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e secret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5초

산업보안범죄의 실태 및 대응방안 (Industrial Security Crime's Realities and Counter-Measure)

  • 서봉성;임유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2호
    • /
    • pp.141-149
    • /
    • 2015
  • 현대사회의 무한경쟁시대는 경제적 가치가 매우 큰 최첨단 과학기술을 확보 선점하는 것이 국가의 경쟁력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국가의 핵심기술이나 기업의 최첨단 기술을 탈취해가는 산업보안범죄는 국가의 경제안보에 위협적인 피해를 줄 수가 있고, 방위산업 분야의 경우 국가안보와 직결되어 있는 심각한 범죄에 해당한다. 한번 유출된 국가의 핵심기술과 기업의 영업비밀은 회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엄격한 처벌과 대책으로 산업보안 침해범죄를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 일부 선진외국에서도 국가의 경제 및 국가안보와 직결된 산업보안범죄에 대해서는 국가차원에서 관리 가능하도록 법과 제도들이 운영되고 있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국가핵심기술이 침해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으며, 아울러 기업의 핵심적인 산업기술을 유출시키는 방법도 과거 저장된 문서를 단순하게 복사하거나 출력해 나가는 수단이 아니라, 최첨단 IT기술 발달로 인해 그 유형과 행태도 다양해졌다. 따라서 국가의 핵심기술과 기업의 영업비밀을 침해하는 산업보안범죄에 대한 피해는 상당히 위협적이기 때문에 산업보안을 단순히 기술유출방지라는 시야가 아닌 산업과 관련된 모든 손실방지와 지적재산보호라는 넓은 범주에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9년 개정 영업비밀보호법 및 산업기술보호법에 대한 검토: 민·형사적 구제를 중심으로 (Review of the Revised 2019 Trade Secret Protection Act and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 Focusing on Civil and Criminal Remedies)

  • 조용순
    • 시큐리티연구
    • /
    • 제61호
    • /
    • pp.333-352
    • /
    • 2019
  • 2019년 1월과 8월 영업비밀보호법과 산업기술보호법의 각각의 개정이 있었다. 이들 법률의 개정은 기술 보호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민·형사적 구제와 관련하여 몇 가지 더 보완되어야 할 사항이 있다. 민사구제 분야와 관련하여 영업비밀보호법과 산업기술보호법의 경우 3배 손해배상 도입에도 불구하고, 입증자료제출과 관련된 규정은 정비가 되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입증자료의 제출 범위 확대, 손해액 산정을 위한 서류인 경우의 제출 강제, 서류제출 명령을 따르지 않는 경우 상대방의 주장을 진실한 것으로 인정하는 등 개정 특허법의 수준으로 정비될 필요가 있다. 한편 산업기술보호법은 손해배상규정이 도입되었지만, 손해액 추정규정이 없는 상태이므로, 일실이익·이익액·로열티 상당액에 대한 추정규정이 필요하다. 형사구제와 관련하여서는 영업비밀보호법과 산업기술보호법 모두 형벌의 상향화는 이루어졌지만 양형규정이 정비되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의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최근의 기술유출은 개인의 일탈을 넘어 조직적인 유출로 확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가담한 기업 등 관련 법인의 처벌에 대한 중과(重課)와 관련하여 개정이 필요하다. 일본과 미국의 경우 법인 중과 규정을 두고 있다는 점을 참고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몰수제도와 관련하여서는 범죄수익은닉규제법에서는 방위산업기술은 국내유출도 몰수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반면에, 영업비밀과 산업기술은 '국외'유출만 몰수의 대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이의 개정도 필요하다.

기술침해 행정조사의 실효성제고를 위한 분쟁조정 방안 -형사적 구제방안을 중심으로- (Methods to Introduce Criminal Remedies to Enahnce Effectiveness of Administrative Technology Misappropriation Investigation)

