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 breeding technique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2초

New Strategy of Forest Tree Breeding for Society, Forest Science, and Forestry in Korea

  • Choi, Yong-Eui;Kim, Chul-Woo;Yi, Jae-Se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15-25
    • /
    • 2008
  • Social and scientific changes, i.e., global warming, desertification, pollution, biodiversity, bioenergy, plant variety protection, biotechnology, timber demand, reforestation in North Korea, and etc., were reviewed for new strategy of forest tree breeding in Korea. Diversified breeding goals, globalization of breeding target species, multidisciplinary research approaches, manpower networking, establishment of new administrative and research units in KFS and KFRI were proposed. Principles suggested for new tree breeding strategy are: 1) multi-disciplinary approach in settlement of objectives, breeding methods, and etc., 2) expansion of target trees including foreign species, 3) fulfillment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ands for forest tree breeding, 4) establishment of breeding program well-grounded on genetic resources conservation, 5) acknowledgement of breeding products (i.e., variety, technique, gene, and etc.) as goods, and 6) provision of more research opportunities for young scientists. Lastly, ongoing tree breeding project in Indonesia and NTFP R&D Center at the College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were introduced as examples of desirable breeding projects based on target species diversification,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manpower networking.

  • PDF

새마을운동 기간에 조림·육종·사방 기술 연구개발이 우리나라 산림녹화 성공에 미친 기여도 고찰 (Contribution of Tree Plantation, Tree Breeding and Soil Erosion Control Techniques Developed During Saemaul Undong Periods to the Successful Forest Rehabilit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 이돈구;권기철;강규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6권4호
    • /
    • pp.371-379
    • /
    • 2017
  • 본 연구는 새마을운동 기간에 개발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개발이 우리나라 국토녹화 과정에 미친 공헌을 규명하기 위해 산림분야 학술지의 문헌을 고찰하고 산림녹화 사업에 참여한 임업인을 인터뷰하였다. 우리나라 국토녹화 사업은 1970년대에 새마을운동과 함께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당시 연구 개발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의 현장 보급을 통해 산사태 방지와 조기 녹화를 달성할 수 있었다. 새마을운동 당시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연구는 대부분 황폐된 산지의 조기 복구에 집중되었다: 조림 기술 연구는 번식 양묘와 특수조림; 육종 기술 연구는 도입 선발 교잡 및 배수체육종, 내병 내충성 육종; 사방 기술 연구는 산지 야계 해안 사방에 집중되었다. 조림, 육종 및 사방 기술 연구는 새마을운동과 연계되어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 소득 증진에 많은 기여를 하였다. 우리나라의 조림, 육종 및 사방 연구 기술을 기반으로 한, 국토녹화 성공사례는 산림이 심하게 훼손된 북한 및 개발도상 국가들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로수(街路樹) 식재(植栽)를 위한 무궁화의 생장조절(生長調節) (The Growth Control of Hibiscus syriacus for Street Trees Planting)

  • 박형순;이정호;김홍은;유재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445-449
    • /
    • 2001
  • 가로수용 무궁화를 만들기 위한 무궁화 수행유도 실험에서 무궁화의 지하고를 100cm, 150cm, 200cm로 하고 시비를 달리한 결과, 각각의 근원경 평균이 15.7mm, 13.8mm, 10.8mm로 지하고가 낮을수록 근원경의 생장이 우수하였으며, 분산분석의 결과도 지하고에 따른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비에 따른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가로수로 식재하여 '99년부터 2000년까지 2년 동안 조사한 결과는 지하고 80~120cm, 121~150cm, 151-200cm에서 각각의 근원경 평균이 4.9mm, 4.5mm, 3.0mm의 값을 나타내 지하고 80~120cm, 121~150cm의 근원경 생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가로수용으로 무궁화를 육성하가 위해서는 먼저 수고와 지하고를 고려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본 실험의 결과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실험의 결과는 짧은 기간의 시험에 의한 것이므로 앞으로 계속하여 관찰 연구하여 보완하고자 한다.

