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reducing ability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2초

발효한 더덕 차의 열처리에 의한 항산화 활성 및 품질특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Tea according to Heating Processes)

  • 이지연;김병극;박홍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93-699
    • /
    • 2013
  • 본 연구는 독특한 식감과 풍미로 인하여 가공성이 낮은 C. lanceolata의 응용성을 높이기 위해 발효차를 제조하고, 열처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이화학 특성 및 항산화력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갈색도, 탁도, 환원당,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0$^{\circ}C$ 15분 열처리한 시료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713.71mg/100ml로 대조구에 비해 약 4.5배 증가하였다. 항산화력 측정 결과, DPPH radical 소거능, FRAP 및 환원력에서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력이 뚜렷하게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DPPH radical 소거능에서 $200^{\circ}C$ 15분 열처리한 시료의 경우, 85.40%로 대조구 45.17%에 비해 약 2배 이상 증가되었으며, FRAP 및 환원력 또한 $200^{\circ}C$ 15분 열처리한 경우, 대조구에 비해 약 2~3배 이상 증가하였다. 열처리에 따른 관능검사 결과, 열처리 온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선호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옻나무 추출물의 침지가 가스조절포장으로 저장한 한우고기 스테이크의 총환원력, 단백질산화 및 육색소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mersion in 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on the Total Reducing Ability, Protein Oxidation and Myoglobin Oxidation of Hanwoo Beef Steak Stored with Modified-atmosphere Packaging)

  • 강선문;송영한;정천순;조수현;박범영;정석근;이성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20-427
    • /
    • 2012
  • 본 연구는 옻나무 추출물(Rhus verniciflua Stokes extract, RVSE)의 침지가 가스조절포장(modified-atmosphere packaging, MAP)으로 저장한 한우고기 스테이크의 총환원력, 단백질산화 및 육색소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료(Hanwoo longissimus muscle)는 옻나무 추출물의 침지 여부에 따라 처리한 후 high oxygen-MAP(HOMAP; 75% $O_2$+20% $CO_2$+5% $N_2$)와 low oxygen-MAP (LOMAP; 0% $O_2$+20% $CO_2$+80% $N_2$)으로 포장하여 $4^{\circ}C$에서 9일 동안 저장하였다. 총환원력은 RVSE의 침지에 의해 증가되었으며(p<0.05), LOMAP에 의해 저장기간 동안 높게 유지되었다. Carbonyl 함량은 RVSE의 침지와 LOMAP에 의해 억제되었다. Metmyoglobin의 축적은 RVSE의 침지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HOMAP에 의해 낮게 유지되었다. 이와 반대로 oxymyoglobin에 의한 적색 강도의 지표인 R630-R580은 RVSE의 침지에 의해 감소되었던 반면, HOMAP에 의해 높게 유지되었다. 명도($L^*$), 적색도($a^*$) 및 chroma($C^*$)는 RVSE의 침지에 의해 감소되었으나, HOMAP에 의해 높게 유지되었다. 반면에 hue-angle($H^{\circ}$)은 RVSE의 침지에 의해 증가되었으나, HOMAP에 의해 낮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RVSE의 침지는 한우고기 스테이크의 총환원력과 단백질산화 안정성을 증가시켰으나, 육색소산화 안정성 감소시켰다. 또한 HOMAP는 총환원력과 단백질산화 안정성을 감소시켰으나, 육색소산화 안정성은 증가시켰다.

모과내 기능성 유용성분 용매추출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Solvent Extraction Process on the Active Functional Components from Chinese Quince)

