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Korean soybeans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3초

Optimization of the Production of Fibrinolytic Enzyme from Bacillus firmus NA-1 in Fermented Soybeans

  • Seo, Ji-Hyun;Lee, Sam-P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1호
    • /
    • pp.14-20
    • /
    • 2004
  • Bacillus strains capable of producing fibrinolytic enzyme were isolated from traditional fermented Korean soybean paste and Japanese fermented soybean (Natto). Among the 16 strains, a selected Bacillus sp. was identified as bacillus firmus, with 80.7% homology, by API kit analysis. Seed starter or B. firmus NA-1 was prepared with 5% soymilk prepared from micronized soybean powder. To produce fibrinolytic enzyme by B. firmus NA-1 the liquid culture was performed with NB broth (pH 7.0) fortified with 1% galactose, 0.1% tryptone, and 0.5% $K_2$HPO$_4$, by shaking with 180 rpm at 37$^{\circ}C$. Fibrinolytic enzyme activity reached the highest value at 7.8 unit/mL (plasmin unit) after fermentation for 72 hr. The crude fibrinolytic enzyme showed higher relative activity in the range of pH 7.0∼9.0. The activity of crude fibrinolytic enzyme was well maintained even after concentration by the vacuum evaporation at 5$0^{\circ}C$ for 1 hr.

홍국균(Monascus sp.) 발효콩의 mevinolin 생산 조건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Mevinolin from the Soybean Fermented with Monascus sp.)

  • 표영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56-261
    • /
    • 2006
  • 20여종의 Monascus속의 균주로 부터 mevinolin의 생산능이 우수하면서도 곰팡이 독소성분 citrinin을 생산하지 않는 우량균주를 선발하였으며, 콩시료에 대한 고상발효를 최적화하기 위한 영양배지의 조성물이 검토되었다. 선발된 M. pilosus IFO 480으로 발효시킨 홍국콩 발효물에 함유된 mevinolin의 주요 화합물은, 약리학적 활성형(drug)의 mevinolinic acid 밝혀졌다(91.8%). 따라서 홍국 발효콩은 생체활성형의 항 콜레스테롤 성분을 최대 0.22% 까지 함유하는, 안전한 건강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Metabolism of Isoflavone Derivatives During Manufacturing of Traditional Meju and Doenjang

  • Jang, Chan-Ho;Park, Chun-Seok;Lim, Jin-Kyu;Kim, Jeong-Hwan;Kwon, Dae-Young;Kim, Yong-Suk;Shin, Dong-Hwa;Kim, Jong-Sa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442-445
    • /
    • 2008
  • Meju, a major ingredient of doenjang which is a popular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food, was manufactured by fermenting steamed soybeans in natural environment in which steamed soy was exposed to airborne microorganism, in particular, fungi. Total isoflavone content was reduced from 1,849 mg/kg of cooked soy to 816 mg/kg of meju at the $90^{th}$ day of fermentation. Total glycosides and aglycones of isoflavones in meju were 1,827 and 22 mg/kg at 0 day and changed into 487 and 329 mg/kg at the 90th day of fermentation, respectively. Meanwhile, the ratio of glycosides to aglycones of isoflavones was not changed during aging of doenjang but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with 592 and 644 mg/kg aglycones at the 0 and $160^{th}$ day, respectively. When cooked soy was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and Aspergillus flavus, isoflavone profi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while A. oryzae caused more extensive metabolism of isoflavones than A. flavus.

Flanking Sequence and Copy-Number Analysis of Transformation Events by Integrat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with Southern Blot Hybridization