  • PDF

Genetic Diversity Among Waxy Corn Accessions in Korea Revealed by Microsatellite Markers

  • Park, Jun-Seong;Park, Jong-Yeol;Park, Ki-Jin;Lee, Ju-Kyong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50-257
    • /
    • 2008
  • Knowledge of genetic diversity and of the genetic relationships among elite breeding materials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crops. In maize, this information is particularly useful in i) planning crosses for hybrid and line development, ii) in assigning lines to heterotic groups and iii) in plant variety protection. We have used the SSR technique to study the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relationships among 76 Korean waxy corn accessions, representing a diverse collection from throughout Korea.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among members of this group was conducted using 30 microsatellite markers. Among these 30 microsatellite markers, we identified a total of 127 alleles (with an average of 4.2 and a range of between 2 and 9 alleles per locus). Gene diversity at these 30 microsatellite loci varied from 0.125 to 0.795 with an average of 0.507. The cluster tree generated with the described microsatellite markers recognized two major groups with 36.5% genetic similarity. Group I includes 63 inbred lines, with similarity coefficients of between 0.365 and 0.99. Group II includes 13 inbred lines, with similarity coefficients of between 0.45 and 0.85.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the 30 microsatellite loci chosen for this analysis are effective molecular markers for the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waxy corn accessions. Specifically, this study's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and relationships between a set of 76 Korean waxy corn inbred lines will be helpful for such activities as planning crosses for hybrid and line development and association mapping analyses of maize breeding programs in Korea.

식물의 종류와 열매의 크기 및 성숙도가 조류의 먹이선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gree of Ripeness and Size of Fruit on the Feeding Preference in Some Breeding Birds)

  • 김현우;조삼래;유영한
    • 환경생물
    • /
    • 제27권4호
    • /
    • pp.334-340
    • /
    • 2009
  • 조류가 식물 열매의 성숙도와 크기에 따라 어떻게 선택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육 중인 3종의 새에게 성숙도와 크기가 다른 식물 3종의 열매를 주어 그 먹는 양을 계수하고, 다변량통계로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새는 금계(Chrysolophus pictus, 꿩과), 양비둘기(Columba rupestris, 비둘기과)와 자바공작 (Pavo muticus, 꿩과)이고, 열매는 왕벚나무(Prunus yedoensis, 장미과), 뜰보리수나무 (Elaeagnus multiflora, 보리수나무과)와 아그배나무(Malus sieboldii, 장미과)의 각각 3종류이다. 금계는 3종 열매에 관계없이 열매의 성숙도와 크기에 따른 뚜렷한 섭식 선호도를 보이진 않았다. 양비둘기는 왕벚나무와 뜰보리수나무는 열매의 크기에 관계없이 설익은 열매를 선호하기는 하나 아그배나무 열매는 크기나 성숙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공작은 왕벚나무와 뜰보리수나무 열매의 경우 크기에 관계없이 익은 열매를 선호하기는 하지만 아그배나무 열매에 대해서는 크기나 성숙도에 관계없이 거의 섭식하지 않았다. 새들 3종은 초기에 섭식 빈도가 높은 열매를 후기에도 많이 섭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볼 때 조류가 열매를 선택함에 있어서 열매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열매의 크기에 따른 선호도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조류가 먹이를 먹는 양은 초기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고 판단된다.

Genetic diversity analysis of fourteen geese breeds based on microsatellite genotyping technique