  • 전주영;조인희;경현규;김현아;이창민;최용희
    • 산업식품공학
    • /
    • 제14권2호
    • /
    • pp.92-9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모과내의 여러 가지 기능성 유용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모과나무의 익은 열매로 만든 약재인 모과를 사용 하였다. 모과의 기능성 유용성분 용매 추출 공정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모과를 에탄올에 추출하여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용매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시료에 대한 용매비($X_{1}$)와 추출온도($X_{2}$), 추출시간($X_{3}$)을 요인변수로 하고 추출수율($Y_{1}$), 총 페놀 함량($Y_{2}$), 전자공여능($Y_{3}$), 갈색도($Y_{4}$), 환원당($Y_{5}$)을 종속변수로 하여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수율은 추출 온도와 추출 시간에 유의하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안장점에서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는 26.38 mL/g, 추출온도는 72.82$^{\circ}C$, 추출시간은 74.86 min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함량은 용매비와 시간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고 추출시간에는 영향을 받았으며, 최대값은 20.70 mg/mL 로 나타났다. 이때의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는 22.61 mL/g, 추출온도는 84.49$^{\circ}C$, 추출시간은 77.25 min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추출온도에 따라 유의하게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장점에서의 추출조건인 시료에 대한 용매비 10.65 mL/g, 추출온도 67.78$^{\circ}C$, 추출시간 96.75 min에서 추출수율은 94.12%로 예측되었다. 갈색도에 대한 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3.77 mL/g, 추출온도 87.27$^{\circ}C$, 추출시간 96.68 min 일 때 안장점이 나타났다. 환원당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6.83 mL/g, 추출온도 82.167$^{\circ}C$, 추출시간 81.94 min에서 10.55 mg/mL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추출시간에 영향을 받았다.

Effects of cranberry powder on serum lipid profiles and biomarkers of oxidative stress in rats fed an atherogenic diet

  • Kim, Mi-Joung;Jung, Ha-Na;Kim, Ki-Nam;Kwak, Ho-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3호
    • /
    • pp.158-164
    • /
    • 2008
  •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antioxidative effect of freeze-dried cranberry powder against protein and lipid oxidation and ameliorative effect of serum lipid profile in rat fed atherogenic diet. Six weeks ol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our groups: normal diet group with 5% com oil(control), atherogenic diet group with 5% com oil, 10% lard, 1% cholesterol, and 0.5% sodium cholate(HFC), atherogenic plus 2% cranberry powder diet group(HFC+C2), and atherogenic plus 5% cranberry powder diet group(HFC+C5), and respective diet and water were fed daily for 6 weeks. After the experimental period, the serum lipid profile, such as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ferric reducing ability of plasma(FRAP), plasma phenolics content,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y, serum protein carbonyl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levels were examined. Total phenolic compound and total flavonoid levels in freeze-dried cranberry powder were 9.94 mg/g and 8.12 mg/g, respectively. Serum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cranberry powder treatment, but serum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HFC+C5 group compared with HFC group. Plasma FRAP value tended to be increased by cranberry powder treatment 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lasma total phenol concentrations and SOD activ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all groups. Serum protein carbonyl and TBARS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HFC+C5 group compared with HFC group.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freeze-dried cranberry powder might have the serum lipid improving effect, as well as anti oxidative effect demonstrated by its protective effect against protein and lipid oxidation.

다식의 항산화성과 저장기간에 따른 조직감 및 관능적 특성 (Antioxidant Capacity and Effect of Storage Periods on Textures and Sensory Properties of Dasik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aries))

