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herbal medicine

검색결과 1,809건 처리시간 0.025초

대식세포에서 MAPKs 및 PI3K/AKT 신호전달계 활성을 통한 괴각 추출물의 prostaglandin E2 및 tumor necrosis factor-α 생성의 촉진 (Fructus Sophorae Enhances the Production of Prostaglandin E2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hrough Activation of MAPKs and PI3K/AKT Signaling Pathways in Murine Macrophages)

  • 강영순;한민호;이문희;홍수현;박흥식;정재철;이정래;이은우;강경화;김철민;김병우;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97-1403
    • /
    • 2013
  • 괴각(Fructus Sophorae)은 회화나무(Styphnolobium japonicum L.)의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전통 한의학에서 널리 사용되는 약재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murine RAW 264.7 대식세포 모델을 이용하여 괴각 추출물 (Fructus Sophorae extracts, FSE)이 면역 조절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한 대식세포 활성과 연관된 면역 반응 parameter로서 prostaglandin $E_2$ ($PGE_2$)와 tumor necrotic $factor-{\alpha}$ ($TNF-{\alpha}$)의 생성에 미치는 FS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FSE는 대식세포의 활성을 유도하였고, $PGE_2$$TNF-{\alpha}$의 생성을 촉진하였으며, 이는 cyclooxygenase-2 (COX-2)와 $TNF-{\alpha}$ 유전자의 전사 및 번역 수준에서의 활성화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FSE 처리에 의하여 다양한 종류의 cytokine 발현의 증가를 cytokine array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RAW 264.7 대식세포의 활성화에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및 phosphatidylinositol-3-kinase (PI3K)/Akt 경로 활성화가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괴각 추출물이 면역 증강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시사한다.

녹색자엽 검정콩 품종 육성을 위한 Stay green 변이체 활용 (Introduction of Stay Green Mutant for the Development of Black Seed Coat and Green Cotyledon Soybean Variety)

  • 강성택;서민정;문중경;윤홍태;이영호;김시주;황영선;이석기;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87-194
    • /
    • 2010
  • 고품질 녹색자엽 검정콩 신품종 육성 연구의 일환으로 녹색자엽의 유전자원별 녹색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엽록소 함량 및 조성과 이들의 유전양상을 검토하고, 유전적 배경을 달리한 녹색자엽 자원을 활용한 녹색자엽 검정콩의 선발 효율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유전적 배경이 상이한 녹색자엽 자원을 검정콩 육종프로그램에 도입코자 실시한 특성조사 결과 핵유전 녹색자엽 유전자 d1d2를 보유한 자원은 세포질 유전 녹색자엽 유전자 cytG를 보유한 자원보다 총 엽록소의 함량이 매우 높은 경향이었고, 조성에서는 d1d2 보유 자원은 엽록소 a의 함량이 엽록소 b보다 2배 이상 높고, cytG 보유 유전자원은 엽록소 b의 함량이 엽록소 a 함량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2. 핵유전 녹색자엽 유전자(d1d2)는 당대의 종실에서 발현되어 $F_1$ 세대의 $F_2$ 종실에서부터 선발이 가능하며, 2개의 열성유전자에 지배를 받는다. 3. 녹색 종피의 핵유전 녹색자엽(d1d2)과 황색자엽 검정콩(D1D2)의 교배후대에서 검정색 종피에 녹색자엽 종자를 가진 개체는 모본의 유전적 배경에 따라 조금은 다르지만 $F_2$ 전체 개체 중 3% 미만의 낮은 비율로 나타나, 향후 핵유전 녹색자엽 검정콩 신품종 육성효율 증진을 위해서는 핵유전 녹색자엽 검정콩 중간모본 개발과 선발방법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ntiplatelet and Antithrombotic Activities of Lindera obtusiloba Extract in vitro and in vivo

