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leaves

검색결과 628건 처리시간 0.032초

Agronomical traits of Korean Mungbean Landrace

  • Yu-Na Kim;Soo-Kwon Park;Dool-Yi Kim;Mi-Suk Seo;Jung-Kyung Moon;Hyeon-Jung Ka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4-224
    • /
    • 2022
  • Mungbean(Vigna radiata (L.) R. Wilczek) is one of legume cultivated in south and east Asia. It well cultivated in high temperature and drought condition. In order to establish pure line for genomic studies, the agrono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ungbean landraces were evaluated. A total of 324 acessions derived from National Agrobiodiversity Center were selfed two times in 2021 nersery. Tree times of selfed from 324 accessions were characterized. The color of seed coat was divided into three groups: green, yellow and brown. Among them green color was the most common with 91.7%. Flower color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yellow, purplish yellow, greenish yellow and purplish green. Among them purplish yellow color had the highest with 77.8%. Out of 324 resources, only 4 showed compound leaves, and all resources had a heart-shaped leaf. The days to first flowering was 31 to 78 days. About 63% of the accessions bloomed 35 to 50 days after sowing. 324 Korean landraces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population of the Korean mungbean core collection and serve as a basis for genomic breeding materials for mungbean.

  • PDF

Nutritive Evaluation of Some Browse Tree Legume Foliages Native to Semi-arid Areas in Western Tanzania

  • Rubanza, C.D.K.;Shem, M.N.;Otsyina, R.;Ichinohe, T.;Fujihar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0호
    • /
    • pp.1429-1437
    • /
    • 2003
  • Browse tree legume leaves from Acacia spp (A. nilotica, A. tortilis, A. polyacantha), Dichrostachys sp, Flagea villosa, Piliostigma thonningii, Harrisonia sp were evaluated for nutritive potential (chemical compositions and degradability characteristics) compared to Gliricidia sepium. Effect of tannins anti-nutritive activity on digestibility was also assessed by polyethylene glycol (PEG) tannin bioassay. Crude protein (CP), ash,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acid detergent lignin (ADL) differed (p<0.05) between legume foliages. Mean CP, ash, NDF, ADF and ADL for fodder species tested were 158, 92, 385, 145, and 100 g/kg DM, respectively. CP ranged from 115 (P. thonningii) to 205 g/kg DM (G. sepium). Acacia spp had moderate CP values (g/kg DM) of 144 (A. nilotica), to high CP in A. tortilis (188) and A. polyacantha (194) comparable to G. sepium. The forages had relatively lower fiber compositions. A. nilotica had (p<0.05) lowest NDF, ADF and ADL (182, 68 and 44) compared to P. thonningii (619, 196 and 130) g/kg DM, respectively. Except G. sepium, all fodder species had detectable high phenolic and tannin contents greater than 5% DM, an upper beneficial level in animal feeding and nutrition. Mean total phenolics (TP), total tannins (TT) and condensed tannins (CT) (or proanthocyanidins) for fodder species tested were 139, 113 and 43 mg/g DM, respectively. F. villosa had (p<0.05) lowest TP and TT of 65 and 56 mg/g DM, respectively, compared to A. nilotica (237 and 236 mg/g DM, respectively). The CT varied (p<0.05) from 6 (F. villosa) to 74 mg/g DM (Dichrostachys sp). In vitro organic matter (OM) degradability (OMD) differed (p<0.05) between fodder species. G. sepium had (p<0.05) high degradability potential compared to A. polyacantha that had (p<0.05) the lowest OMD values. Forage degradability ranked: G. sepium>A. nilotica>P. thonningi>F. villosa>Dichrostachys sp>A. tortilis>A. polyacantha. Addition of PEG resulted to (p<0.05) improvement in in vitro OM digestibility (IVD). Increase in IVD was mainly due to binding action of PEG on tannins; and represents potential nutritive values previously depressed by tannins anti-nutritive activity. Browse fodder has potential as sources of ruminal nitrogen especially for ruminants consuming low quality roughages due to high protein, lower fiber compositions and high potential digestibility. However, utilization of browse supplements in ruminants is hampered by high phenolic and tannin contents. Deactivation of tannin anti-nutritive activity, possibly by feeding tanniniferous browse with other readily available nitrogen sources to dilute tannin anti-nutritive activity could improve utilization of browse fodder supplem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browse fodder palatability and intake, and their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in ruminants.