  • 양정은;김지영;장은영;이재환;이지현;정라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11-1219
    • /
    • 2013
  • 다식은 전분류를 기본으로 하여 다양한 성분 혼합이 가능한 한국의 전통 후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쌀 등의 전분을 위주로 다식을 제조한 후에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냉장 저장 중에서의 조직감 및 관능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쌀을 주 원료로 한 다식 중 라디칼 소거능과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철 이온 환원력은 미강유가 첨가된 현미홍삼미강유다식 시료가 현미홍삼다식이나 오미자 쌀 다식보다 높았고, 오미자 쌀 다식에 비해 흑임자다식과 콩다식이 라디칼 소거능과 환원력 활성이 높았다. 기계적 조직감은 저장기간 중 다양한 변화를 보였으나 일관된 패턴은 찾기 어려웠다. 훈련된 10명의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한 관능적 특성 검사 및 기호도 검사 결과, 오미자 쌀 다식은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경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수분 정도와 부드러운 정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콩다식과 흑임자다식 시료는 수분 정도에서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는데, 저장기간이 길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전반적 기호도와 텍스처 기호도 측정결과 오미자 쌀 다식과 콩다식 시료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으며, 저장기간이 길수록 기호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오미자 쌀 다식의 경우 다시 먹을 의향 또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관능적 텍스처 특성과 기계적 텍스처 특성은 측정 항목에 따라 양과 음의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덖음온도를 달리하여 전저리한 삼백초 건조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물과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Saururus chinensis and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 강명화;안수미;김도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4호
    • /
    • pp.399-40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전처리 방법을 달리한 삼백초의 수분함량,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을 분석하고 각각에 증류수와 70% 에탄올로 추출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Total phenolic acid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SOD-liked activity, Electron donating activity, ABTs radical activity, Reducing power activity를 평가하였다. 수분과 조단백질 함량은 저온에서 덖은 시료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조회분과 조지방 그리고 탄수화물 함량은 고온에서 덖을 시 높았다. 총 페놀 함량은 저온으로 덖고 물로 추출한 시료에서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고온덖음 7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삼백초를 저온과 고온으로 덖은 시료를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 시 70% 에탄올로 추출한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고온으로 덖고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한 시료가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물보다 70% 에탄올로 추출할 때 저온과 고온으로 덖은 시료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높았다. 삼백초 건조물을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고온에서 덖은 시료가 저온으로 덖은 시료보다 높게 나타났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고온으로 덖은 시료의 물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70% 에탄올로 추출 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용매에 따른 영향은 저온에서 덖고 70% 에탄올로 추출 시 유의적으로 높았고 고온으로 덖은 시료는 물 추출물에서 높아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SOD-liked activity는 저온에서 덖고 물로 추출한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추출 용매나 덖음온도에 따른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환원력은 저온덖음 물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고온으로 덖을 때에는 70% 에탄올 추출물이 높아 상반된 결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Reducing power activity (환원력)에서 고온덖음 삼백초 시료를 70%에탄올 추출 시 높게 평가되어 항산화효과가 높은 소재 추출방법으로 사용가능성이 시사되었다.

머루종실의 용매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Wild Grape Seed (Vitis coignetiea seed) Extracts by Solvents)

  • 박현실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70-279
    • /
    • 2011
  • 본 연구는 머루 종실의 용매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효과를 살펴봄으로서 머루 종실의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가치를 확인하고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머루 종실의 ethanol 조추출물을 얻은 후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nol을 순차적으로 분획하였다. 머루 종실의 용매별 추출물의 총 페놀 화합물함량은 64.9 mg/100 g으로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전자공여능도 $100\;{\mu}L$/mL에서 90.0%로 대조구인 BHT 및 Ascorbic acid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 역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력 역시 농도가 $1,000\;{\mu}L$/mL일 때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2.83로 가장 뛰어난 활성을 보였다. $H_2O_2$, $FeCl_2$$CuSO_4$에 대한 항산화 활성도 머루 종실 용매별 추출물의 농도가 높 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thyl acetate 추출물에서 가장 활성이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의 반응조건에서 $1,000\;{\mu}L$/mL의 농도 첨가 시 ethyl acetate 추출물이 76.9%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 PDF

4차원 반응표면분석을 통한 맥문동의 이화학적 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iriope platyphylla by the Use of Four Dimensional Response Surface)

