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saponin from Korean Red Ginseng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인삼(韓國人蔘)의 Saponin에 관(關)한 연구(硏究)제3보(第三報) -산지별(産地別), 부위별(部位別), 재배기간별(栽培期間別) 인삼(人蔘) 및 가공중(加工中) Saponin함량(含量)에 관(關)하여- (Saponin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Part III) -Saponins of ginseng by the cultivating locations, sampling seasons, plant parts, growing stages and the processings-)

  • 조성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0권2호
    • /
    • pp.188-204
    • /
    • 1977
  • 인삼(人蔘)의 유효성분(有效成分)으로 알려진 saponin을 Thin layer chromatography로 전개(展開)하여 Digital Densitometer를 사용(使用)하여 한국인삼(韓國人蔘)의 산지별(産地別), 부위별(部位別), 재배연도별(栽培年度別) saponin함량(含量) 및 그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를 정량(定量)하고, 홍삼(紅蔘) 및 인삼(人蔘)엑기스 제조중(製造中) 일어나는 saponin함량(含量)의 변화(變化)를 연구(硏究)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산지별(産地別) saponin 함량(含量)에는 별로 차이(差異)가 없었으며,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군(群)과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군(群)의 조성비(組成比)는 ($1.7{\sim}2.6$) : 1정도였다. 2. 부위별(部位別)로 볼 때, saponin함량(含量)은 미삼(尾蔘)이 12.7%로서 3.3%인 백삼(白蔘)의 4배에 가까운 높은 값을보였다. 그리고 saponin fraction별(別)로 볼 때,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도 미삼(尾蔘)이 백삼(白蔘)보다 많으나,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은 반대(反對)로 미삼(尾蓼)이 백삼(白蔘)보다 적었다. TLC의 2차원전개결과(次元展開結果), ginsenoside-Rd는 백삼(白蔘)에만 나타나고, 미삼(尾蔘)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반면(反面), Rf와 $Rg_1$은 미삼(尾蔘)에서는 분리(分離)되었으나, 백삼(白蔘)에서는 $Rg_1$만이 존재하고, Rf는 분리(分離)되지 않았다 3. 재배연도별(栽培年度別) 근부(根部)의 saponin함량(含量)은 재배기간(栽培其間)에 따라 일정(一定)한 경향(傾向)을 찾아볼 수 없으나, 인삼근당평균(人蔘根當平均) saponin함량(含量)은 2년근(年根)이 90.3mg, 3년근(年根)이 254.2mg. 4년근(年根)이 404.2mg, 5년근(年根)이 996.9mg, 6년근(年根)이 1377.1mg으로 재배기간(栽培其間)이 길어질수록 현저(顯著)하게 높았다. 그리고 인삼지상부(人蔘地上部)의 saponin함량(含量)도 재배기간(栽培其間)에 길어질수록 높아지는 경향(傾向)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saponin fraction별(別)볼 때는 $5{\sim}6$년(年)의 수확기(收穫期)에 가까워질수록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4. 홍삼제조중(紅蔘製造中)의 saponin fraction별(別) panaxad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도 건삼(乾蔘)에 비(比)하여 홍삼(紅蔘)이 낮아졌으나, panaxatriol을 aglycone으로 하는 saponin fraction의 조성비(組成比)는 건삼(乾蔘)에 비(比)하여 홍삼(紅蔘)이 오히려 높았다. 홍삼(紅蔘)의 Thin layer chromatogram에는 건삼(乾蔘)의 그것에 나타나지 않았던 수개(數個)의 미확인(未確認) spot를 더 볼 수 있었다. 5. Ethanol과 물로 미삼(尾蔘)을 추출(抽出)하여, 29.9%의 인삼(人蔘)엑기스를 얻었는데, 이 엑기스에는 미삼(尾蔘)으로부터 추출수율(抽出收率)이 94.2%에 상당(相當)하는 saponin이 이행(移行)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 PDF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Activity of Aged Ginseng (Panax ginseng)

  • Chung, Soo Im;Kang, Mi Young;Lee, Sang Chul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24-30
    • /
    • 2016
  • Fresh ginseng roots were aged in an oven at $80^{\circ}C$ for 14 d. The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activities of this aged ginseng,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white and red ginsengs, were evaluated. In in vitro antioxidant assays, the ethanolic extracts from aged ginseng showed significantly highe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than those of the white and red ginsengs. In in vivo antioxidant assays, mice were fed a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white, red, or aged ginseng powders. High fat feeding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lipid peroxidation and a substantial decrease in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in the animals. However, diet supplementation of ginseng powders, particularly aged ginseng, markedly reduced lipid peroxidation and enhanced the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aged ginseng has greater in vitro and in vivo antioxidant capacity than the white and red ginsengs. The aged ginseng also showed considerably higher total saponin,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indicating that its antioxidant capacity may have been partly due to its high levels of antioxidant compounds. This new ginseng product may be useful as a functional food with strong antioxidant potential.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저장기간(貯藏期間)에 따른 안정성(安定性) 비교(比較) 연구(硏究) (Study on Stability of Red and White Ginseng by Storage Years)

