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uch point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3초

Unveiling the Effect of TechTubers' Unboxing Videos on Consumer Buying Behavior

  • Md Imran HOSSAIN;Md Mahiuddin SABBIR;Hyung Jun KIM
    • 융합경영연구
    • /
    • 제11권4호
    • /
    • pp.41-52
    • /
    • 2023
  • Purpose: The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echTubers' unboxing videos on consumer buying behavior by highlighting the role of product touch, visual and verbal sensory cues. The study integrates the vicarious touch and the dual coding theory to analyze the Smartphone purchase behavior of Generation Z.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349 respondents who were viewers of YouTube unboxing videos. A structured questionnaire using a 5-point Likert scale was employed as a survey instrument. Convenience sampling technique was utilized to select the sampl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Results: Results reveal that vicarious touch and verbal descriptio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Generation Z's purchase intention of Smartphone. Moreover, purchase intention positively affects Generation Z's actual purchase behavior of Smartphone. However, the visual imag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s: The study offers significan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study adds new knowledge to the extant literary field by highlighting the impact of digital product presentation in the form of Unboxing videos on purchase intention for technology products. Moreover, the study suggests content sponsorship and advertising opportunities for marketers in collaboration with the TechTubers on YouTube unboxing video platform.

터치스크린에서의 모음의 방향성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식의 설계 (A Design of Korean Input Method using Direction of Vowel on the Touch Screen)

  • 임양원;임한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924-932
    • /
    • 2011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기기의 보급이 활성화되었지만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 대한 한글 입력 방식은 키패드를 이용한 버튼식 방식이 대부분이며, 터치를 이용하더라도 기존 쿼티키를 그대로 적용한 인터페이스를 채택하여 터치만 할뿐 기존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서는 제한적인 화면의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및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한글입력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모든 모음에 한글 창제원리에 맞는 방향성을 할당하여 드래그하는 방법으로 모음을 입력하도록 하였다.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식보다 입력에 필요한 한글입력자판을 단순화하면서 한글 입력의 신속성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바일용 저전력 터치 스크린 제어 회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ow Power Touch Screen Controller for Mobile Devices)

  • 박상봉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79-283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용 터치 스크린에서 손가락이 닿는 부분의 좌표를 계산하여 출력하는 저전력 고속 터치 제어 회로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시스템 클럭은 10MHz이고, 채널 수는 21개, 대기 상태 전류는 $20{\mu}A$ 이고, 다이나믹 레인지는 140pF ~ 400pF 이며, 응답 시간은 0.1ms/frame이다. 저전력을 위한 전력 관리 회로와 보드, 습도, 온도에 따른 자동 임피이던스 보정 기능과 주변 키 및 패턴 간섭 억제 기능 및 직렬 인터페이스 I2C, SPI 기능을 구현하였다. 설계된 제어 회로의 성능은 FPGA와 $0.18{\mu}m$ CMOS 표준 공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현된 제어회로는 모바일 폰이나 스마트 리모트 컨트롤로에 응용할 수 있도록, 다이아몬드 형태를 이용한 2 레이어 ITO용 모듈과 원가절감을 위한 단일 레이어 ITO 모듈에 사용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ITO 터치 패널 이용한 교시 제어 연구 (Development of Direct Teaching Control using ITO Touch Panel)

  • 윤재석;남상엽;김기은;김동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3호
    • /
    • pp.206-21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ITO 터치 패널 센서를 로봇의 피부로 이용하여 로봇 팔을 제어하는 물리적 인간-로봇 상호작용 방법을 제안한다. 사람과 로봇간의 물리적 상호작용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힘/토크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과 작은 소자 타입의 센서를 배치하여 만든 촉각 센서를 사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센서들은 가격적인 측면이나 성능적인 측면에서 장단점이 존재하며, 본 연구에서는 터치 패널을 로봇의 피부로 사용하여 물리적 상호작용을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전체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험을 통해 힘/토크 센서의 정확성과 소자 타입 센서의 경제성을 보이고자 한다. 실험은 터치 패널에서 기준점을 잡아 제스처를 생성하여 로봇 팔을 제어하는 방법과 엔드이펙터에 장착하여 로봇 팔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진행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해 터치 패널을 이용한 교시 제어의 가능성도 확인하였다.

