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orming growth factor-$Factor-{\beta}1$(TGF-$Factor-{\beta}1$)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초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2에 의한 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 (Promoting effect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2 on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in vitro)

  • 정재창;손종경박대규강신성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0-25
    • /
    • 1995
  • 계배 limb bud 간충직 연골원성 세포로부터 연골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f2(TGF-$\beta$2)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Hamburger-Hamilton stages 23/24의 간충직 세포들을 미세배양법으로 배양하면서. TGF-$\beta$2의 농도 및 처리시간에 따른 연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TGF-$\beta$2는 배양 첫 24시간 동안 1-2 n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였으며, 또한 TGF-$\beta$2의 처리군에서 배양 3일째에 tsss) sulfate의 glycosaminoglvcan으로의 유입량이 현저히 증가함을 보였다 한편. 배양 48시간내에TGF-$\beta$2를 처리한 경우 분화를 촉진 유도한 반면, 배양 48시간 이후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분화 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GF-$\beta$2는 연골원 세포의 분화 초기단계에 세포외기질의 합성을 촉진시켜 세포응축을 유발하고. 세포-세포 및 세포-세포외기질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킴으로써 연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Biology and Clinical Relevance

  • YiKim, Isaac;Kim, Moses M.;Kim, Seong-Jin
    • BMB Reports
    • /
    • 제38권1호
    • /
    • pp.1-8
    • /
    • 2005
  •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s a pleiotropic growth factor that has enthralled many investigators for approximately two decades. In addition to many reports that have clarified the basic mechanism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signal transduction, numerous laboratories have published on the clinical implication/applic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o name a few, dysregul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signaling plays a role in carcinogenesis, autoimmunity, angiogenesis, and wound healing. In this report, we will review these clinical implication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젖소 초유로부터 TGF-$\beta$1의 정제 (Purification of TGF-$\beta$1 from Bovine Colostrum)

  • 남명수;배형철;김평현;김완섭;고준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43-347
    • /
    • 2002
  • TGF-$\beta$l은 여러 가지 생리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기에 기능성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bovine colostrum milk로부터 TGF-$\beta$l을 분리 정제하기 위해 Cel-filtration chromatography, AF-heparin column chromatography 및 AF-heparin column rechromatography를 수행하여 TGF-$\beta$l을 정제하였다. 정제된 TGF-$\beta$1은 비환원조건하에서 전기영동을 수행하여 표준 TGF-$\beta$l과 같은 위치에 단일 band가 나타남으로 TGF-$\beta$l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환원 조건하에서 Western blot을 수행한 결과 TGF-$\beta$l 단일클론 항체와 결합하는 monomer 형태의 밴드를 확인하였다. 정제 TGF-$\beta$1의 회수율은 21%였다.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on In-vitro Maturation of Porcine Oocytes)

  • 신명균;박춘근;조재원;정희태;양부근;김정익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67-275
    • /
    • 1998
  • 돼지 수정란의 체외생산은 난자의 체외성숙과 체외수정에 관한 기술의 부족으로 아직까지 만족스럽지 못한 수준이다. 특히 돼지 수정란의 체외생산에는 복잡한 세포질의 성숙과정과 높은 다정자침입율 및 전핵형성의 억제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 체계를 개선하기 위하여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TGF$\beta$)의 첨가가 난자 및 난구세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체외성숙용 배지에 TGF$\beta$를 1~10ng/$m\ell$의 농도로 첨가하여 미성숙 난자를 배양한 결과 성숙율이 높아졌다. TGF$\beta$의 효과는 난구세포가 제거된 난자의 성숙에도 효과적이었다. TGF$\beta$(를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 내에서는 배양 24시간 까지 metaphase-II로 성숙된 난자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TGF$\beta$를 첨가한 배양액 내에서는 관찰되었다. 한편, 난구세포가 부착된 난자의 성숙배양시 TGF$\beta$의 첨가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난구세포를 제거한 난자의 경우에는 성숙배양 전반기(59%) 또는 후반기(57%) 24시간 동안에만 TGF$\beta$를 첨가하는 것이 48시간 동안 계속하여 첨가(27%)하는 경우 또는 비첨가(38%)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율을 나타냈다(p<0.05). 이와 같은 결과는 난구 세포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에 필수적이지만 TGF$\beta$는 난구세포가 제거된 난자의 체외성숙에 어 느정도 유익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Interleukin-12와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의 치료 전후의 변화 (Changes of Interleukin-12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before and after Antipsychotic Treatments in Schizophrenic Patients)