  • 최진호;변대석;박길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50-356
    • /
    • 1983
  •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을 실온(室溫)에서 장기보존(長期保存)하였을 때 인삼(人蔘)의 유효약리성분(有效藥理成分)으로 밝혀진 사포닌의 보존년수(保存年數)에 따른 함량변화(含量變化) 및 triol계(系)사포닌과 diol계(系)사포논의 비(比) 즉 PT/PD ratio 등을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존년수(保存年數)에 따라 총질소(總窒素), 조단백질(粗蛋白質) 및 조지방(粗脂肪)의 함량(含量)은 서서히 감소(減少)하였으나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사이에는 큰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2) 총(總)사포닌 함량(含量)은 보존년수(保存年數)에 따라 상당한 감소현상(減少現象)을 나타내었는데 그 정도는 홍삼(紅蔘)보다 백삼(白蔘)이 현저하였다. 3년(年)동안 보존(保存)했을 때 홍삼(紅蔘)은 12%만 감소(減少)한 반면 백삼(白蔘)은 27%나 감소(減少)하였다. (3) HPLC로 정량(定量)한 주성분(主性分)사포닌의 함량(含量)도 보존년수(保存年數)에 따라 감소현상(減少現象)이 뚜렷하였는데 보존기간(保存期間) 3년(年)이 경과(經過)했을 때 홍삼(紅蔘)은 16.8%만이 감소(減少)한 반면 백삼(白蔘)은 같은 기간(期間)에 무려 42.2%가 감소(減少)하였다. (4) 보존년수(保存年數)에 따른 PT/PDratio를 보면 홍삼(紅蔘)은 0.646~0.694%의 범위내에 또 백삼(白蔘)은 0.414~0.428%의 범위내에 있어 홍삼(紅蔘)이 백삼(白蔘)에 비(比)해 PT/PD ratio가 약 50% 정도가 높았다. 이것이 홍삼(紅蔘)의 약리작용(藥理作用)에 깊이 관계(關係)할 것으로 생각된다. (5) 홍삼(紅蔘)과 백삼(白蔘)의 추출액(抽出液)의 가시부(可視部)의 변화(變化)를 보면 백삼(白蔘)이 홍삼(紅蔘)보다 증가폭(增加幅)이 더 크므로 불안정(不安定)함을 알 수 있고, 또 자외부(紫外部)의 변화(變化)를 보면 278nm에서 홍삼(紅蔘)의 흡광도(吸光度)가 백삼(白蔘)보다 크므로 홍삼(紅蔘)의 향미(香味)가 백삼(白蔘)보다 좋음을 알 수 있다.

  • PDF

Rhizopus sp.가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인삼 Saponin의 전환 (제1보) Ginsenoside-Rb$_1$에서 Ginsenoside-Rd로의 전환확인 (Conversion of Ginseng Saponin with the Enzyme Produced by Rhizopus sp. (Part 1) Confirmation of Conversion of Ginsenoside- Rb$_1$to Ginsenoside-Rd)

  • 김상달;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67-273
    • /
    • 1982
  • 미생물성 효소를 이용하여 인삼saponin중 조성비율이 가장 큰 ginsenoside-Rb$_1$을 약효면에서 보다 우수한 ginsenoside-Rd로 전환하고자 인삼부패균 중 Rhizopus 속의 한 균주를 선정하여 이 균주에서 얻은 효소를 ammonium sulfate 분별 침전법으로 조정제하여 사용하였다. 기질로 사용하기 위해 홍미삼 extract로부터 ginsenoside-Rb$_1$이 36.4%, ginsenoside-Rd 가 12.2%의 조성비율을 갖인 total saponin을 정제하였고 이어 ginsenoside-Rb$_1$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욱 정제한 결과 ginsenoside-Rb$_1$이 54. 5%, ginsenoside-Rd가 1.1%인 ginsenoside Rb group saponin을 얻었다. 이들 기질 saponin에 본 효소를 작용시켜 본 결과 두 기질 모두 다른 ginsenoside pattern에는 변화없이 ginsenoside-Rb$_1$만이 선택적으로 감소하고 반면에 ginsenoside-Rd의 함량이 비례적으로 증가됨을 TLC 및 HPLC의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로써 효소에 의한 인삼saponin의 선택적전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홍삼 및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주류첨가용 액상제제 개발 (Development of Liquid Phase Product from Red Ginseng and Medicinal Herbs for Alcoholic Beverage)

