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harmonic

검색결과 567건 처리시간 0.03초

피로 및 진동에 의한 자동차 추진축의 내구성 연구 (A Study on Durability of Automotive Propeller Shaft by Fatigue and Vibration)

  • 조재웅;김세환;김기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1495-1501
    • /
    • 2011
  • 본 연구는 동력전달 장치인 추진축이 차량 주행중 상하운동에 따라 생기는 자재이음의 내구성에 대한 강도 해석을 하였다. 유니버설 조인트에서의 최대 등가 응력과 전변형량은 요크 부분에서 $1.3177{\times}10^3$Pa및 $3.6148{\times}10^{-4}$m로 크게 나타났다. 'SAE bracket', 'SAE transmission' 및 Sample history'의 불규칙 피로 하중들 중에서는 하중의 변화가 극심한 SAE bracket'의 경우가 사용 가능 수명이 15951 Cycle 정도로 가장 짧은 것을 볼 수가 있고 하중의 변화가 가장 완만한 Sample history'에서 사용가능 수명이 $2{\times}10^7$ Cycle 정도로 가장 긴 것을 알 수 있었다. 피로 하중의 빈도수로서는 SAE Bracket history'가 80% 정도로서 가장 높게 나타나 파손의 가능성이 큼을 알 수 있었고 Sample history'가 5%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구속 조건을 가하여 한 Harmonic response 해석에서의 최대 변위는 58Hz에서 일어났다. 이러한 진동수에서의 최대 변위는 0.00261m가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동력전달 장치인 추진축에 응용한다면 그 파손 방지 및 내구성을 예측하는데 활용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LED Driver with TRIAC Dimming Control by Variable Switched Capacitance for Power Regulation

  • Lee, Eun-Soo;Sohn, Yeung-Hoon;Nguyen, Duy Tan;Cheon, Jun-Pil;Rim, Chun-Taek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5권2호
    • /
    • pp.555-566
    • /
    • 2015
  • A TRIAC dimming LED driver that can control the brightness of LED arrays for a wide range of source voltage variations is proposed in this paper. Unlike conventional PWM LED drivers, the proposed LED driver adopts a TRIAC switch, which inherently guarantees zero current switching and has been proven to be quite reliable over its long lifetime. Unlike previous TRIAC type LED drivers, the proposed LED driver is composed of an LC input filter and a variable switched capacitance, which is modulated by the TRIAC turn-on timing. Thus, the LED power regulation and dimming control, which are done by a volume resistor in the same way as the conventional TRIAC dimmers, can be simultaneously performed by the TRIAC control circuit. Because the proposed LED driver has high efficiency and a long lifetime with a high power factor (PF) and low total harmonic distortion (THD) characteristics, it is quite adequate for industrial lighting applications such as streets, factories, parking garages, and emergency stairs. A simple step-down capacitive power supply circuit composed of passive components only is also proposed, which is quite useful for providing DC power from an AC source without a bulky and heavy transformer. A prototype 60 W LED driver was implemented by the proposed design procedure and verified by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where the efficiency, PF, and THD are 92%, 0.94, and 6.3%, respectively. The LED power variation is well mitigated to below ${\pm}2%$ for 190 V < $V_s$ < 250 V by using the proposed simple control circuit.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고조파 전류저감을 위한 LLCL 필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LCL Filter to Reduce Harmonic Current of Grid Connected Power Inverter)

  • 안병웅;홍창표;김학원;조관열;임병국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4-70
    • /
    • 2014
  • In this paper, the new LLCL filter is proposed for grid connected three-phase PWM inverter for passive damping. LLCL filter inserts a small inductor in the branch of the capacitor of the traditional LCL filter to compose a series resonant circuit to reduce the switching-frequency component on grid current. Using LLCL filter, the switching-frequency current ripple components can be attenuated much better than the LCL filter, leading to a decrease in the total inductance. However, the resonance phenomena caused by zero impedance from the addition of LC branch in LLCL filter can be a big problem. Resonance phenomena of LLCL filter can be a source of grid system instability, so proper damping methods are requir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a passive damping method in the conventional LLCL filter, because the damping resistor increase impedance of the LC branch. Therefore, switching frequency component of grid current can not much attenuated by low Q of LC series resonance effect. In this paper, a new LLCL filter is proposed to overcome the conventional LLCL filter with passive damping.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proven by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

Novel Switching Table for Direct Torque Controlled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to Reduce Torque Ripple