  • 이기동;김정옥;손준호;김학윤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60-568
    • /
    • 2012
  • 본 연구는 맥문동의 이화학적 특성을 모니터링하고 최적추출조건을 예측하고자 4차원 반응표면분석을 사용하였다. 맥문동의 추출조건에 따른 고형분 함량은 35.06~65.70%의 범위로서, 최적 추출조건이 시료에 대한 용매비 16.86 mL/g, 추출온도 $99.55^{\circ}C$ 및 추출시간 3.20 hr에서 66.02%였다.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0.66~1.24 mg/g의 범위로서, 최적 추출조건이 18.78 mL/g, $97.09^{\circ}C$ 및 3.71 hr이었다. 조사포닌 함량은 2.22~6.21 %의 범위로서 최적추출조건은 시료에 대한 용매비 21.33 mL/g, 추출온도 $95.49^{\circ}C$ 및 추출시간 3.00 hr이었다. 환원당 함량의 범위는 2.34~6.51 %로서, 최대값이 6.75%이며, 추출조건은 22.93mL/g, $89.64^{\circ}C$ 및 3.75 hr이었다. 전자공여작용의 최적조건은 16.74 mL/g, $99.63^{\circ}C$ 및 3.16 hr이었다. 맥문동 유용성분인 고형분 함량, 조사포닌 함량 및 환원당 함량의 반응표면을 superimposing하여 얻은 최적 추출조건의 범위는 시료에 대한 용매비 15~23 mL/g, 추출온도 92~$100^{\circ}C$ 및 추출시간 2.4~5.0 hr로 나타났으며, 예측조건 범위내의 임의의 조건 (20 mL/g, $100^{\circ}C$, 3 hr)에서 고형분 함량 65.75%,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1.30 mg/g, 조사포닌 함량 6.33%, 환원당 함량 5.93%, 갈색도 0.11 및 전자공여작용 10.52%로 예측 및 확인되어 추출수율과 기능성 성분이 높은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Fermented with Monascus pilosus

  • Lee, Ye-Kyung;Lee, Sang-Il;Kim, Jeong-Sook;Yang, Seung-Hwan;Lee, In-Ae;Kim, Soon-Dong;Suh, Joo-W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5권1호
    • /
    • pp.19-25
    • /
    • 2012
  • Green tea leaves were fermented for 15 and 30 days with Monascus pilosus which is known to produce functional statins (TMs), and the content of various biochemical constituents such as total polyphenol (TP), total flavonoid (TF), theaflavin, and thearubigin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at of non-fermented green tea (GT) and Pu-erh Chinese post-fermented tea (PU). In addition to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ferric iron reducing power (FIRP), xanthine oxidase (XO) inhibitory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iron chelating activity (ICA) and hydrogen peroxide contents were also measured and compared with that of GT and PU. Content of TP and TF in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in TMs were lower than those in GT and PU. Theaflavin and thearubigin conten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in TMs were higher than those of GT. And, these components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period of fermentation. While, EDA and FIRP of TMs were lower than those of GT, XO inhibitory activity of TMs was higher than non-fermented tea. While, ICA of TMs was slightly higher than GT and PU, the content of hydrogen peroxide in TMs was markedly lower than GT. This results suggested that the green tea fermented by M. pilosus was valuable for oxidative stress-induced diseases by decreasing hydrogen peroxide, and forming theaflavins and thearubigins with functionality of genus Monascus.

왕고들빼기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성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Lactuca$ $indica$)

  • 김주남;김자민;이경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94-30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왕고들빼기의 비타민 C,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왕고들빼기 잎과 뿌리의 비타민 C 함량은 각각 24.14 mg/100 g, 0.38 mg/100 g으로 나타났다. 왕고들빼기 잎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42.08 mg/g, 23.09 mg/g로 나타났으며, 왕고들빼기 뿌리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66 mg/g, 0.77 mg/g로 나타났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왕고들빼기 잎의 경우 추출물 농도가 300 ${\mu}g$/mL 일 때 약 78%로 높은 항산화 능력을 보였으며, 뿌리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ABTS radical 소거능은 추출물 농도가 5 mg/mL 일 경우 잎과 뿌리 각각 92.3%, 10.21%로 나타났다. Reducing power(환원력)를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 농도가 1.6 mg/mL 일 때 1에 가까운 흡광도 값을 보였고, $Fe^{2+}$-chelating 효과는 추출물 농도가 14 mg/mL 일 때 잎과 뿌리 각각 97.17%, 34.26%의 활성을 나타냈다. 왕고들빼기의 항산화 활성의 $IC_{50}$을 측정한 결과 잎의 경우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Fe^{2+}$-chelating 효과의 $IC_{50}$은 각각 0.19 mg/mL, 2.7 mg/mL, 6.27 mg/mL로 나타났다. 왕고들빼기 뿌리의 경우 잎에 비해 그 값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왕고들빼기의 잎은 뿌리에 비해 비타민 C,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여 기능성 식품 및 기능성 식품재료로써의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