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ginsenoside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6초

추출조건에 따른 홍삼추출액의 사포닌 조성 및 이화학적 특성 (Saponin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Ginseng Extract as Affected by Extracting Conditions)

  • 이승호;강정일;이상윤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56-260
    • /
    • 2008
  • 홍삼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약재로 오래전부터 우리나라에서 많이 애용되고 있는 한방소재로서 근래에 와서 홍삼의 유효 성분군이 사포닌으로 밝혀지면서 약리 효능적인 측면에서는 연구가 급진전되었으나, 홍삼의 유용 사포닌 성분을 안정성 높게 회수하기 위한 추출방법 및 홍삼을 추출하는데 있어 이화학적인 특성에 영향을 주는 조건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연구된 바가 많지 않아 홍삼 추출조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삼 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조건에 따른 사포닌 성분 및 이화학적 변화에 대해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홍삼추출액의 총 사포닌 함량에 있어서는 추출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총 사포닌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75^{\circ}C$, 24시간 추출조건에서 0.774 mg/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개별 ginsenoside 함량에서도 대부분 추출온도와 시간이 증가될수록 함량이 감소하였지만, $Rg_3$의 경우에는 일정범위내에서의 추출조건에서는 함량이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홍삼 추출 시 가열 과정에서 일부 ginsenoside가 $Rg_3$로 구조 전환되면서 그 함량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추출조건별 홍삼추출액의 이화학적 변화에 있어서는 사포닌의 경우와 반대로 추출온도와 시간이 증가될수록 $^{\circ}Brix$와 색차는 증가되는 반면, pH는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품질 측면에서는 안정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품질적인 특성만을 고려한 적정 추출조건은 $85^{\circ}C$ 내외에서 48시간 추출하는 것이 효율적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홍삼 추출액의 품질특성과 사포닌의 안정적인 추출을 위한 적정 추출조건은 ginsenosides의 손실이 최소화되는 $80^{\circ}C$ 내외에서 물리적 성질이 안정화되기 시작하는 48시간 이내로 추출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홍삼 추출방법에 있어서 최적의 추출조건에 대한 정보를 주는 것이며, 더 나아가 고농도 사포닌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홍삼제품 개발에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결과라 사료된다.

압출성형이 인삼의 성분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usion Process on the Change of Components in Ginseng)

  • 유병희;최미정;정구춘;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11-41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수용성 물질의 추출 수율을 높이고 압출 온도가 ginsenoside 및 당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압출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압출성형 백삼의 추출수율과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인삼의 증류수 추출 수율은 압출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백삼이 가장 낮았다. 압출 성형백삼의 경우는 압출 온도가 높을수록 추출 수율이 증가하였다. 또한 증류수 추출시 80% 에탄올 추출시보다 추출수율이 증가하였다. 조사포닌 함량은 압출 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압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조사포닌 함량도 증가하였다. 11종의 총 ginsenoside함량은 홍삼이 가장 높았다. 백삼에서는 R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홍삼에서는 Rg1, Rg3, Rb2가 가장 높았다. 압출성형 백삼에서는 Rg2, Rh1 및 Rh2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인삼의 유리당 함량은 홍삼이 가장 높았으며 압출 성형 인삼이 가장 낮았다. 인삼의 명도(L)값은 백삼이 가장 높았으며 압출 성형백삼이 가장 낮았다. 적색도(a)와 황색도(b) 값은 압출성형 백삼이 가장 높았다. 이상의 실험에서 압출 성형 백삼은 정수로 추출 시 추출 수율이 백삼에 비해 25%이상 높았고, 조사포닌 함량도 약 20% 높았다. 또한 Rg2, Rh1, Rh2, Rg3의 ginsenoside 함량이 백삼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이는 압출 성형 백삼을 이용하여 제품 개발 시 높은 추출 수율, 사포닌 함량이 높은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가능성을 보여 주는 결과라 생각된다.

인삼잎과 줄기 혼합 추출물의 영양성분, Ginsenoside 함량 및 기본적 안전성 평가 (Nutritional Composition, Ginsenoside Content and Fundermental Safety Evaluation with Leaf and Stem Extract of Panax ginseng)

  • 한종현;박성진;안종남;위재준;김기영;박성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778-784
    • /
    • 2004
  • 인삼을 재배한 후 널리 이용되지 못하고 있는 잎, 줄기 등 인삼 부산물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인삼잎과 줄기를 혼합하여 추출한 추출물을 대상으로 일반 영양성분 함량, 무기질 함량,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고 세포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삼잎, 줄기 혼합 추출물의 수분함량은 96.61%, 탄수화물 2.51%, 조회분 0.53%, 조지방 0.20% 및 조단백질이 0.15%이었다. 무기질 중 칼륨함량이 102.56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그 외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인 및 철분, 망간, 아연, 구리도 함유되어 있었다.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 등 산성아미노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필수아미노산이 모두 함유되어 있었다. 또한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56.52%이었고 palmitic acid 함량이 39.99%로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 14.96%, docosatetranoic acid 13.31%, linolenic acid 12.19%의 순이었다. 인삼의 총 ginenoside 함량은 0.82 mg/mL이 었고 PD/PT 함유 비율은 0.68이었다. 정상적인 간과 신장 세포의 생존율에는 negative effect를 나타내지 않았고 미토콘드리아와 라이소좀 수준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인삼잎, 줄기 혼합 추출물의 약리효능을 나타내는 gensenoside의 함량이 0.82 mg/mL로서 비교적 소량 함유되어 있으나 인삼 부산물의 활용차원에서 동물의 사료나 기능성 식품 재료로의 사용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동물실험 및 임상실험을 이용한 기능성 평가를 통해 확실하고 구체적인 활용방안의 모색이 요구되어진다.