  • Arumugam, Sivaprakasam;Thathan, Manigandan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3권6호
    • /
    • pp.939-954
    • /
    • 2013
  • The Direct Torque Control (DTC) technique for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s (PMSM) is receiving increased attention due to its simplicity and robust dynamic response when compared with other control techniques. The classical switching table based DTC results in large flux and torque ripples in the motors. Several studies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on classical DTC. However, there are only limited studies that actually discuss or evaluate the classical DTC. This paper proposes, novel switching table / DTC methods for PMSMs to reduce torque ripples. In this paper, two DTC schemes are proposed. The six sector and twelve sector methodology is considered in DTC scheme I and DTC scheme II, respectively. In both DTC schemes a simple modification is made to the classical DTC structure. The two level inverter available in the classical DTC is eliminated by replacing it with a three level Neutral Point Clamped (NPC) inverter. To further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TC scheme I, the available 27 voltage vectors are allowed to form different groups of voltage vectors such as Large - Zero (LZ), Medium - Zero (MZ) and Small - Zero (SZ), where as in DTC scheme II, all of the voltage vectors are considered to form a switching table. Based on these groups, a novel switching table is proposed. The proposed DTC schemes are comparatively investigated with the classical DTC and existing literatures through theory analysis and computer simulations.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DTC method is also confirmed by experimental results. It can be observed that the proposed techniques can significantly reduces the torque ripples and improves the quality of current waveform when compared with traditional and existing methods.

Efficacy of Calcium Hydroxyapatite in Vocal Fold Augmentation for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in Asian

  • Lee, Doh Young;Chung, Eun-Jae;Kwon, Seong-Keun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3-86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efficacy and complication of injection laryngoplasty using calcium hydroxyapatite (CaHA) for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in Asian. Materials and Methods : A p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on the adult patients with unilateral vocal fold paralysis from May 2015 through January 2016. Injection laryngoplasty was performed by one laryngologist. All patients underwent prospective voice evaluation using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comprehensive battery of assessments, before the procedure and after the procedure at 3 months, and 6 months. Results : A total of 7 patients (5 males and 2 female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VHI-10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injection laryngoplasty, at postoperative 6 months (p=0.031), while VAS score and MDADI showed no difference. GRBAS scale gradually decreased in 3 months and 6 months follow-up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Acoustic analysis revealed that jitter, shimmer, and noise-to-harmonic ratio continuously decreased from the baseline at 3 months and 6 months, although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not attained. In the aerodynamic analysis, maximal phonation time was gradually increased at 3months and 6 month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p=0.016, 0.031, respectively). There was no side effect associated with the procedure. Conclusion : CaHA can be safely used in Asian patients and the onset of maximal efficacy seems to be slow than other studies with Caucasian patients.

액정 후보 물질로서 C16H16O3의 분자구조 및 전하이동성 특성분석에 관한 연구 (Theoretical investigation for the molecular structure and Charge transport property analysis of C16H16O3 as a candidate of liquid-crystal)

  • 박혜민;김승준
    • 분석과학
    • /
    • 제20권1호
    • /
    • pp.61-69
    • /
    • 2007
  • $C_{16}H_{16}O_3$의 중성분자, 음이온, 그리고 양이온에 대하여 양자역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분자구조, 진동주파수 그리고 HOMO-LUMO 차이와 재편성에너지(reorganization energy)를 통한 전하이동성 특성을 연구하였다. 분자구조는 $B3LYP/6-311G^{**}$ 수준까지 최적화 하여 안정한 구조를 찾았다. 또한 진동주파수를 계산하여 안정한 상태의 분자구조를 확인하였으며, 액정의 전하이동성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HOMO-LUMO 에너지 차이와 재편성에너지를 계산하였다. $C_{16}H_{16}O_3$의 HOMO-LUMO 에너지 차이는 중성분자의 경우 4.45 eV, 음이온과 양이온에 대해서는 각각 1.46 eV, 1.53 eV로 계산되었고, 재편성에너지는 음이온의 경우 0.59 eV, 그리고 양이온의 경우 0.43 eV로 계산되었다.

풍동 시험용 틸트로터의 구조 하중 해석의 검증 연구 (A Validation Study on Structural Load Analyses of TiltRotors in Wind Tunnel)

  • 황의진;박재상;이명규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5-5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V-22 Osprey 틸트로터의 25% 축소 모델인 TRAM에 대하여 회전익기 통합 해석 코드인 CAMRAD II를 이용하여 프롭로터의 Aeromechanics 모델링과 블레이드 및 피치 링크에 대한 구조 하중 해석을 수행한 후, DNW 풍동 시험 및 선행 해석 연구 결과와 상호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속 전진 비행 시 블레이드 플랩 굽힘 모멘트의 구조 하중 및 진동 하중 변화를 풍동 시험 결과에 대하여 비교적 잘 예측하였다. 리드-래그 굽힘 및 비틀림 모멘트의 구조 하중 및 진동 하중 해석은 풍동 시험과 다소 다르게 얻어졌으나, 평균값을 제거하였을 때 로터 회전 한 바퀴당 구조 하중 해석 결과가 풍동 시험 및 선행 해석 연구와 비교적 유사하였다. 피치 링크의 구조 하중 및 진동 하중 해석은 전반적으로 선행 연구의 시험 및 해석 결과와 유사하게 얻어졌다. 마지막으로 블레이드 구조 진동 하중의 조화 성분 해석 및 비교를 통하여 블레이드 리드-래그 굽힘 및 비틀림 모멘트의 오차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파라미터 맵을 이용한 차량용 인휠 전동기의 설계 (Design of In-Wheel Motor for Automobiles Using Parameter Map)