  • Lee, Jung-Ok;Kim, Chul-Young;Lee, Seung-Woo;Oak, Min-Ho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8권2호
    • /
    • pp.205-210
    • /
    • 2010
  • 본 논문은 체내외 실험에서 생강 나무 추출물 (LOE)의 항혈소판과 항혈전 활성에 대한 내용으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생강 나무는 심혈관과 염증성 질환에 사용되는 전통 약초이다. LOE의 항혈소판과 항혈전 활성은 체외 실험으로 혈소판 응집과 라디칼 소거 활성을 관찰하였고, 체내 실험으로 폐동맥 혈전증을 관찰하였다. LOE는 농도 의존적으로 $IC_{50}$ 값이 3.9 ${\pm}$ 0.1 ${\mu}g$/ml인 안정된 DPPH 라디칼을 소거하였고, $IC_{50}$ 값이 0.9 ${\pm}$ 0.1 mg/ml와 0.4 ${\pm}$ 0.1 mg/ml인 콜라겐-유도 혈소판 응집과 ADP-유도 혈소판 응집을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하였다. LOE의 저해 효과는 $IC_{50}$ 값이 1.0 ${\pm}$ 0.5와 1.0 ${\pm}$ 0.7 mg/ml인 아스피린과 비교하였다. LOE의 경구 투여는 콜라겐과 에피네프린의 정맥 주사로 유도된 폐동맥 혈전증을 가진 생쥐 사망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LOE는 항혈소판 활성에 기인하는 항혈전제 이다는 내용이다.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Korean Mint Agastache rugosa (Fisch & Meyer) Kuntze (Lamiaceae) Using ISSR Markers

  • Kang, Man Jung;Sundan, Suresh;Lee, Gi An;Ko, Ho Cheol;Chung, Jong Wook;Huh, Yun Chan;Gwag, Jae Gyun;Oh, Se Jong;Kim, Yeon Gyu;Cho, Gyu Tae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62-369
    • /
    • 2013
  • Agastache rugosa, a member of the mint family (Labiatae), is a perennial herb widely distributed in East Asian countries. It i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holera, vomiting, and miasma. This study assessed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s on 65 accessions of Korean mint A. rugosa germplasm based on inter simple sequence repeat (ISSR) markers. The selected nine ISSR primers produced reproducible polymorphic banding patterns. In total, 126 bands were scored; 119 (94.4%) were polymorphic. The number of bands generated per primer varied from 7 to 18. A minimum of seven bands was generated by primer 874, while a maximum of 18 bands was generated by the primer 844. Six primers (815, 826, 835, 844, 868, and 874) generated 100% polymorphic bands. This was supported by other parameters such as total gene diversity ($H_T$) values, which ranged from 0.112 to 0.330 with a mean of 0.218. The effective number of alleles ($N_E$) ranged from 1.174 to 1.486 with a mean value of 1.351. Nei's genetic diversity (H) mean value was 0.218, and Shannon's information index (I) mean value was 0.343. The high values for total gene diversity, effective number of alleles, Nei's genetic diversity, and Shannon's information index indicated substantial variations within the population. Cluster analysis showed characteristic grouping, which is not in accordance with their geographical affilia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developing a strategy for the conservation and breeding of A. rugosa and other medicinal plant germplasm are discussed.

Effe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root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serum antioxidant and immune response in finishing lambs