  • 김성재;이분희;김용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2호
    • /
    • pp.143-150
    • /
    • 2005
  • 목 적: 많은 연구에서 정신분열병에서 염증반응체계의 활성화와 사이토카인의 변화가 병태생리학적 및 원인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며, 여기에는 type 1 Thelper cell(Th1), type 2 T helper cell(Th2), type 3 T helper cell(Th3)의 조절 이상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 치료 전후로 Th1 사이토카인인 interleukin-12(IL-12), Th3 사이토카인인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TGF-${\beta}1$)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였다. 방 법: 2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31명의 정상대조군에서 IL-12와 TGF-${\beta}1$ 농도를 측정하였고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는 8주간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 후 다시 IL-12와 TGF-${\beta}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치료전과 8주간 치료 후, 2차례에 걸쳐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를 측정하였다. 결 과: 치료전 IL-12 농도와 TGF-${\beta}1$ 농도 모두 정상대조군보다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8주간의 치료 후 TGF-${\beta}1$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대조군의 농도와 차이를 보이지 않게 된 반면, IL-12의 농도는 유의하지 않은 감소를 보였다. BPRS 점수의 변화 및 IL-12 및 TGF-${\beta}1$의 농도의 변화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정신분열병의 병태생리학에 사이토카인의 이상이 관여할 수 있으며, TGF-${\beta}1$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파골세포에 대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의 활성화 작용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Stimulates Osteoclastic Bone Resorption in vitro)

  • 양대석;김일찬;고성희;유병제;남궁용;강신성;이창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17-324
    • /
    • 1996
  • 파골세포는 골조직을 분해하는 세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파골세포 활성조절은 골조직의 성장과 재조합의 조절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기관배양을 통해 파골세포의 활성을 조절하는 여러가지 인자들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TGF-$\beta$)는 골조직 대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알려져 있고, 또한 골조직내에 다량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TGF-$\beta$의 파골세포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는 것은 전체 파골작용의 조절기작을 알아보는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인들은 계배를 이용한 파골세포의 배양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파골세포 활성을 측정하는데 사용하였다. 이 방법을 통해, TGF-$\beta$1이 파골세포의 골분해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활성작용은 TGF-$\beta$의 파골세포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라기 보다는 다른 세포를 통한 간접적인 효과일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GF-$\beta$에 의한 파골세포의 활성화는 nordihydroguaiaretic acid에 의해 현저하게 저해된 반면, idomethacin에 의해서는 저해되지 않았다. 이러한 실험결과들은 TGF-$\beta$가 arachidonic acid의 lipoxygenase 유도체를 통해 파골세포의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 PDF

개 혈소판에서 변형성장인자 베타의 분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urificat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n Canine Platelets)

  • 권오경;홍성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89-392
    • /
    • 1994
  • To purify transforming growth factor type beta(TGF-$\beta$) in canine platelets, Sephadex G-75 gel filtration and semipreparative HPLC were carried out. The column of $2.0 {\times}120cm$ was used for gel filtration and one inch semipreparative column filled with SP-Toyopeal for HPLC. Electrophoresis and bioassay using African green monkey kidney cell were used for identification of TGF-$\beta$ Crude TGF-$\beta$ of 2.75mg was extracted from 5.2g of the platelets by the treatment of acid/ethanol. In gel filtration of crude TGF-$\beta$, 4 peaks were observed at the detection of spectrophotometer at 280nm. Electrophoresis and bioassay identified the 3rd peak TGF-$\beta$. Linear gradient elution from 0 to 3M NaCl in sornipreparative HPLC showed TGF-$\beta$ at 1.5M NaCl. Gel filtration was less expensive and useful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TGF-$\beta$.

  • PDF

종양 표지 인자로서 혈장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에 대한 연구 (Study of plasma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level as a useful tumor marker in various cancers)

  • 신훈;임창기;최인영;이두연;노동영;류민희;이효석;방영주;박종섭;진승원
    • IMMUNE NETWORK
    • /
    • 제1권2호
    • /
    • pp.143-150
    • /
    • 2001
  • Background : Many investigators have found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 (TGF-${\beta}1$) to be elevated in tumors. Changes in responsiveness to TGF-${\beta}1$ have been linked to malignant transformation, tumor progression and tumor regression. Many malignant cell lines of epithelial or hematopoietic origin are refractory to the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TGF-${\beta}1$. However, a little is known about the association of TGF-${\beta}1$ with progression of malignant tumor. Methods :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plasma level of TGF-${\beta}1$ in various cancer patients and evaluated the utility of plasma TGF-${\beta}1$ as a possible tumor marker. Plasma TGF-${\beta}1$ levels were measured using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in cancer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and alpha-fetoprotein (AFP) as tumor marker were compared with TGF-${\beta}1$ in the aspects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Results : The mean of plasma TGF-${\beta}1$ levels was $1.219{\pm}0.834ng/ml$ in normal controls, $5.491{\pm}3.598ng/ml$ in breast cancer, $12.670{\pm}10.386ng/ml$ in lung cancer, $5.747{\pm}3.228ng/ml$ in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10.854{\pm}7.996ng/ml$ in cervical cancer. In comparison with CEA and AFP, TGF-${\beta}1$ is more sensitive.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the high levels of TGF-${\beta}1$ are common in the plasma of cancer pati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lasma TGF-${\beta}1$ level can be a potent tumor marker in various cancer patients.