  • 김도희;조양희;조재선;함태식;이종완;이철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8권1호
    • /
    • pp.45-51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홍삼 농축액의 crude saponin과 생약재의 물추출물이 ADH와 ALDH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 생약재를 이용한 주류첨가용 액상제제 개발을 위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재료자체의 비중이 커서 용매비율을 낮게 한 갈근의 경우, 추출에 따른 고형분의 함량이 매우 낮았고, 3시간이후 고형분의 함량에는 변화가 없었다. 갈화, 지구자, 상엽의 경우는 4시간이후 고형분 함량의 변화가 없었다. 홍삼의 crude saponin, 상엽, 갈화, 갈근, 지구자의 경우 적정농도에서 ADH의 상대활성을 104-114%까지 증가함을 보였고, 상엽, 지구자는 ALDH의 상대활성을 102∼106%까지 증가시켰다. 알코올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 생약재를 원료로 액상제제를 제조하여 소주에 혼합한 후 1차 소비자 기호도 조사 결과, 경옥고향, 쌍화향, 칡향을 첨가한 세가지 시료 상호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고, 쌍화향을 첨가한 시료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 기호도 조사결과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 쌍화향을 첨가한 시료와 향 무첨가 시료, 시판중인 K사제품간의 2차 기호도 조사 결과, 세가지 시료 상호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인삼의 가공방법에 따른 일반성분 및 Ginsenoside 함량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Ginsenoside Contents of Different Root Parts of Ginsengs with Processing Method)

  • 최재을;남기열;이상국;김복용;조황식;황광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8-125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changes in general chemical composition, free sugar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act, and ginsenoside contents depending upon processing methods. Ginseng roots harvested from the same field were employed for the processing into white ginseng (WG), taegeuk ginseng (TG), red ginseng A (RGA, steamed one time), and red ginseng B (RGB, steamed three times). The fat content decreased by increasing duration of treatment and number of steaming treatmen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variation in contents of ash and carbohydrate depending on processing methods. Contents of sucrose and maltose was higher in Taegeuk and red ginseng than those of white ginseng. Steamed ginseng root (taegeuk and red ginseng root) showed higher amount of water extractable solid than the unsteamed white ginseng, but the variation of crude saponin content was not distinctive depending on processing methods. The contents of total ginsenosides increased by the order of white, taegeuk, red A, and red B root. In summary, chemical composition and total ginsenoside conten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part of root and processing methods, thus implies the importance of quality control as well as pharmacological activity of ginseng root.

팽화 가공에 따른 홍삼과 백삼의 성분변화 (Changes in the Chemical Components of Red and White Ginseng after Puffing)

  • 김상태;장지현;권중호;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5-361
    • /
    • 2009
  • 백미삼(지근), 홍미삼(지근), 홍삼절편Ⅰ(주근: 수삼-증삼-건조-습점-절편-건조) 및 홍삼절편II(주근: 수삼-절편-증삼-건조)을 puffing gun으로 팽화시켜 그 전후의 성분특성을 조사하였다. 팽화 후 기화로 인해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다른 일반 성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당의 경우 팽화 후 모든 시료에서 감소 경향을 보였으나 환원당의 경우 백미삼을 제외한 홍삼류 시료에서 증가 경향을 보였다. 모든 시료에서 조사포닌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홍삼류 시료들은 일부 ginsenoside에서 2배 이상의 증가량을 보였다. 또한 팽화 후 산성 다당체가 증가하였을 뿐만아니라 총 페놀성 화합물과 전자공여능의 경우 비슷한 경향으로 증가하여 팽화에 의해 항산화 활성이 전반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팽화 후 아미노산 함량 및 지방산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백미삼의 경우 불포화지방산에서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무기질 함량은 팽화 전후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모든 시료에서 일반 성분, 무기질 등의 함량변화 없이 약리활성을 가지는 조사포닌, 총 페놀성 화합물, 산성 다당체 등의 성분들이 팽화 가공으로 인해 증가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부가가치의 인삼 기능성 식품개발을 위하여 팽화가공법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Effect of Korean Red Ginseng Crude Saponin on Blood Chemical Parameters of Guinea Pigs Exposed to TCDD