  • Qin, Yang;Woo, Hee-Jong;Shin, Kong-Sik;Lim, Myung-Ho;Cho, Hyun-Suk;Lee, Seong-Kon
    • Plant Breeding and Biotechnology
    • /
    • 제5권4호
    • /
    • pp.269-281
    • /
    • 2017
  • With the continual development of genetically modified (GM) crops, it has become necessary to develop detailed and effective molecular characterization methods to select candidate events from a large pool of transformation events. Relative to traditional molecular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Southern blot hybridization,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technology for whole-genome sequencing of complex crop genomes had proven comparatively useful for in-depth molecular characterization. In this study, four transformation events, including one in Bacillus thuringiensis (Bt)-resistant rice, one in resveratrol-producing rice, and two in beta-carotene-enhanced soybeans, were selected for molecular characterization. To merge NGS analysis and Southern blot-hybridization results, we confirmed the transgene insertion sites, insertion construction, and insertion numbers of these four transformation events. In addition, the read-coverage depth assessed by NGS analysis for inserted genes might provide consistent results in terms of inserted T-DNA numbers in case of complex insertion structures and highly duplicated donor genomes; however, PCR-based methods can produce incorrect conclusions. Our combined method provides an effective and complete analytical approach for whole-genome visual inspection of transformation events that require biosafety assessment.

Comparison of laxative effects of fermented soybeans (Cheonggukjang) containing toxins and biogenic amines against loperamide-induced constipation mouse model

  • Kim, Ha-Rim;Park, In-Sun;Park, Su-Bin;Yang, Hee-Jong;Jeong, Do-Youn;Kim, Seon-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6권4호
    • /
    • pp.435-449
    • /
    • 2022
  • BACKGROUND/OBJECTIVES: Cheonggukjang is a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with significant health-promoting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studies on the safety and efficacy of Cheonggukjang, which is produced using traditional methods containing toxins and biogenic amines (BAs). This study compared the laxative effect of Cheonggukjang, containing high or low levels of toxins and BAs (HTBC or LTBC) in a loperamide (Lop)-induced constipation mouse model. MATERIALS/METHODS: To induce constipation, Lop (5 mg/kg) was administered orally to ICR mice twice a day for 4 days, and the dose was increased to 8 mg/kg after a 3-day rest period. Cheonggukjang (500 mg/kg, HTBC, or LTBC respectively) was administered for four weeks before the Lop treatment. RESULTS: The number of stools, fecal weight, water contents, gastrointestinal transit, and histological alterations were recovered significantly in the HTBC or LTBC groups. HTBC and LTBC administration did not induce significant changes in body weight, dietary intake, and behavior. The opioid-receptor downstream signaling pathway in colon tissues was also evaluated. The c-Kit, stem cell kinase, and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subfamilies, including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c-Jun N-terminal kinases, and p38, were all downregulated in the HTBC or LTBC-administered mice colon compared to the Lop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Cheonggukjang, containing high levels of toxins and BAs, have a similar laxative effect in a mouse model of Lop-induced constipation.