다중작업에의 적용을 위한 Fitts' Law 확장 : 운전 중 IVIS 조작 작업을 대상으로 (Extended Fitts' Law for Dual Task : Pointing on IVIS during Simulated Driving)

  • 이민규;김희진;정민근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67-27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take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ouch key for touch-screen-based in-vehicle information system (IVIS) and to suggest a new Fitts' law formula that is added a driving speed parameter. Many studies already have shown that Fitts' law is well fitted in various devices for primary tasks, but there is no study of Fitts' law for secondary task in dual-task situation. Fitts' law may not be applied to the secondary task as it is, because the secondary task performance can be affected by the amount of attention for the primary task. To verify this, we carried out an experiment that showed whether pointing task to touch-screen-based IVIS during driving is affected by driving speeds or not. In the experiment, 30 people were volunteered for participants and the participants carried out driving task and pointing task on the screen of IVIS simultaneously. We measured the time to point a touch key on IVIS for every condition (3 driving speeds${\times}5$ touch key sizes${\times}7$ distances between steering wheel and touch key). As a result, there was an effect of driving speed on the pointing time. As we extended the index of difficulty of the conventional Fitts' law formula by incorporating driving speed, we established an extended Fitts' law formula for pointing on IVIS, which showed better accordance with dual task situation. This study can be evidence that secondary task performance is affected by degree of concentration on primary task, and the extended Fitts' law formula can be useful to design interfaces of IVIS.

저사양 임베디드 시스템에서의 실시간 응답이 가능한 터치 기능 연구 (Research on Touch Function capable of Real-time Response in Low-end Embedded System)

  • 이용민;한창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7-41
    • /
    • 2021
  • 본 논문은 낮은 사양의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터치 입력시에 실시간 응답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보간법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실시간 응답 처리가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구현하는 연구에 관한 것이다. 본 실험에서는 2점 데이터에서 1차 다항식을 도출하여 임의 데이터를 추정하는 선형 보간 알고리즘과 3점 데이터에서 2차 다항식을 도출하여 임의 데이터를 추정하는 라그랑지 (Lagrange) 보간 알고리즘이 적용되었다. 실험결과로써, 라그랑지 보간법이 선형보간법보다 수식이 복잡하여 처리속도가 느려서 글씨도 매끄럽지 못함을 알게 되었다. 선형 보간법을 사용시 화면에 표시되는 속도가 라그랑지 보간법 사용시보다 2.4배 빠름을 확인하였다. 실시간 응답특성을 위해서는 알고리즘 자체의 우수성보다는 실행파일 크기가 더 작은 알고리즘이 더 유리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저사양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실시간 응답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선형보간법 알고리즘 채용이 라그랑지 보간법을 사용하는 것보다 더 우수한 실시간 응답특성의 터치동작을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기업박물관의 브랜드 접점 활용연구 : 브랜드 시장주도와 소비자 인사이트 관점에서 (A Study of Utilizing Brand Touch Point of Corporate Museum : In terms of the Market-Driving Brand and Consumer Insight)