  • PDF

자연기흉환자의 폐기포에서 TGF-${\beta}1$ 단백질 발현에 대한 연구 (TGF-${\beta}1$ Protein Expression in Bullae of Patients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 김광호;조정수;김영삼;윤용한;김정택;백완기;김루시아;송순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05-809
    • /
    • 2006
  • 배경: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receptor II(TGF-${\beta}1RII$) 단백질의 과발현이 폐기포 조직의 형성에 관여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본 연구팀은 발표한 바 있다. 이와 관련하여 폐기포벽에서 발견되는 섬유화에 관계될 것으로 생각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TGF-${\beta}1$) ligand의 발현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자연기흉 환자에서 폐기포 절제슬로 획득한 폐 기포조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36명의 자연기흉의 환자에서 비디오흉강경 폐기포절제술 시 획득된 폐기포조직을 획득하였다. 36명 환자 중 남자가 34명, 여자가 2명이었고 연령은 14세에서 38세였다. 획득된 폐기포조직을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방법으로 염색하였다. 결과: 36명 중 19예에서 TGF-${\beta}1$ 양성이었고 24예에서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receptor II(TGF-${\beta}1RII$)가 양성이었다. 19예의 TGF-${\beta}1$ 양성 예 중 15예에서 TGF-${\beta}1RII$에도 양성으로 관찰되었다. 이 같은 양성 변화는 폐기포조직과 정상 폐 조직과의 경계선에서 가장 강하게 관찰되었다. 결론: TGF-${\beta}1$의 과발현은 TGF-${\beta}1RII$ 발현의 변이 여부와 마찬가지로 폐기포벽의 섬유화를 초래하여 폐기포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되며 확실한 규명을 위하여 분자생물학적 및 기타 추가적인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연 기흉 환자의 혈액 내 TGF-beta 1 Ligand 양과 폐 기포 형성과의 연관관계에 대한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TGF-beta 1 Blood Levels and the Formation of Bullae in Patients with Spontaneous Pneumothorax)

  • 김영삼;김광호;백완기;김정택;차일규;김지혜;송순욱;최미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3권4호
    • /
    • pp.394-398
    • /
    • 2010
  • 배경: 저자들은 자연 기흉 환자의 폐 기포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receptor II (TGF-${\beta}1$RII)와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1 (TGF-${\beta}1$) ligand를 면역조직화학염색법으로 조사하여 상기 유전 물질이 과 발현되어 폐 기포 형성에 관여될 수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TGF-${\beta}1$ ligand는 혈액 내에도 존재하고 있으므로 혈액내의 TGF-${\beta}1$ ligand 양이 폐 기포 조직의 형성에도 관여가 될 수 있는 가능성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자연 기흉으로 폐 기포 절제술을 실시한 환자 19명에서 폐 기포 조직과 혈액을 채취하였다. 대조군으로 25∼27세의 정상인 5명에서 혈액을 채취하였다. 획득된 폐 기포 조직은 formalin 용액에 고정하였으며 파라핀에 포매하여 $5{\sim}6{\mu}m$ 두께로 블록을 만들었으며 면역조직화학염색방법으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채취된 혈액에서 ELISA assay로 혈액내의 TGF-${\beta}1$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 19명 중 16명에서 TGF-${\beta}1$에 양성이었으며 10명에서 TGF-${\beta}1$RII에 양성의 소견을 보였다. TGF-${\beta}1$에 양성인 16명 중 9명에서 TGF-${\beta}1$RII에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강하게 염색된 부위는 폐 기포 조직과 정상 폐 조직의 경계선 부위였다. 폐 기포 조직에서 TGF-${\beta}1$과 TGF-${\beta}1$RII가 동시에 양성인 환자 9명의 혈액내의 TGF-${\beta}1$의 양은 $38.36{\pm}16.2ng/mL$이었으며 대조군은 $54.06{\pm}15ng/mL$이었다. 결론: 폐 기포를 갖는 수술 환자 군의 혈액내의 TGF-${\beta}1$의 양이 대조군보다 높지 않은 수치를 보이는 것으로 보아 혈액 내 TGF-${\beta}1$ 양은 폐 기포 형성에 직접적으로 관여될 가능성은 적고, 폐 조직에서 국소적으로 과 발현되는 TGF-${\beta}1$RII and TGF-${\beta}1$ ligand가 폐 기포 형성에 더 많이 관계하는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