  • Hao, Xiaoyan;Wang, Pengju;Ren, Youshe;Liu, Gentang;Zhang, Jianxin;Leury, Brian;Zhang, Chunxi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6호
    • /
    • pp.965-972
    • /
    • 2020
  • Objective: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is a well-known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with many biological active constitu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root powder (AMP) on growth performance, serum antioxidant and immune response in finishing lambs. Methods: A total of thirty-six Guangling fat-tailed ram lambs (body weight = 19±2 kg, mean±standard deviation)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six treatments for a 40 d feeding period, with the first 10 d for adaptation. Treatments consisted of the lambs' basal diets with addition of 0, 5, 10, 15, 20, and 30 g/kg of diet of AMP. Results: Response to supplementation level of AMP was quadratic (p≤0.032) for final weight and ADG with the greatest at 10 g/kg of diet, but dry matter intake was not affected (p≥0.227) by treatments. The increase of AMP supplementation resulted in a quadratic response in contents of triglyceride and creatinine (p<0.05), with the lowest values for 10 and 20 g/kg of diet, respectively. A linear and quadratic decrease was observed in activity of alkaline phosphatase in serum of lambs. As the AMP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activities of total superoxide dismutase and total antioxidant capacity increased linearly (p≤0.018) and hydroxyl radical (OH-) decreased linearly (p = 0.002). For catalase (CAT) and malondialdehyde (MDA), quadratic (p≤0.001) effects were observed among treatments, with the greatest CAT and lowest MDA values at 10 g/kg AMP. Additionally, supplementing AMP up to a level of 10 or 15 g/kg of diet quadratically increased immunoglobulin and interleukin contents in the serum.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P can be used as natural feed additive in the ration of lambs to improve ADG, antioxidant status, and immune functions, and the optimal dose was 10 g/kg of diet under the condition of this experiment.

뽕잎발효차 제조에 따른 유효성분 분석과 품질특성 (Analyses of Active Compon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Manufacturing of Fermented Mulberry Leaf (Morus alba) Tea)

  • 배만종;예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59-863
    • /
    • 2010
  •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유효성분을 분석하고 제품의 품질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뽕잎발효차가 4,022.82 mg/100 g, 뽕잎차가 3,932.32 mg/100 g으로 두 시료의 함량은 비슷하였고 녹차 및 황차에 함유된 양과 비슷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타민 C는 두 시료 모두 미량으로 분석되었다. 카페인의 함량은 뽕잎차가 5.68 mg/100 g, 뽕잎발효차가 21.11 mg/100 g으로 두 시료 모두 미량으로 분석되었다.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 색도 측정 시 a(적색도)값은 시료 간에 차이가 미미하였고, b(황색도)값은 뽕잎차가 뽕잎발효차보다 높았으며, L(명도)값은 뽕잎발효차가 뽕잎차보다 낮았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 시료 모두 쓴맛과 떫은맛이 적었으며 뽕잎발효차가 구수한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발효를 통한 생리 활성 물질의 변화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제품개발에 응용하고 대중적인 면을 좀 더 개선한다면 새로운 기능성소재 및 제품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반응에서 섬애약쑥 추출물의 간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umaeyaksuk (Artemisia argyi H.) Extract on LPS-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

  • 김동규;강민정;신정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1호
    • /
    • pp.1282-1288
    • /
    • 2016
  • 본 연구는 섬애약쑥의 생리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 추출물의 항염증 활성 및 간 염증에 대한 보호효과를 세포수준에서 확인하였다. 세포독성이 없는 $100{\sim}400{\mu}g/ml$의 농도 범위에서 섬애약쑥 추출물은 HepG2 세포에서 nitric oxide (NO)와 reactive nitrogen species (ROS)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저해하였으며, 간염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cytokine인 M-CSF와 IL-8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직접적인 간 손상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인 AST와 ALT의 발현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실험을 통해서 섬애약쑥물 추출물은 세포독성이 없는 $200{\sim}400{\mu}g/ml$의 범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간 염증의 개선 효과를 가질 것이라는 단서를 확인하였다.

The Indian Magical Herb 'Sanjeevni' (Selaginella bryopteris L.) - A Promising Anti-inflammatory Phyto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nflammatory Skin Diseases

