery at 300m altitude for forest damage inventory in the Black Forest of Germany. MSS(Multispectral Scanner) digital numbers were converted to spectral emittance and radiance values in 8 spectral bands from the visible to the thermal infrared and submitted to a maximum-likelihood classification for : (1) tree species ; and. (2) damage classes. As expected, the resulted, the results of MSS data with high spatial resolution 0.75m$\times$0.75m enabled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single trees with different damages and were nearly equivalent to the truth information of ground checked data.

Neutron Activation Analysis of Korean Clays and Pottery

  • 이철;권오천;김낙배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6권4호
    • /
    • pp.241-246
    • /
    • 1985
  • Twenty trace elements were determined in 250 Korean potsherds and 5 clay samples by instrumental NAA. In the absence of identified samples of known origin, the potsherds were classified by a hierarchical centroid sorting method to construct a dendrogram. From this dendrogram 61 well-defined samples were selected to form 8 subclasses and five elements such as Cr, Cs, Sm, Sc and Th were supposed to be the main contributors for the classification. The 61 samples along with 5 clay samples were reclassified by means of minimal spanning tree as well as the hierarchical centroid sorting method by using 5 elements selected. As the results, the potsherds of certain classes defined in this work could be taken as a basis for latter identification and served as batches of identified species.

Potential of Cross-infection of Colletotrichum Species Causing Anthracnose in Persimmon and Pepper

  • Kim, Hye-Ryoung;Lim, Tae-Heon;Kim, Joo-Hyung;Kim, Young-Ho;Kim, Heung-Tae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5권1호
    • /
    • pp.13-20
    • /
    • 2009
  • Ninety isolates of Colletotrichum species from new persimmon tree twigs and 50 isolates from pepper plant fruits were isolated via single-spore isolation. Of the 140 isolates, 26 were examined for mycelial growth, carbendazim sensitivity, and ITS sequence. Four of the isolates from the persimmon trees, which were cultivated exclusively in an orchard, showed fast mycelial growth and sensitivity to carbendazim, while five of the pepper isolates showed slower mycelial growth and were resistant to the fungicide. However, 17 isolates from persimmon trees cultivated with pepper plants in the same orchard showed slow mycelial growth like the pepper isolates and they were sensitive to carbendazim like the persimmon isolates. ITS sequence analysis of these 27 isolates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22 persimmon isolates as C. gloeosporioides and the five pepper isolates as C. acutatum. PCR with species-specific primers confirmed that the 90 isolates from persimmon were C. gloeosporioides whereas the 50 isolates from pepper were C. acutatum. The 90 persimmon isolates of C. gloeosporioides and 50 pepper isolates of C. acutatum were compared by a wound inoculation test to determine their capacity for host cross-infection. All of the C. acutatum isolates from pepper caused typical symptoms of anthracnose on the fruits of pepper plants and twigs of persimmon; they differed from the C. gloeosporioides isolates from persimmon, more than 90% of which were able to infect only persimmon. Amplified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revealed the existence of two groups (C. gloeosporioides and C. acutatum isolates group). At 80% genetic similarity, the C. gloeosporioides group was defined within four clusters, while the C. acutatum group was within three clusters. However, these clusterings were unrelated with the virulence of Colletotrichum species against pepper fruits.

흰나리(Lilium formosanum Wallace) 식별을 위한 CAPS 마커의 개발 (Development of CAPS marker for identifying a Formosan lily (Lilium formosanum))

  • 정성진;이가연;윤아라;장지영;김진국;이긍주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2호
    • /
    • pp.101-106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lily species native to Korea from formosan lily (Lilium formosanum) belonging to Longiflorum section. Due to flowering time, flower color and orientation, long shelf life and resistant to diseases, the native lily species can be valuable genetic resources for interspecific hybrids. One of the chloroplast genes, matK, was used to clone and sequence to explore any base changes. The matK was successfully amplified into 1,539 bp (94% of the gene) and phylogenetic tree demonstrated 6 clades for those 11 lily species used in this study. There were one or two base substitutions among 10 lilies native to Korea, while formosan lily native to Taiwan exhibited 6 base substitutions in matK gene, rendering it genetically distant. A restriction enzyme NruI recognized one of the six base changes, and digested the matK gene of 10 native lily species only, but not in formosan lily. The confirmed cleavage characteristic of the target region in matK gene was designed into a CAPS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s) marker which will be available to estimate compatibility of interspecific hybridization and to trace the pedigree when those native lilies are crossed with the formosan lily.