분화용 무궁화 자색 단심 'Red Bohanjae' 육성 (A New Cultivar Hibiscus syriacus 'Red Bohanjae' with Small Violet-Pink Flowers for a Pot Plant)

  • 하유미;김동엽;심경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2호
    • /
    • pp.292-297
    • /
    • 2015
  • 무궁화 신품종 '레드보한재'는 모본 백단심계 '안동'(H. syriacus 'Andong')과 부본 '삼천리'(H. syriacus 'Samchully')를 교배한 조합에서 선발되었다. 2002년에 교배를 하여 2004년에 실생 개체 '02-RV-17'를 양성하였고, 2005년부터 3년간 생장검정시험 후 생장 및 개화 특성이 분화용으로 우수성이 인정됨으로써 2011년 최종 선발하였고, 2012년 품종보호권을 등록하였다. 신품종 '레드보한재'는 가지의 배열상태가 위로 향하고 수형은 키가 작은 왜성형이다. 잎 길이와 폭은 각각 4.2cm, 2.3cm로 대조품종 '야음'에 비하여 작고 꽃잎의 색이 약간 보라색을 띤 분홍색이다. 또한 꽃의 크기가 9.2cm로 대조 품종에 비해 작고 꽃잎의 모양은 주걱형이다. 개화기는 7월 3일로 대조품종의 7월 10일에 비해 1주일 정도 빠른 여름 개화형이고, 10월 12일 개화가 끝이나 총 개화기간이 101일로 대조품종의 80일에 비해 길다. 신품종 'Red Bohanjae'는 종자산업법 제 55조에 의거 2012년 최종등록(품종보호 : 제 4118호) 되었다.

무궁화 종간교잡을 통한 홍단심계 신품종 '대망' 육성 (A New Cultivar 'Daemang' with Long Red Eye Spot and Large Flower by Interspecific Cross of Hibiscus Species)

  • 하유미;김동엽;한인송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711-714
    • /
    • 2010
  • 무궁화 '대망'은 2001년 무궁화속 '서봉'($H.$ $sinosyriacus$ 'Seobong')을 모본으로 하고 우리나라 재래 무궁화 홍단심계 '남원'($H.$ $syriacus$ 'Namwon')을 부본으로 하여 종간교잡한 후 얻은 종자를 파종하여 종간교잡 실생묘를 얻었다. 2003년 개화한 실생묘 계통중 화형과 화색이 특이한 개체 'R-143'를 선발 한 후 2004년부터 2006년까지 3년간 접목 번식 된 개체들의 특성을 조사하여 후대검정을 실시하였으며, 2006년 기존 무궁화 품종에 비해 꽃이 크고 단심의 길이가 길어 'R-143' 계통을 '대망'으로 명명한 후 최종 선발하였다. 잎의 모양이 '대망'은 넓은 난형으로 엽선은 첨두형, 엽저는 심장형으로 대조품종과 달랐으며, 잎 길이와 폭이 각각 9.49cm, 8.72cm으로 크다. 홍단심계 홑꽃으로 화경이 15.2cm, 꽃잎 길이가 8.0cm, 꽃잎 폭은 6.4cm로서 대조품종인 '남원'에 비해 훨씬 크다. 또한 단심이 꽃잎 중간까지 방사선 무늬로 퍼져있으며 단심의 길이가 2.2cm로 길어 일반 재배품종에 비해 꽃이 크고 단심이 특이하다. 2006년에 조사된 개화기는 6월 28일로 대조품종의 7월 13일에 비해 2주 정도 빠른 여름 개화형이고, 10월 16일 개화가 끝이나 총 개화기간이 108일로 대조품종의 73일에 비해 길다.

SCB액비가 속성수의 생장 및 biomass 생산에 미치는 영향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of Fast Growing Tree Species Treated with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Liquid Fertilizer)

  • 김현철;여진기;구영본;신한나;최진용;이헌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06-214
    • /
    • 2011
  • SCB액비, 저장액비, 화학비료, 지하수 및 무처리에 따른 포플러 및 버드나무 클론, 백합나무의 생존율은 전체 평균 94.4%로 나타나 양호하였으며, 잎과 줄기의 비율은 각각 63.5%, 36.5%로 매년수확구의 식재당년 지상부 biomass는 잎의 비율이 높았다. 처리구별 줄기발생 수는 SCB액비, 저장액비, 화학비료, 지하수 및 무처리구가 평균 4.2, 4.6, 4.5, 4.7, 4.9개로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버드나무 클론들의 줄기 수가 포플러 클론 및 백합나무 보다 많았다. 줄기직경과 지상부 biomass에 대하여 개체당 유도된 회귀모델을 통해 추정된 biomass 생산량은 화학비료>저장액비>지하수>SCB액비>무처리구 순으로 나타났다. 수종 및 클론별 지상부 biomass 생산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현사시 클론들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SCB액비 처리에 따른 잎과 줄기의 질소함량을 분석한 결과 무처리구 보다 질소함 량이 높게 나타나 SCB액비에 함유된 질소를 체내에 흡수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SCB액비를 biomass 매년수확구에 처리한 결과 화학비료, 저장액비, 지하수 처리구보다 생산량이 적게 나타났지만 무처리구 보다는 생산량이 증가하여 향후 처리방법이나 적정 처리량 등을 구명하여 적용한다면 화학비료와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가축분뇨 처리비용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biomass 매년수확구의 식재당년의 결과이며, 식재한 묘목의 수령이 증가하고 입지환경에 적응되면 바이오매스 생산량도 대폭 증가할 것이므로 이와 같은 연구가 반복적으로 수행되어야 보다 확실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Germination and Growth Performance of A Native Threatened Tree Species Quercus gomeziana A. Camus in Nursery Stage: Case of Bangladesh