  • Paswan, Shravan Kumar;Gautam, Arti;Verma, Pritt;Rao, Chandana Venkateswara;Sidhu, Om Prakash;Singh, Ajeet Pratap;Srivastava, Sajal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3-99
    • /
    • 2017
  • Objectives: Selaginella bryopteris L. (family: Selaginaceae), is often used in traditional Indian systems of medicine for the prevention and cure of several disorders and for the treatment of patient with spermatorrhoea, venereal disease, constipation, colitis, urinary tract infections, fever, epilepsy, leucorrhoea, beri-beri and cancer. It is also used as a strength tonic.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opically administered aqueous, polar and non-polar methanolic fractions ($10mg/20{\mu}L$) of Selaginella bryopteris. Methods: An acute oral toxicity study of Selaginella bryopteris at doses from 250 to 2,000 mg/kg body weight (bw) was performed. Aqueous, polar and non-polar methanolic extracts ($10mg/20{\mu}L$) applied topically for 5 day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inflammatory effects against 12-tetra-O-decanoyl phorbol acetate (TPA)- induced inflammation by using the redness in the ear, the ear's weight (edema), oxidative stress parameters, such as lipid-peroxide (LPO) and nitric oxide (NO), and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nvolved in inflammation, such as tumou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beta}$ and IL-6. Indomethacine ($0.5mg/20{\mu}L$) was used for the positive control. Results: Selaginella bryopteris produced no mortalities when administered orally at doses from 250 to 2,000 mg/kg bw. Topical treatment with the non-polar methanolic fraction ($10mg/20{\mu}L$) significantly suppressed redness ($2.4{\pm}0.5$) and edema ($30.4{\pm}1$) and effectively reduced the LPO level ($32.3{\pm}3.3$). The NO level was ($8.07{\pm}0.55$), and the $TNF-{\alpha}$, $IL-1{\beta}$, and IL-6 levels were decreased to $69.6{\pm}15.5$, $7.7{\pm}4.8$ and $82.6{\pm}5.9$, respectively.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medicinal plants like Selaginella bryopteris and quantified the pharmacological interactions between them. The present study showed this herbal product to be a promising anti-inflammatory phyto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inflammatory skin diseases.

십전대보탕의 장기보관 중 품질변화 (Quality Variation of Sibjeondaebotang according to Long-term Storage)

  • 김애경;이춘영;황광호;이영종;김수진;이영주;이현경;이새람;김일영;이정미;유인실;정권
    • 생약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74-380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of quality variation of Sibujeondaebotang according to storage period and temperature (5 and $25^{\circ}C$) Identificaion test, pH, specific gravity, heavy metal, microbial limit test and glycyrrhizic acid, paeoniflorin content of Sibjeondaebotang were performed during 12 months. The significant change was not shown on identificaion test, specific gravity, microbial limit test under long term storage and the result suited a safe level standards of 'Korean National Standard of Traditional Medicinal (Herbal and Botanical) Materials - "Sibjeondaebotang"'. The test of pH showed meaningful changes between two storage temperature (5 and $25^{\circ}C$) according to increasing storage period. The contents of glycyrrhizic acid and paeoniflorin had no relation with storage temperature($5^{\circ}C$, $25^{\circ}C$) but i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ccording to the length of storage period. We predicted shelf-life of glycyrrhizic acid and paeoniflorin at storgae temperature(5 and $25^{\circ}C$) as about 6 and 3 months, respecttively. Therefore considering glycyrrhizic acid and paeoniflorin, sibjeondaebotang is determined to be in good condition within 3 months, regardless of the room temperature and refrigerated temperature. We we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guideline of medication counseling sibjeondaebotang.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 추출물이 MC3T3-E1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hrysanthemum indicum L. Extract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 윤지혜;황은선;김건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0호
    • /
    • pp.1384-139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감국 에탄올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골다공증 관련 식물성 에스트로젠으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감국 에탄올 추출물은 30~100 ${\mu}g/mL$ 농도 범위에서 조골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며, 100 ${\mu}g/mL$ 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최대 122% 세포성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세포증식 유도는 estrogen antagonist인 tamoxifen 처리 시 상쇄되어 estrogen 유사효과에 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MC3T3-E1 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대표적 분화지표인 ALP 효소활성, collagen 함량, mineralization 수준을 측정한 결과, 10, 30 ${\mu}g/mL$ 농도에서 ALP 활성의 유의적 증가와 200 ${\mu}g/mL$ 농도에서 collagen 함량과 mineralization의 유의적인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ALP 활성, collagen 함량 모두 tamoxifen 처리에 의해 증가 효과가 상쇄되어 estrogen 유사작용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