Molecular Detection of Spirometra decipiens in the United States

  • Jeon, Hyeong-Kyu;Park, Hansol;Lee, Dongmin;Choe, Seongjun;Sohn, Woon-Mok;Eom, Keeseon S.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4호
    • /
    • pp.503-507
    • /
    • 2016
  • The genus Spirometra belongs to the family Diphyllobothriidae and order Pseudophyllidea, and includes intestinal parasites of cats and dogs. In this study, a plerocercoid labeled as Spirometra mansonoides from the USA was examined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phylogenetic analysis using 2 complete mitochondrial genes, cytochrome c oxidase I (cox1) and NADH dehydrogenase subunit 3 (nad3). The cox1 sequences (1,566 bp) of the plerocercoid specimen (USA) showed 99.2% similarity to the reference sequences of the plerocercoid of Korean Spirometra decipiens (GenBank no. KJ599679), and 99.1% similarity in regard to nad3 (346 bp). Phylogenetic tree topologies generated using 4 analytical methods were identical and showed high confidence levels with bootstrap values of 1.00, 100%, 100%, and 100% for Bayesian inference (BI), maximum-likelihood (ML), neighbor-joining (NJ), and maximum parsimony (MP) methods, respectively. Representatives of Diphyllobothrium and Spirometra species formed a monophyletic group, and the sister-genera status between these species was well supported. Trapezoic proglottids in the posterior 1/5 region of an adult worm obtained from an experimentally infected cat were morphologically examined. The outer uterine loop of the uterus coiling characteristically consisted of 2 complete turns. The results clearly indicated that the examined Spirometra specimen from the USA matched to S. decipiens very well, and indicated possible presence of the life cycle of this species in this region.

한국 내 육지플라나리아 간 치토크롬 산화효소의 동정과 계통유전학적 관계 (Identification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at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COI) Gene among Korean Terrestrial Planarian Taxa)

  • 문두호;이영아;허만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39-946
    • /
    • 2011
  • 미토콘드리아 산화효소(COI) 유전자의 서열을 이용하여 한국 내 육지플라나리아의 분류와 계통관계를 규명하였다. 유전자은행에서 Bipaliidae과의 종에 관한 기 발표된 서열을 계통분석을 위해 포함시켰다. 육지 플라나리아의 서열 배당은 387 bp에서 444 bp로 나타났으며 이런 차이는 염기 삽입에 기인하였다. COI 분석에 근거한 계통학적 분지도는 형태적 형질에 의한 결과와 일치하지 않았다. Bipalium nobile가 나머지 분류군(Bipalium adventitium, Bipalium venosum, Bipalium kewense, Bipalium multilineatum)을 포함하는 관계로 나타났다. 내부 가지의 분지군은 강하게 지지되었다(>91%). The phylogenic tree on COI 분석에 의한 계통도는 잘 분리되었다. 이들은 단계원을 형성하였다. 미토콘드리아 산화효소 유전자는 한국 내 육지 플라나리아 분류군을 동정하는데 유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범부채에서 녹병균 Puccinia iridis의 동정 (Identification of Puccinia iridis on Iris domestica in Korea)

  • 최인영;최영준;김진영;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9-94
    • /
    • 2019
  • 중국에서 범부채의 녹병균이 Puccinia iridis로 동정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범부채의 녹병균을 재검토하였다. 저자들이 채집한 2점의 시료를 형태적으로 검토한 결과 모두 P. iridis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또한 유전분석한 결과 ITS 및 LSU rDNA 영역의 염기서열이 기존에 기록된 P. iridis와 각각 100% 및 99%의 상동성을 나타냈다. 이를 Neighbor-joining 분석법으로 계통수를 작성하였을 때도 P. iridis 계통군에 속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범부채의 녹병균으로 P. iridis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2003년에 범부채의 녹병균으로 기록된 Puccinia belamcandae에 대한 재검토는 향후 숙제로 남게 되었다.