  • 강병수;김용길;박성필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32권4호
    • /
    • pp.53-85
    • /
    • 2022
  •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are vulnerable to trade secret misappropriation. Korea's legislation for the protection of SMEs' trade secrets and provision of civil, criminal, and administrative remedies includes the SME Technology Protection Act,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the Industrial Technology Protection Act, the Mutually Beneficial Cooperation Act, and the Subcontracting Act. Among these acts, the revised SME Technology Protection Act of 2018 introduced the "administrative technology misappropriation investigation system" to facilitate a rapid resolution of SMEs' technology misappropriation disputes. On September 27, 2021, Korea's Ministry of SMEs announced that it had reached an agreement to resolve the dispute between Hyundai Heavy Industries and Samyeong Machinery through the administrative technology misappropriation investigation system. However, not until 3 years and a few months pas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could it be used to resolve an SME's technology misappropriation dispute with a large corporation. So there arose a question on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Therefore, we conducted a comparative legal analysis of Korea's laws enacted to protect trade secrets of SMEs and to address technology misappropriation, focusing on their legislative purpose, protected subject matter, types of misappropriation, and legal remedies. Then we analyzed the administrative technology misappropriation investigation system and the cases where this system was applied. We developed a proposal to enhance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The expert interviews of 4 attorneys who are experienced in the management of the system to check the practical value of the proposal. Our analysis shows that the lack of compulsory investigation and criminal sanctions is the fundamental limitation of the system. We propose revising the SME Technology Protection Act to provide correction orders, criminal sanctions, and compulsory investigation. We also propose training professional workforces to conduct digital forensics, enabling terminated SMEs to utilize the system, and assuring independence and fairness of the mediation and arbitration of the technology misappropriation disputes.

Legal Foundation of Silicon Valley: Lessons for Asian Hi-Tech Districts

  • Timberman, Alex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3권1호
    • /
    • pp.1-24
    • /
    • 2014
  • Policy planners in Asia readily covet high technology districts and regional systems of innovation such as Silicon Valley. We examine the law's role, by way of covenants not to compete (競業禁止條項) in the development of Silicon Valley by reviewing the literature from 1999 through 2013. The research suggests that in certain high-tech districts such as Silicon Valley, there are greater gains in the innovation of a region by prohibiting CNCs. While we emphasize CNC law as the main legal determinant to Silicon Valley's success, the application of trade secret law and the inevitable disclosure doctrine are also factors that can aid or restrict the mobility and knowledge spillover of a region. Even with much explored, perspectives are lacking from a regional innovation systems analysis, and more so in the context of Asian nations. To tackle these gaps, three analytical frameworks are presented that entails labor law, law and economics, and law and innovation. And from within the law and innovation framework, research is introduced in the hope that future discussions on Asian regional innovation systems consider the legal foundation of Silicon Valley.

A framework for Crowdfunding platforms to match services between funders and fundraisers

  • Hasnan, Baber
    • 산경연구논집
    • /
    • 제10권4호
    • /
    • pp.25-31
    • /
    • 2019
  • Purpose - A framework is suggested in this paper which will help crowdfunding platforms to match projects according to expectations of funders, leading to successful campaigns and thus increase the profitability of the crowdfunding platfor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paper is theoretical and conceptual in nature which proposes a model for crowdfunding platforms to match expectations of crowds with project fundraisers. Results - Crowdfunding platforms are going through incremental innovations in order to match customer (funders and fundraisers) expectations. Leading crowdfunding platforms like Kickstart holds benchmark for other players in the market but the secret of success lies in matching quality projects with the appropriate funders. Crowdfunding platforms have to securitize the projects and allow only quality projects but also provide a wide range of options for funders. Thus, to manage this trade-off between quality and quantity of options, a framework is proposed. Conclusions - Crowdfunding platforms have to adopt a model which will help them in providing a perfect match between crowds and fundraisers. Each member of the crowd and every project will be assigned a category and rating based on the past records. Securitization of projects will help to entertain only demanded projects which will reduce the number of failing campaigns.

한국 영화에 재현된 중국인 형상의 역사적 고찰 (A Study on Chinese Character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from under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2000s)

  • 김종수
    • 비교문화연구
    • /
    • 제27권
    • /
    • pp.105-122
    • /
    • 2012
  • This article aims that Chinese characters represented in Korean films have been explored for historical consideration of Korean's viewpoint on Chinese from early modern to the present day.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Chinese had been hateful and feared by most of Korean because Korean had been acted high-handedly by chinese in early modern time and had covertly regarded chinese as threatening competitors in economical part of the colony, refered to the chinese characters represented in the films, For the Lover(1928) and Secret of Chinese Street(1928). Chinese had been called as enemy forces in Korean movies, such as Marines are Gone(1963), Dragon competed with tiger(1974) made with Korean battle field setting and Manchuria setting developed a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fter Korean War in the 1960-70s maintained the cold war system in the World. According to analyzing chinese characters depicted in Failan(2001), A Good Rain Knows(2010), Korean public have a friendly attitude with contemporary Chinese as China has been the great trade partner of Korea with interdependent relationship after 1992, the year of Korea have established diplomatic ties with China.