  • Moniem, Hebatallah Abdel;Zong, Yang Yao;Abdallah, Alwasella;Chen, Guo-ho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1호
    • /
    • pp.1664-1672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measure genetic diversity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fourteen goose breeds. Methods: Microsatellite markers were isolated from the genomic DNA of geese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The DNA segments, including short tandem repeats, were tested for their diversity among fourteen populations of geese. The diversity was tested on both breeds and loci level and by mean of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with arithmetic mean and structure program, phylogenetic tree and population structure were tested. Results: A total of 108 distinct alleles (1%) were observed across the fourteen breeds, with 36 out of the 108 alleles (33.2%) being unique to only one breed. Genetic parameters were measured per the 14 breeds and the 9 loci. Medium to high heterozygosity was reported with high effective numbers of alleles (Ne).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s (PIC) of the screened loci was found to be highly polymorphic for eleven breeds; while 3 breeds were reported moderately polymorphic. Breeding coefficient ($F_{IS}$) ranged from -0.033 to 0.358, and the pair wise genetic differentiation ($F_{ST}$) ranged from 0.01 to 0.36 across the fourteen breeds; for the 9 loci observed and expected heterozygosity, and Ne were same as the breeds parameters, PIC of the screened loci reported 6 loci highly polymorphic and 3 loci to be medium polymorphic, and $F_{IS}$ ranged from -0.113 to 0.368. In addition, genetic distance estimate revealed a close genetic distance between Canada goose and Hortobagy goose breeds by 0.04, and the highest distance was between Taihu goose and Graylag goose (anser anser) breed by 0.54. Conclusion: Cluster analyses were made, and they revealed that goose breeds had hybridized frequently, resulting in a loss of genetic distinctiveness for some breeds.

솔잎혹파리에 대한 방사선동위원소 표식방법에 관한 연구 (Radioisotope Labelling Method of Pine Gall Midge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DA et INOUYE))

  • 권신한;정규회;유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55-160
    • /
    • 1978
  • 솔잎혹파리의 비산거리를 조사하기 위해서 방사성 동위원소인 $^{45}Ca$$^{32}P$의 표식방법에 관한 기초 실험을 하였다. 1. $^{45}Ca$를 유충기에 표식 시켰을때 성충에서는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았다. 즉 생물학적 반감기가 짧아 체내축적이 않되었다. 2. 충영내 유충의 방사능 표식는 $^{45}Ca$ 처리시 10월이전에는 점차 증가하다가 10월 이후 부터는 점차 낮아져 평형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보아 유충은 10월 이후에 섭식을 작게 하는 것으로 본다. 3. $^{32}P$에 의한 충영내 노숙유충의 표식율은 3주째가 가장 높았으나 반감기가 짧은 까닭에 시일의 경과에 따라 급속한 표식방사능의 감소를 보인 결과로 미루어 $^{32}P$는 수간주입에 의해 성충을 표식하기에는 부적당하였다. 4. 월동 노숙유충체를$^{32}P$용액으로 처리하여 표식방사능을 검출할 수 있는 최적처리농도는 비방사능이 0.5uCi/ml에 침지을 30분간 한 후 흐르는 물에 10분간 세척하늘 방법이었다. 그러나 이 농도에서 침지시간은 20분 이상으로 하여야 $^{32}P$가 유충체내에 충분히 침투되었다

  • PDF

Genetic Diversity Evaluation of Thamnocalamus spathiflorus (Trin.) Munro Accessions through Morphological and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Markers

  • Tiwari, Chandrakant;Bakshi, Meena;Gupta, Dinesh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5권2호
    • /
    • pp.90-101
    • /
    • 2019
  • Biodiversity refers to the total number and variation among species of flora and fauna of an area. Due to tremendous biotic especially anthropogenic pressure these natural resources are being vanishing. In present study genetic diversity among accessions of Thamnocalamus spathiflorus was evaluated. A total of 51 vegetative characters and 42 primers (10-mer) were screened. Out of 42 screened primers, 28 polymorphic primers were selected for further analysis. A total of 263 bands were recorded as polymorphic whereas 48 bands were monomorphic. The resolving power (Rp) of 28 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primers ranged from 4.6 (OPE08) to 17.6 (OPA11). The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 ranged from 0.21 (OPAH09) to 0.44 (OPG02). The result revealed high degree of genetic relatedness (56 to 80%). Cluster analysis revealed two major clusters both for morphology as well as RAPD. Unlike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 the accession (D5) from Bahli, Rampur, Shimla (H.P.) was clustered separately from the others in RAPD cluster analysis. Accessions with closed locality grouped together through RAPD marker system however analogy was recorded for morphological traits. The study conducted reflects the utility of RAPD technique for species identification and phylogenetic studies in bamboo for conducting bamboo breeding program.