  • 김해중;이충성;홍정표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92-100
    • /
    • 2015
  • 전기자동차는 구동방식에 따라 인휠(in-wheel) 방식과 인라인(in-line)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인휠 방식 전기자동차는 기존의 자동차에서 사용하였던 변속기, 축, 차동기어 등을 제거 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해지고 차체를 경량화하여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파라미터 맵(parameter map)을 이용한 차량용 인휠 전동기의 설계 방법을 제시하고, 연속정격 5 kW급 전동기를 설계하여 제작 및 성능 검증을 한다. 우선 차량의 요구 성능을 만족하는 인휠 전동기의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차량의 총무게, 기어 효율, 바퀴의 등가반경, 등판각도 등을 고려한 차량동특성해석을 수행한다. 이것을 통해 전동기 용량을 결정하고, 전동기 형상 및 치수를 결정하기 위한 초기설계를 진행한다. 그리고 요구 성능을 만족하는 전동기 파라미터를 결정하기 위해 파라미터 맵을 이용한 파라미터 설계를 수행한다. 파라미터 맵을 통해 전동기 파라미터를 결정한 후 마지막으로 무부하역기전력의 왜형율(Total Harmonic Distortion, 이하 THD), 코깅토크(cogging torque), 토크리플(torque ripple) 등의 개선을 위해 최적설계를 수행한다. 최종 설계 모델에 대해 제작을 하였으며, 성능 검증 및 제시한 설계방법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부하시험을 진행한다.

성악가를 위한 VAT 음성치료 개발 및 적용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Vocal Aerobic Treatment Voice Therap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or Classical Singers)

  • 유재연;이하나
    • 재활복지
    • /
    • 제22권1호
    • /
    • pp.157-168
    • /
    • 2018
  • 본 연구는 반폐쇄성도훈련에 기반을 둔 성대에어로빅치료(Vocal Aerobic Treatment: VAT)가 소프라노 성악가 음성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성대결절로 음성문제를 호소하는 소프라노 성악가 1명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치료 전 후 음향학적평가와 주관적 음성평가를 실시하여 측정값을 비교하였으며, 성대에어로빅치료는 주 2회 총 32회기동안 진행하였다. 음향학적 평가는 MDVP (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와 VRP (voice range profile)를 사용하여 음도, 음질, 음역을 평가하였으며, 주관적 음성평가는 SVHI (singing voice handicap index)로 주관적인 음성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음도 평가 결과 치료 후 소프라노 가수에 적절한 기본주파수(Fo)를 유지하였다. 음질평가 결과 주파수변동률(Jitter), 진폭변동률(Shimmer), 배음대소음비(NHR) 수치가 치료 전보다 감소하였다. 음역평가결과 음역의 범위가 넓어졌으며 반음의 개수가 30개에서 35개로 증가하였다. 주관적 음성평가는 설문 보고 후 획득한 총 점수를 문항수로 나눈 결과 3.6점에서 0.6점으로 감소하였으며, 본인이 느끼는 음성문제의 정도가 경미하다고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정리해보면 성대에어로빅치료는 성악가 음성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소프라노 성악가 1명을 대상으로 한 성대에어로빅치료의 치료 효과에 관한 사례연구로 향후 더 많은 성악가를 대상으로 효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성악가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업적 음성사용자를 위한 음성관리 및 음성치료프로그램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음질, 운율, 발음 특징을 이용한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 (Automatic severity classification of dysarthria using voice quality, prosody, and pronunciation features)

  • 여은정;김선희;정민화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3권2호
    • /
    • pp.57-66
    • /
    • 2021
  • 본 논문은 말 명료도 기준의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 문제에 초점을 둔다. 말 명료도는 호흡, 발성, 공명, 조음, 운율 등 다양한 말 기능 특징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한 개의 말 기능 특징만을 중증도 자동분류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의 장애 특성을 효과적으로 포착하기 위해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에서 음질, 운율, 발음의 다양한 말 기능 특징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음질은 jitter, shimmer, HNR, voice breaks 개수, voice breaks 정도로 구성된다. 운율은 발화 속도(전체 길이, 말 길이, 말 속도, 조음 속도), 음높이(F0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중간값, 25 사분위값, 75 사분위값), 그리고 리듬(% V, deltas, Varcos, rPVIs, nPVIs)을 포함한다. 발음에는 음소 정확도(자음 정확도, 모음 정확도, 전체 음소 정확도)와 모음 왜곡도[VSA(vowel space area), FCR (formant centralized ratio), VAI(vowel articulatory index), F2 비율]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특징 조합을 사용하여 중증도 자동 분류를 시행하였다. 실험 결과, 음질, 운율, 발음 특징 세 가지 말 기능 특징 모두를 분류에 사용했을 때 F1-score 80.15%로 가장 높은 성능이 나타났다. 이는 마비말장애 중증도 자동 분류에는 음질, 운율, 발음 특징이 모두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