  • Nandi, Rajasree;Dey, Soma;Hossain, Mohammed Kama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1호
    • /
    • pp.1-6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pre-sowing treatments of seeds on germination and growth performance of native threatened tree species Quercus gomeziana A. Camus at the nursery of Chittagong University, Bangladesh. Furthermore, seedling growth attributes under different doses of fertilizer (urea) was also experimented to find the best dose of fertilizer on this tree species at the nursery stage for better field level growth. Seeds were placed to six pre-sowing treatments e.g. control (PT0), treated with sand paper rubbing (PT1), nicking (PT2), seeds immersed in cold water for 48 hours (PT3), seeds immersed in cold water for 7 days (PT4) and seeds sown at propagator house with increased temperature (PT5). It was found from the study that germination was started earlier (at 31 days) in treatments sand paper rubbing (PT1) and nicking (PT2). The highest germination percentage (93%) was in PT1 followed by 86% in seeds immersed in cold water for 7 days (PT4) and 80% in PT0 (control). Germination percentage was observed least (63%) in PT2 even though germination started earlier. For fertilizer dose experiment to seedlings at the nursery level, treatment FT1: 100 kg/ha (0.33679 g urea/pot/seedling) comparing with other treatments FT0: 0 kg/ha (Control), FT2: 200 kg/ha (0.67358 g urea/pot/seedling), FT3: 300 kg/ha (1.01037 g urea/pot/seedling) showed better performance in case of collar diameter (6.74 mm), number of leaves, shoot dry weight (19.74), total dry weight (28.16 g), total fresh weight (67.96 g), volume index (3904.82), sturdiness (127.69). Finally, it can be concluded that Quercus gomeziana seedlings revealed better performances under the treatment FT1 in growth and biomass production.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ake decision on organic fertilizer dose application to seedlings of Q. gomeziana for large scale plantation and conservation of this species.

전남 편백림에서의 입지환경요인과 연륜생장량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Site Environmental Factors and Tree Ring Growth in Chamaecyparis obtusa Stands in Jeonnam Province)

  • 박석곤;유한춘;오찬진;최우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77-784
    • /
    • 2015
  • 본 연구는 전남지역에 조림된 편백림을 대상으로 출현종의 개체수 및 종다양성 등의 식생요인과 토양요인의 상관성을 밝히고, 편백의 연륜생장량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편백림의 식생요인과 토양요인의 상관관계분석에서 종다양성지수와 CEC 유효인산 치환성 $K^+$사이에서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또한, 출현종수와 CEC 유효인산 치환성 $K^+$ 치환성 $Mg^{2+}$ 사이에서도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편백의 연륜생장량과 입지환경요인간 상관관계 분석에서 연륜생장량은 유효인산, CEC, 치환성 $K^+$, 전기전도도 등 토양의 보비력 및 비옥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편백 연륜생장량의 설명변수는 치환성 $K^+$과 유기물함량, 토양산도며, 회귀모형의 설명력($R^2$)은 74.4%로 높은 수준이었다. 이 모형에서 편백의 연륜생장량은 치환성 $K^+$과 유기물함량이 높을수록 늘어났지만, 토양산도는 낮을수록 줄어들었다. 따라서, 편백의 연륜생장량은 유효인산 CEC 치환성 $K^+$ 전기전도도 등의 토양지력이 유효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편백림의 토양지력은 편백의 하층식생으로부터의 낙엽공급이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아까시잎혹파리, Obolodiplosis robiniae (Diptera: Cecidomyiidae) 연간 밀도변동과 아까시나무 수관 내 분포 (Seasonal Fluctuation and Distribution of Obolodiplosis robiniae (Diptera: Cecidomyiidae) Within Crown of Robinia pseudoacacia (Fabaceae))