CEPA 처리(處理)에 의한 옻나무 칠액(漆液) 채취법(採取法) 개량(改良)에 관(關)한 연구(硏究) (Improvement of Lacquer Collection Method by CEPA Application in Lactree(Rhus verniciflua Stokes))

  • 최태봉;현정오;김만조;나천수;김갑태;이재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2호
    • /
    • pp.208-215
    • /
    • 2000
  • 본 연구는 노동집약적인 옻나무 칠액채취방법을 개선하고자 인위적인 CEPA 처리가 칠액분비촉진 및 산칠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10% CEPA(에틸렌 유도물질) 처리시, 5주 후의 수피두께와 수피내 옻산함량은 처리부위로부터 상하 20-40cm 정도까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아래쪽보다 윗쪽이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처리부위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처리효과가 더욱 뚜렷하였다. 처리시기에 있어 8월말에 처리한 것은 수피두께와 옻산함량에 변화가 없었으나 6월초에 처리한 것은 수피두께에서 2.5배, 옻산함량에서 3배 정도 증가하였다. 또한 CEPA의 처리 후 1주째 부터 수피내 옻산함량이 증가되었고, 4주째 정점을 이룬 후 5주째는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인위적인 CEPA 처리를 살소법에 적용하여 산칠량을 조사하였다. 채칠 초기에 CEPA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3-4배 정도 높았지만, 상대적인 비율이 점차 감소하여 7회 채칠 이후에는 대조구의 산칠량이 약간 많아졌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에 대하여 고찰하였고, 전통적인 살소법의 개량 가능성 여부를 토의하였다.

  • PDF

Genotyping-by-sequencing 기법을 이용한 사시나무(Populus davidiana) 유전연관지도 작성 및 양적형질 유전자좌 탐색 (Construction of Genetic Linkage Map and Identification of Quantitative Trait Loci in Populus davidiana using Genotyping-by-sequencing)

  • 김수비;김양길;이다영;이혜진;강규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40-56
    • /
    • 2023
  • 사시나무속 수종은 생장이 빠르고 우수한 탄소흡수 능력을 보여주며, 환경정화 효과가 큰 수종으로 이상기후 및 환경오염 문제에 대응하는 기후적응성 품종개발 및 육종집단 조성에 적합하다. 따라서 유전연관지도 작성 및 양적형질 유전자좌 탐색을 통하여 포플러 육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기술 방법인 genotyping-by-sequencing 기법을 이용해 인공교배 차대에 대한 고밀도 유전연관 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사시나무의 수고와 근원경 생장 그리고 해충피해에 대한 회복력 형질을 조사하여 유전연관지도에 위치한 양적형질 유전자좌를 탐색하였다. 서울대학교 학술림에 조성된 사시나무 4년생 육종집단(오대19 × 봉현4 인공교배 차대집단)에서 수고 및 근원경 생장을 조사하였으며, 식엽성 해충인 꼬마버들재주나방 유충의 피해를 받은 후 이에 대해 회복 능력을 조사하였다. 잎 시료의 DNA 추출 후 5개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자형을 확인하였으며 친자로 확인된 개체만을 연구재료로 사용하였다. 친자 확인이 완료된 시료의 DNA는 제한효소를 이용해 절단하였으며, 이렇게 얻은 DNA 조각들은 GBS 라이브러리로 제작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Populus trichocarpa를 참조유전체로 하여 정렬하였다. 정렬된 SNP 마커는 총 58,040개였으며, 그 가운데 17,755개의 SNP 마커를 유전연관지도 작성에 사용하였다. 유전연관지도는 19개의 연관군으로 나누어졌으며, 전체 길이는 2,129.54 cM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세 가지 형질에 대한 양적형질 유전자좌 분석을 실시한 결과, 수고와 근원경 생장과 연관된 양적형질 유전자좌는 찾을 수 없었으나 전장유전체연관연구(GWAS)를 통하여 4번 연관군(염색체)에 해충피해 회복력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유전자를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