E-Discovery를 위한 디지털 증거 전송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Evidence Transmission System for E-Discovery)

  • 이창훈;백승조;김태완;임종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171-180
    • /
    • 2008
  • 2006년 12월 미국의 민사소송규칙(FRCP) 개정으로 e-discovery(전자증거개시) 제도가 시행되고 있으나, 이 제도는 디지털 증거의 관리와 제출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도한 비용과 시간의 낭비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들을 가지고 있다. 현재 e-discovery 제도의 국내 도입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논문에서는 e-discovery의 절차 중 디지털 증거를 소송상대방에게 제출하는 production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민감한 자료 유출, 읽기 불가능, 위 변조 및 손상 등과 같은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이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비용과 시간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안전한 온라인 디지털 증거 전송 시스템을 제안한다.

국내 무용공연을 위한 현행지식재산권법 적용의 한계 (The Limits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for Dance Performance)

  • 조성희;김은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06-413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시행 중인 현행 지식재산권법이 무용공연작품을 창작할 때 발생하는 지식재산에 대한 법적용의 한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21세기 이후 무용작품이 현행지적재산 관련법에서 어떻게 보호되고 있으며, 그 법들이 가지는 한계를 문헌을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무용작품에서 발생하는 지식재산을 보호할 가능성이 있는 현행법을 정리하고 둘째, 융 복합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안무들을 고찰하였다. 셋째, 앞에서 언급된 지식재산권들이 가지는 한계를 정리하였다. 연구결과 무용지적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지적재산권인 저작권, 특허, 상표법, 영업비밀이 있었다. 연구결과, 공연예술은 융합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서도 대중과 소통할 수 있는 새로운 양식을 개발하지만 새로운 양식은 정작 법으로 그 권리를 완벽히 보호받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시행중인 지적재산권법 중 오늘날 행해지는 안무 즉 무용창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적재산들을 보호할 수 있는 현행법들을 알아보고, 그 한계를 요약 정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HSM을 이용한 효율적인 파일시스템 암호화 메커니즘 (Efficient File System Level Encryption Mechanism Using HSM)

  • 강철오;원종진;박성진;류재철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849-858
    • /
    • 2013
  • 최근 모바일 컴퓨팅 환경 변화로 사용자 단말의 분실, 도난, 악성코드에 의한 위협이 증가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된 중요 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대응책으로 사용자 단말의 인증, 저장 자료 암호화 솔루션이 적용되어야 한다. 암호화 솔루션은 암호학적 안전성과 암호 연산에 따른 성능 이슈가 trade-off 관계에 있다. 파일 암호화에 많이 사용되는 CBC 모드는 IV에 대한 재사용 불가, 예측불가능, 무결성 보장 요구사항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HSM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파일시스템 레벨의 암호화 솔루션 구현 시, IV 운용에 대한 요구사항을 충족하며, 효율적인 암호 세션 관리를 통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암호화 방식을 제안하고, 제안된 방식의 설계 및 구현을 통해 기존 방식에 비해 성능 측면에서도 우수함을 증명한다.

국내 물질안전보건자료 영업비밀 심사제도의 도입·운영에 대한 검토 및 제안 (Examination and Suggestions on Introducing and Administering Confidential Information Review on Material Safety Data Sheets)

  • 이권섭;조지훈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99
    • /
    • 2018
  • Objectives: From a policy perspective, the introduction of confidential information reviews is a vital task for expanding workers' right to know and improving hazardous materials information communication. In this study, rational methods for introducing and administering confidential information reviews were examined as a part of advancing chemical information communication. Methods: The domestic status, social demands, and control cases from other countries about confidential information in material safety data sheets(MSDSs) were all examined. Additionally, principles for introducing MSDS confidential information review, what needs to be revised prior to its introduction, and procedures and manners of reviewing confidential information were suggested. Results and Conclusions: When composition information on MSDS needs to be protected in the EU and Canada, confidential information should be claimed and then approved by competent authorities with a principle of reviewing confidential information prior to rescinding information from MSDS. Applying the same principle, certain information on an MSDS that needs to be protected should be reviewed and approved in Korea. As a result, the MSDS is communicated with approval numbers replacing composition information. MSDS confidential information review has five steps, including deciding whether chemicals claimed to be confidential are excluded from applying for a confidentiality exemption, the names and concentration ranges of ingredients are adequate, and the claimed information is valid in terms of confidenti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