한국산 도둑놈의갈고리족(콩과)의 DNA 바코드 및 계통학적 연구 (DNA barcode and phylogenetic study of the tribe Desmodieae (Fabaceae) in Korea)

  • 진동필;박종원;박종수;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24-2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DNA 바코드, 즉 엽록체 DNA의 rbcL, matK와 핵 리보솜 DNA의 ITS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한국산 도둑놈의갈고리족 식물들의 종 식별을 실시하였다. 총 5개속 25분류군(총 75개체)의 식물에 대한 염기서열이 밝혀졌고, DNA 바코드 구간 조합에 따라 neighbor-joining 계통수들이 작성되었다. 그 결과, 종 식별률은 DNA 바코드 3개의 구간을 모두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72%). rbcL+matK+ITS 계통수에서 본 족의 두 개의 아족과 다섯 속들은 단계통군으로 유집되었다. 도둑놈의갈고리아족군에서 도둑놈의 갈고리속과 갈고리속이 된장풀속보다 더 가깝게 묶였다. 갈고리속군에서 큰도둑놈의갈고리는 개도둑놈의갈고리 복합체의 자매군으로 형성되었고, 개도둑놈의갈고리의 종내분류군들은 각각 단계통을 형성하였다. 특히 형태적 변이로 인해 도둑놈의갈고리의 변종 또는 개도둑놈의갈고리와의 중간형으로 인식된 바 있는 긴도둑놈의갈고리는 개도둑놈의갈고리와 가장 가깝게 묶였다. 한편 도둑놈의갈고리의 변종이나 이명으로 인식되어온 애기도둑놈의갈고리는 변종으로 판단되었다. 싸리아족군의 경우, 매듭풀속 분류군들은 계통수상에서 각각 단계통으로 지지되었으나, 싸리속의 식물 16분류군 중 9분류군만 종식별이 가능하였다. 특히 싸리속내 땅비수리절보다 싸리절에서 낮은 종판별 해상능이 나타났다(싸리절=28.5%, 비수리절=77.8%). 싸리속 식물 중에 비수리는 계통수상에서 형태적으로 유사한 자주비수리와 확연히 구분되었다. 잡종으로도 인식된 바 있는 해변싸리와 청비수리 중, 해변싸리는 독립종으로 판단되었다. 반면 청비수리는 잡종 여부를 판단할 수는 없었지만, 땅비수리와 근연 관계에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나무속(屬)의 분류학적(分類學的) 연구(硏究) (Taxonomic Studies of Genus Juniperus)