  • 이정수;정유미;최광식;김일권;권영대;전문장;신상철;최원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47-451
    • /
    • 2009
  • 아까시잎혹파리(Obolodiplosis robiniae(Haldeman))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innaeus(Fabaceae)) 잎 가장자리에 혹을 형성하는 혹파리과 해충으로 북미대륙 동부가 원산으로 국내와 일본에 2002년 유입되었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아까시잎혹파리의 계절별 밀도변동과 수관 내 분포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밀도조사는 경기도 오산시 수청동과 시흥시 대야동의 아까시숲에서 5월부터 8월까지 조사되었으며 아까시잎혹파리 밀도는 잎당 유충수를 기준으로 추정되었다. 아까시잎혹파리 세대 수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어, 오산에서는 3세대, 시흥에서는 2세대가 관찰되어 국내에서는 최대 3세대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오산지역 아까시나무내 아까시잎혹파리 유충 밀도분포는 수관 상부가 수관 중간 부분과 하부보다 높았다. 시흥지역 아까시나무의 수관 하부 바깥쪽 밀도가 안쪽보다 높았다. 아까시잎혹파리의 혹 당 유충수는 오산, 시흥에서 각각 $3.3{\pm}0.1$, $2.8{\pm}0.1$ 마리였다.

개방형 액체대량배양 시스템을 통한 유칼리나무 펠리타 선발목의 대량증식 (Application of Open-type Liquid Culture for Large-scale Production of Mature Plus Tree of Eucalyptus pellita)

  • 박소영;문홍규;김용욱;김선자;이재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6호
    • /
    • pp.650-655
    • /
    • 2008
  • 유칼리나무 펠리타(Eucalyptus pellita) 선발목(5년생)의 기내 대량증식을 위해 1L 규모로 1) 고체배양(대조구), 2) 액체정치배양, 3) 개방형 액체배양 등 3가지 배양법이 시도 되었고, 그 결과를 토대로 배양규모를 10L로 확대하여 대량배양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1L 배양용기에서 4주간 배양한 결과, 공기가 공급 된 개방형 액체배양에서 가장 좋은 생장 결과를 얻었다. 이는 액체배지에 의한 원활한 염류 공급과 배양용기내 공기의 환기에 의해 얻어진 결과로 생각된다. 배양 규모를 10L로 확대하여 액체대량배양을 실시한 결과, 식물체의 생장은 대조구인 고체배양에 비교하여 마디 수에 있어서 370%, 엽 면적 3.6배, 그리고 신초 길이 3.3배 신장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개방형 액체대량배양 시스템이 유칼리나무 클론증식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시스템임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하겠다.

조경수목(造景樹木)의 대기오염물질(大氣汚染物質)에 대한 피해반응(被害反應)(II) - 엽피해(葉被害)와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을 중심으로 - (Injury Responses of Landscape Woody Plants to Air Pollutants - Visible Injury and Ethylene Production -)

  • 김명희;이수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2권4호
    • /
    • pp.328-336
    • /
    • 1993
  • $SO_2$에 의한 조경수목(造景樹木)들의 피해(被害)의 감수성(感受性)을 조사하기 위하여 무처리(無處理), 0.5, 1.5 및 2.5ppm의 $SO_2$ 가스를 각각 하루에 4시간(時間)씩 6일간(日間) 처리(處理)하면서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과 내생(內生)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을 측정(測定), 분석(分析)하였다. $SO_2$ 농도(濃度)에 따른 묘목(苗木)들의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은 0.5ppm 이하에서는 조사대상(調査對象) 수종(樹種) 모두 피해증상(被害症狀)이 없었으며, 1.5와 2.5ppm 수준(水準)에서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變化)가 나타났는데, 고농도(高濃度) 일수록 피해율(被害率)이 높았으며, 평균(平均) 피해율(被害率)은 튜립나무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스트로브잣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잣나무의 순(順)이었다. $SO_2$ 처리(處理)에 의한 내생(內生) ethylene의 발생량(發生量)을 보면, 고농도(高濃度) 처리구(處理區)에서는 저농도(低濃度)에 서보다 ethylene의 발생량(發生量)이 많았으며, 발생량(發生量) 최대점(最大點)에 도달되는 시간(時間)도 빨랐다. Ethylene 발생량(發生量)은 튜립나무가 은행나무에서보다 많았으며, 침엽수류에서는 스트로브잣나무, 소나무, 잣나무 순(順)으로 많았다. 특히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이 80% 이상(以上)이었던 스트로브잣나무는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ethylene 발생량(發生量)도 직선적(直線的)으로 증가(增加)하다가 가시피해율(可視被害率)이 40-50% 이상에 도달한 이후 ethylene 발생(發生)이 오히려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