  • 김은정;장동련;홍성민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163-178
    • /
    • 2007
  • 최근 브랜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소비자들의 감성적 문화적 욕구가 증가하면서 기업들은 문화를 이용한 메세나의 지원이나 사회 환원 등을 통하여 긍정적 브랜드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그 일환으로 브랜드 서비스공간들을 만들어 소비자들에게 문화공간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브랜드 서비스공간들은 소비자들에게 별다른 감흥을 주지 못하고 있다. 치열한 브랜드의 경쟁 속에서 파워 브랜드가 되기 위해서는 브랜드 이미지를 높임과 동시에 브랜드를 하나의 문화, 더 나아가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게 해야 한다. 브랜드를 라이프스타일로 자리 잡게 하기 위해서는 신제품이나 신시장의 창출로 브랜드가 시장을 주도하는 전략을 펼쳐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소비자와의 접점을 통해 소비자들의 내면의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든 요소들을 한꺼번에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기업박물관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업은 박물관이라는 통로를 통해 기업의 역사를 되돌아봄으로써 미래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뿐 아니라, 문화브랜드로도 거듭날 수 있다. 따라서, 기업박물관이 소비자에게는 단순한 브랜드 공간이 아닌 문화, 교육의 공간이 되고, 기업에게는 긍정적 기업이미지를 제고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기업과 소비자가 만나는 접점 공간으로써 소비자들의 내면의 욕구를 파악하고, 반응을 관찰하는 공간으로 브랜드 시장 주도전략으로의 활용성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휴대용 POC 시스템을 위한 원터치형 면역 센싱 랩온어칩 (One-Touch Type Immunosenging Lab-on-a-chip for Portable Point-of-care System)

  • 박신욱;강태호;이준황;윤현철;양상식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6권8호
    • /
    • pp.1424-1429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 simple and reliable one-touch type multi-immunosensing lab-on-a-chip (LOC) detecting antibodies as multi-disease markers using electrochemical method suitable for a portable point-of-care system (POCS). The multi-stacked LOC consists of a PDMS space layer for liquids loading, a PDMS valve layer with 50 im in height for the membrane, a PDMS channel layer for the fluid paths, and a glass layer for multi electrodes. For the disposable immunoassay which needs sequential flow control of sample and buffer liquids according to the designed strategies, reliable and easy-controlled on-chip operation mechanisms without any electric power are necessary. The driving forces of sequential liquids transfer are the capillary attraction force and the pneumatic pressure generated by air bladder push. These passive fluid transport mechanisms are suitable for single-use LOC module. Prior to the application of detection of the antibody as a disease marker, the model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anti-DNP antibody and anti-biotin antibody as target analytes. The flow test results demonstrate that we can control the fluid flow easily by using the capillary stop valve and the PDMS check valves. By the model tests, we confirmed that the proposed LOC is easily applicable to the bioanalytic immunosensors using bioelectrocatalysis.

두가지 피에조 엔진의 사용자 만족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between two different piezoelectric engines)

  • 임현미;이규복;이완선;최소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269-277
    • /
    • 2017
  • 목적: 치과의사의 사용 만족도 비교를 통해 두 가지 피에조 엔진의 성능을 비교평가 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의 피에조 엔진을 평가하였다:TRAUS XUS10 (Saeshin), PIEZOSURGERY touch (Mectron). 20명의 치과의사가 11개 평가항목에 답하였고, 평가결과는 Likert의 5점 척도를 적용하여 수치화하였다. 핸드피스 소음평가는 10초 동안 5회 측정하여 최고소음을 비교하였다. 핸드피스 발열평가는 세 부위에서 3분동안의 발열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평가항목 중 '주수펌프 모터의 소음'에서 TRAUS XUS10이 PIEZOSURGERY touch보다 유의하게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 '기능key의 만족도'와 '핸드피스 발열정도'는 PIEZOSURGERY touch가 더 우수했다. 소음 최대값은 TRAUS XUS10이 56.6 dB, PIEZOSURGERY touch는 56.0 dB였다. 두 기기 모두 3분 작동 후 $41^{\circ}C$ 미만의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안전기준을 만족하였다. 결론: TRAUS XUS10는 '기능 key' 및 '핸드피스 발열정도'에서 약간의 개선을 한다면 그 외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는 PIEZOSURGERY touch과 견줄만한 성능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