한국장류식품(韓國醬類食品)의 유지성분(油脂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第) 1 보(報) : 청국장 발효(醱酵)과정중의 유지성분(油脂成分) 변화(變化)- (Studies on the Lipids in Korean Soybean Fermented Foods -I. Changes of Lipids Composition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 이숙희;김선기;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9-403
    • /
    • 1983
  • 청국장 발효과정중에 일어나는 지질성분(脂質成分)의 변화(變化)를 규명하고저 삶은콩에 Bacillus natto 를 접종(接種), 3일간 발효시킨후 식염을 7% 첨가하여 20일간 숙성(熟成)한 청국장을 만들고, 삶은콩, 청국장 고오지 및 청국장제품의 지질(脂質)에 관한 연구를 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삶은콩의 총지질(總脂質) 함량중 중생지질(中性脂質)은 92.08%,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은 1.76%, 당지질(糖脂質)은 2.04%, 연지질(憐脂質)은 4.12% 이었으나, 발효숙성(醱酵熟成)과정중 중성지질(中性脂質)이 감소하고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당지질(糖脂質)의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연지질(憐脂質)의 함량은 청국장 고오지 발효중에 증가하였다가 숙성기간중 감소하였다. 또한 연지질(憐脂質)과 당지질획분(糖脂質劃分)들의 발효숙성중(醱酵熟成中)의 구성성분의 변화에 있어서 특히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및 포스파티딜 콜린의 변화가 주목되었고 또 디-갈락토실 디-글리세리드가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한편, 중성지질(中性脂質) 및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들의 구성 지방산(脂肪酸)중 주요성분은 리놀레산이었으며 당지질(糖脂質)과 연지질(憐脂質)에서는 팔미트산이었고 특히, 다른 지질획분(脂質劃分)에 비해 당지질(糖脂質)에는 리놀렌산 함량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발효숙성(醱酵熟成) 결과 연지질(憐脂質) 및 당지질획분(糖脂質劃分)들에서 포화지방산(脂肪酸) 함량이 감소한 반면 불포화도가 높은 지방산(脂肪酸)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 PDF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한 초등학생의 우리 전통 식생활에 대한 인식 조사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ceptions of traditional Korean food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 이경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1호
    • /
    • pp.86-97
    • /
    • 2013
  • 본 연구는 전국 8개 도시지역 초등학교 5학년생을 대상으로 건강신념모델에 기초하여 초등학생의 식습관과 관련한 질병 가능성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건강 행동으로서 우리 전통 식생활의 실천에 따른 장점 (행동 수행시의 이득) 및 어려움 (장애 요인에 대한 인식), 그리고 식이 자아효능감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조사대상 초등학생들은 남녀 모두 매일 세끼 식사를 하는 편이었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식사를 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식사나 간식을 규칙적으로 먹는 정도와 야참 섭취는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그리 양호한 편은 아니었다. 식품선택 습관에 있어 남녀 모두 밥 위주의 식사와 매끼 김치와 채소반찬을 먹는 정도는 4.0 이상으로 높았으나 그 이외의 과일, 생선, 두부나 된장류, 고기류, 단 음식의 섭취는 보통 정도 수준으로 양호한 수준은 아니었다. 초등학생들은 남녀 간의 차이 없이 자신의 식생활과 관련하여 질병 가능성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보통 정도에 불과하여 질병 위협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았으며, 특히 질병 가능성에 대한 인식보다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더 낮았다. 그들은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면 영양과 건강 측면에서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기호 측면에서도 영양 측면보다는 낮으나 비교적 좋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그들은 우리 전통식생활에 대해 비교적 높은 자부심을 나타내었다. 초등학생들은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는데 있어 전반적으로는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항목별로 볼 때 습관이나 기호보다는 이용성과 조리기술에서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의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에 대한 식이 자아효능감은 비교적 높은 편이었고 식행동의 대부분 항목과 식품 선택 습관의 모든 항목에서 자신이 있다고 하였다. 반면에 자기 조절 항목 중 음식을 권할 때 거절하기와 음식 앞에서 먹지 않고 참기, 그리고 전통음식 조리에는 다소 자신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들은 질병 가능성이나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우리 전통 식생활 실천에 대한 행동 수행시의 이득에서는 남녀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는데 있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덜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식이 자아효능감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았다. 초등학생의 식습관은 식이 자아효능감 (${\alpha}$ = 0.675), 질병 가능성에 대한 인식 (${\alpha}$ = 0.581), 행동 수행시의 이득 (${\alpha}$ = 0.339),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alpha}$ = 0.143) 순으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식이 자아효능감, 질병 가능성에 대한 인식, 장애 요인에 대한 인식,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초등학생들의 식습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들이었고 이들 요인에 의한 설명력은 53.5%이었다. 그중 식이 자아효능감이 초등학생의 식습관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ta}$ = 0.472).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은 식습관이 우리 전통 식생활 측면에서 볼 때 보통 정도로 우려할 정도는 아니나 바람직하다고 볼 수는 없었고, 자신의 식생활과 관련하여 질병 가능성이나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높지 않은 편이었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그들의 바람직하지 못한 식생활 또는 식습관과 관련한 질병 가능성과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그들은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면 영양, 건강, 기호 측면에서 좋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우리 전통 식생활에 대한 자부심도 높은 편이었다. 또한 그들은 우리 전통 식생활을 실천하는데 있어 전반적으로 크게 어려움을 느끼지 않았고 전통식생활 실천에 대한 식이 자아효능감도 비교적 높은 편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가정과 사회에서 전통음식을 접할 기회가 적고 전통음식 조리에 대해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먹어보지 않은 음식에 대한 식이 자아효능감이 낮았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에게 우리 전통 식생활에 관심을 가지고 더 많이 섭취하도록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조리 활동이 포함된 우리전통 식생활 교육과 더불어 가정이나 사회에서 우리 전통음식을 접할 기회를 많이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

비만세포에서 시판 간장 유래 다당류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 of Polysaccharide Derived from Commercial Kanjang on Mast Cells)