  • 김수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7권3호
    • /
    • pp.338-350
    • /
    • 1988
  • 남한(南韓)에 자생(自生) 또는 도입재배(導入栽培)되고 있는 향나무속(屬) 종류(種類)들의 분류학적(分類學的) 문제(問題)들을 해결(解決)하고 재정비(再整備)할 목적(目的)으로 자생종(自生種) 7종류(種類)와 조입종중(導入種中)에서 많이 재배(栽培)되고 유용(有用)하게 이용(利用)되고 있는 원예종(園藝種) 4종류(種類)를 재료(材料)로 하여 각종류(各種類)의 꽃의 구조(構造), 구과(毬果), 종자(種子), 가지습성(習性), 기본수형(基本樹形) 및 잎의 형태적(形態的) 특징(特徵)을 조사(調査)해서 속(屬)과 종(種)의 검사표(檢査表)를 작성(作成)했으며 외부형태적(外部形態的) 특징(特徵)으로는 종간(種間)의 식별(識別)이 모호(模糊)한 것을 명확(明確)히 구명(究明)하기 위(爲)해서 근단(根端)을 재료(材料)로 하여 염색체(染色體)의 기본수(基本數)와 핵형분석(核型分析)을 하고 그 결과(結果)로 각(各) 종간(種間)의 차이점(差異點)을 비교분석(比較分析)하였던바 전종(全種)의 염색체장(染色體長)은 $9.0{\sim}15{\mu}m$, 향나무, 심향나무, 가이즈가향나무, 섬향나무(일본산(日本産))은 4배체(倍體)(4n=44), 옥향나무, 눈향나무, 뚝향나무, 연필향나무, 노간주나무, 좀노간주나무, 해변노간주나무는 2배체(倍體)(2n=22)이고 향나무절(節)의 종(種)들은 염색체(染色體)길이 및 동원체(動原體)의 위치(位置)의 변이(變異)가 대단(大端)히 심(甚)하였다. 노간주나무절절(節)의 종(種)들은 11번 염색체(染色體)가 t형(型)이고, m형(型) 염색체(染色體)가 많은 비교적(比較的) 균일(均一)하고 단순(單純)한 염색체(染色體) set를 이루는 것이 향나무절(節)과 뚜렷이 다른 세포학적(細胞學的)인 특징(特徵)이다. 향나무절(節)에서는 대도시(大都市)에 여러 종류(種類)들이 혼식(混植)되어 잇는 곳에서는 동종(同種)의 지역품종(地域品種) ecotype간(間), 때로는 기본종(基本種)과 변종간(變種間)에 교배(交配)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향나무 종내개체(種內個體)들 간(間)에는 형태적(形態的)으로 차이(差異)가 다양(多樣)하다. 상기(上記) 결과(結果)들을 종합(綜合)하여 향나무속(屬)의 특성(特性)을 세포학적(細胞學的)으로 명확(明確)히 식별(識別)하고 종간(種間)의 고유특성(固有特性)을 밝히고 종(種)의 특징(特徵)을 기재(記載)하였다.

  • PDF

동일한 속 원핵생물들의 보존 유전자와 대사경로 (Conserved Genes and Metabolic Pathways in Prokaryotes of the Same Genus)

  • 이동근;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23-128
    • /
    • 2019
  • 원핵생물 분류의 기본단위인 종(species)의 동정에 16S rDNA가 사용되지만 한계가 있고 원핵생물의 속(genus)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보존 유전자를 확보한 COG database와 대사경로를 확보한 MetaCyc database에 공통적인 원핵생물 중 속이 같고 종이 다른 13개 속 28개의 원핵생물을 대상으로 속 수준에서 연구하였다. 전체 유전자에서 core-genome인 속 보존 유전자의 비율은 최저 27.62%(Nostoc 속)에서 71.76%(Spiribacter 속)의 범위로 평균 46.72%였다. 각 원핵생물에서 core-genome의 비율이 낮으면 특이한 생명현상을 보이거나 서식지가 다양할 수 있을 것이다. 속 수준의 공통 대사경로의 비율은 최저 58.79%(Clostridium 속)에서 최대 96.31%(Mycoplasma 속), 평균 75.86%로 core-genome의 비율보다 높았다. 비교대상을 확장하면 속 특이 보존 유전자와 대사경로는 확인할 수 없었다. 보존 유전자와 대사경로 보유 계통수에서는 대체로 같은 속의 구성원들이 가장 인접하였으며, Bacillus속과 Clostridium 속이 그룹을 형성하였고, 고세균끼리 그룹을 형성하였다. 보존 유전자 보유계통수에서는 Acidobacteria, Cyanobacteria, Proteobacteria 문(phylum)의 Granulicella, Nostoc, Bradyrhizobium의 3개 속이 하나의 그룹을 형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i) 각 계통 단계에서 보존유전자와 대사경로의 확인, (ii) 수평적 유전자 전달 또는 부위 지정 돌연변이를 통한 균주의 개선 등의 분야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