  • Hwang, Seock-Yeon;Youn, Nae-Yo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43-49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ude ginseng saponin (CGS) on blood chemical parameters in adult female guinea pigs exposed to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A total of 80 guinea pigs (800$\pm$20g) were divided into 8 groups: group 1 (normal control group) was given vehicle (corn oil containing small amount of acetone and DMSO) and saline; group 2 (single TCDD-treated) received TCDD (1 $\mu\textrm{g}$/kg, i.p.) and saline (i.p.); groups 3 and 4 were administered CGS at a daily i.p. doses of 10 and 20 mg/kg for 4 weeks, respectively; groups 5 and 6 were administered CGS (10 and 20 mg/kg, respectively) for 5 weeks starting 1 week before TCDD-exposure; groups 7 and 8 were administered CGS (10 and 20 mg/kg, respectively) for 3 weeks from 1 week after TCDD-exposure. CGS was prepared by Diaion HP-20 adsorption chromatography. Body weights of G2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the and week after TCDD-exposure (P<0.01). Body weights of the CGS-treated groups were also decreased by TCDD-exposure but the weight loss was greatly retarded compared with that of G2. Increase in blood glucose, amylase, lipa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ST and LDL-cholesterol levels by TCDD exposure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the CCS-treatment (P<0.05). From these results, we found that saponin, the main active ingredient of gineseng, played a protective role in TCDD-induced toxicity and ginseng protected female animals from dioxin-induced toxic manifestation.

  • PDF

Inhibitory effects of total saponin from Korean Red Ginseng on [Ca2+]i mobilization through phosphorylation of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dependent protein kinase catalytic subunit and inositol 1,4,5-trisphosphate receptor type I in human platelets

  • Shin, Jung-Hae;Kwon, Hyuk-Woo;Cho, Hyun-Jeong;Rhee, Man Hee;Park, Hwa-Ji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9권4호
    • /
    • pp.354-364
    • /
    • 2015
  • Background: Intracellular $Ca^{2+}$($[Ca^{2+}]_i$) is a platelet aggregation-inducing molecule. Therefore, understanding the inhibitory mechanism of $[Ca^{2+}]_i$mobilization is very important to evaluate the antiplatelet effect of a substa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Ca^{2+}$-antagonistic effect of total saponin from Korean Red Ginseng (KRG-T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Ca^{2+}$-antagonistic effect of KRG-TS on cyclic nucleotides-associated phosphorylation of inositol 1,4,5-trisphosphate receptor type I ($IP_3RI$) and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dependent protein kinase (PKA) in thrombin (0.05 U/mL)-stimulated human platelet aggregation. Results: The inhibition of $[Ca^{2+}]_i$ mobilization by KRG-TS was increased by a PKA inhibitor (Rp-8-BrcAMPS), which was more stronger than the inhibition by a 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cGMP)- dependent protein kinase (PKG) inhibitor (Rp-8-Br-cGMPS). In addition, Rp-8-Br-cAMPS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PKA catalytic subunit (PKAc) ($Thr^{197}$) by KRG-TS. The phosphorylation of $IP_3RI$ ($Ser^{1756}$) by KRG-TS was very strongly inhibited by Rp-8-Br-cAMPS compared with that by Rp-8-BrcGM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Ca^{2+}]_i$ mobilization by KRG-TS is more strongly dependent on a cAMP/PKA pathway than a cGMP/PKG pathway. KRG-TS also inhibited the release of adenosine triphosphate and serotonin. In addition, only G-Rg3 of protopanaxadiol in KRG-TS inhibited thrombin-induced platelet aggreg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strongly indicate that KRG-TS is a potent beneficial compound that inhibits $[Ca^{2+}]_i$ mobilization in thrombin-platelet interactions, which may result in the prevention of platelet aggregation-mediated thrombotic disease.

압출성형이 인삼의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usion Process on the Change of Components in Ginseng)

  • 유병희;최미정;정구춘;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1-4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수용성 물질의 추출 수율을 높이고 압출 온도가 ginsenoside 및 당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압출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압출성형 백삼의 추출수율과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삼의 증류수 추출 수율은 압출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백삼이 가장 낮았다. 압출 성형백삼의 경우는 압출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 수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증류수 추출시 80% 에탄올 추출시보다 추출수율이 증가하였다. 조사포닌 함량은 압출 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압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사포닌 함량도 증가하였다. 11종의 총 ginsenoside함량은 홍삼이 가장 높았다. 백삼에서는 R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홍삼에서는 Rg1, Rg3, Rb2가 가장 높았다. 압출성형 백삼에서는 Rg2, Rh1 및 Rh2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인삼의 유리당 함량은 홍삼이 가장 높았으며 압출 성형 인삼이 가장 낮았다. 인삼의 명도(L)값은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압출 성형백삼이 가장 낮았다. 적색도(a)와 황색도(b) 값은 압출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실험에서 압출 성형 백삼은 정수로 추출 시 추출 수율이 백삼에 비해 25%이상 높았고, 조사포닌 함량도 약 20% 높았다. 또한 Rg2, Rh1, Rh2, Rg3의 ginsenoside 함량이 백삼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이는 압출 성형 백삼을 이용하여 제품 개발 시 높은 추출 수율, 사포닌 함량이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결과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