  • 고유진;이경란;류충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69-577
    • /
    • 2013
  • 간장은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으로써 최근 항암 효과, 항균작용, 항산화능, 항혈전 효과 등의 효능이 보고되고 있다. 한국의 간장은 콩과 밀을 주요 원료로 사용한다. 콩의 세포벽으로부터 유래되는 다당류는 효소적 가수분해에 저항성이 있으므로, 발효가 끝난 후에도 간장에 잔존하게 되며 이것을 간장 유래 다당류(Kanjang polysaccharides, KPS)라 부른다. 본 연구에서는 산분해법과 양조법으로 제조된 시판 간장인 A~T의 20종의 투석물로부터 다당류를 제조하고, 비만세포에서 염증성 cytokine의 방출과 mRNA의 발현에 대한 KPS의 효과를 실험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였다. RBL-2H3 세포에서 KPS의 처리는 histamine과 ${\beta}$-hexosaminidase의 방출을 현저히 억제시켰다. 자극된 HMC-1 세포에서 KPS의 처리는 염증성 cytokine인 IL-6, IL-8, TNF-${\alpha}$의 방출 및 mRNA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특히, 양조간장으로부터 유래된 KPS는 산분해 간장보다 비만세포에서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KPS는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을 억제시키는데 효과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Questionnaire Survey of the Methods Used in Household Doenjang Production in Korea

  • Ryu, So Young;Lee, Sang Yoo;Woo, So Young;Kang, Seung Yoon;Song, Jeonghun;Jeong, A-Yeong;Chun, Hyang Sook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2-350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s used in household doenjang (Korean soybean paste) production. Nine hundred forty-three responses were obtained using a nationwide, questionnaire-based survey (2018-2019) with non-probabilistic snowballing sampling.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respondents were primarily over the age of 50 years (97.1%) and female (97.9%). In addition to soybeans, the most used ingredients were red pepper (85.8%) and charcoal (85.5%), which most respondents obtained through direct farming (50.4-59.9%). Seasonal production occurred later in the higher latitude regions (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do) (p < 0.01), which have lower average temperatures, and the fermentation period was shorter in the lower latitude regions (Jeolla-do, Gyeongsang-do, Jeju-do) (p < 0.01), which have higher average temperature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eason when doenjang was made, with most production occurring during January and February (81.1%). Most respondents (71.3%) made doenjang using homemade meju (soybean block used as a starter) in a traditional way to allow the microorganisms to be naturally inoculate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opics such as starter development, standardized production, and safety of household doenjang.

스피루리나를 첨가하여 제조한 콩다식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Dasik with Spirulina)

  • 김혜정;김미연;이윤진;김미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99-904
    • /
    • 2008
  • Dasik is a type of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ery that is kneaded with various grains, nuts or herb flour and honey and then pressed with a decorative press. Soybeans are a rich in protein, lipids, dietary fiber, minerals and fat soluble vitamins. Spirulina is a functional food that contains protein, lipids, carbohydrates, minerals, vitamins, dietary fiber and pigments. In this study, soybean Dasik containing spirulina was developed in an attempt to provide an easy method of incorporating spirulina into daily dietary life.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oybean Dasik with spirulina that was developed here. Specifically, 0, 10, 20 and 30% spirulina was added to the soybean powder that was used to prepare soybean Dasik. Soybean Dasik that contained 30% spirulina had a higher moisture content and lower hardness when compared to other groups. In addition, the L, a and b value decreased as the level of spirulina increased. Furthermo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ybean Dasik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addition of spirulina. Specifically, the $IC_{50}$ values of the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ntrol group were 76.6 mg/mL and 100.7 mg/mL, respectively, whereas these values were 26.3 mg/mL and 32.9 mg/mL, respectively, in Soybean Dasik that contained 30% spirulina. When a sensory evaluation was conducted, the overall preference decreased as the level of added spirulina increased. When the buying intension was evaluated, the control group had the highest score (7.8), followed by that of the Dasik that contained 20% spirulina (7.2) The buying intention was lowest for the Dasik that contained 30% spirulina. In conclusion, Soybean Dasik that contained up to 20% spirulina would be maket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