초고압 처리한 홍삼의 ginsenoside 함량 및 항산화 활성 (Ginsenoside Cont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Red Ginseng Treated with High Hydrostatic Pressure)

  • 신창식;이도현;김성한;신민호;정창호;심기환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4권6호
    • /
    • pp.133-140
    • /
    • 2010
  • 초고압 처리가 홍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일반 홍삼과 초고압 처리 홍삼의 조사포닌 함량은 각각 21.93 및 27.29 mg/g이었고, 총 페놀성 화합물과 조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초고압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일반 홍삼과 초고압 처리 홍삼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진세노사이드는 Rb1으로 각각 14.10 mg/g과 17.71 mg/g 이었으며, 초고압 처리에 의하여 25.60% Rb1이 증가하였다. 또한 홍삼의 특징적인 유효 성분인 Rg3는 일반 홍삼에 비하여 초고압 처리한 홍삼에서 10.46% 증가하였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초고압 처리 홍삼이 일반 홍삼 열수 추출물에 비해 높은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다. 환원력과 FRAP 활성도 분획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환원력과 FRAP 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 홍삼과 초고압 처리 홍삼 열수 추출물의 FRAP 활성은 농도 10 mg/mL일 때 각각 0.30 및 0.36의 흡광도를 보였다. 따라서 초고압 처리 홍삼 열수 추출물은 자유 라디칼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Menadione에 의해 유발된 간독성에 미치는 홍삼사포닌의 영향 (Effects of red ginseng total saponin on Menadione-induced hepatotoxicity in the rat)

  • 장봉준;배춘식;조용성;차용호;박창원;조대현;장경진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19-627
    • /
    • 1997
  • It is known that 2-methyl-1,4-naphtoquinone(menadione, MD) induces hepatotoxicities both in vivo and in vitro. These toxic effects are believed to result from oxidative damages to hepatocytes by "active oxygen" species via one-electron reduction of the naphtoquinone. The ginsenoside(GS) is a complex mixture of individual ginsenosides which is known to produce a range of effects on the cardiovascular and central nervous systems. In particular, GS has an antioxidant effect. In this experiment we studied the effect of GS from red panax ginseng(red ginseng total saponin, RGTS) on free radical-induced liver injuries by MD. Administration of MD($150{\mu}M$) caused an increase in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activities and lipid peroxidation, decrease in alkaline phosphatase(ALP) activities and total bilirubin levels in blood, caused depletion of GSH and changes of antioxidant enzyme(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ctivities are shown in liver tissue. Administration of RGTS restored the AST levels that increased by MD, but catalase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RGTS also had an effect of restoring the GSH level and had some synergistic effects with SOD. These data suggest that RGTS may have some protective effects on liver injury which is related with the oxygen free radical.

  • PDF

홍삼 . 백삼 및 압출성형 건조수삼의 성분특성 (Chemical Components of Red, White and Extruded Root Ginseng)

  • 하대철;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47-254
    • /
    • 2005
  • 본 실험은 홍삼, 백삼, 압출성형 공정변수인 수분함량을 25%와 30%로 달리하여 제조한 압출성형수삼의 화학적 성분을 비교하였다. 조회분, 조지방, 총당의 경우 홍삼, 백삼, 압출성형수삼 간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환원당의 경우 백삼시료에서 다른 처리구보다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미노산은 수삼을 파쇄하여 7$0^{\circ}C$에서 건조한 수삼(A처리구)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수분함량 25%, 배럴 11$0^{\circ}C$,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에서 압출성형한 수삼(B처리구)보다 수분함량 30%, 배럴 11$0^{\circ}C$,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에서 압출성형한 수삼(C처리구)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사포닌의 경우에는 A처리구가 4.02%, B와 C처리구가 4.77%, 4.12%이고, 수삼 표피를 제거하지 않은 피부백삼(D처리구)은 3.56%, 수삼 표피를 제거한 피부백삼(E처리구)의 경우는 3.25%, 홍삼(F처리구)은 4.02%로 조사되었다. 총 진세노사이드는 조사포닌의 경우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A처리구가 6.031 mg/g, B와 C처리구가 8.108 mg/g, 6.876 mg/g으로 조사되었고, D처리구는 7.978 mg/g, E처리구의 경우는 5.591 mg/g, F처리구는 9.834 mg/g로 측정되었다. F처리구에서 홍삼특유 사포닌이라고 알려진 $R_{g3}$가 측정되었다. 말톨의 경우에는 홍삼과 압출성형수삼 처리구에서만 관찰되었다. 산성다당체는 압출성형에 의해 2∼3%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압출성 형수삼은 홍삼의 성분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압출성형공정변수의 변화를 통해 홍삼에 포함된 홍삼특유 사포닌인 $R_{g3}$도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온 열처리가 홍삼물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Temperature Heating on the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ater Extract)

  • 곽이성;최금희;경종수;원준연;이만휘;이재곤;황미선;김석창;박채규;송경빈;한경호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120-126
    • /
    • 200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ater extract (RGWE) after heated with high temperatures above $100^{\circ}C$ for 2 hours. RGWEs were heated at 100, 110 and $120^{\circ}C$ for 2 hours by using autoclave. After RGWEs were heated at high temperature for 2 hours without not adjustment of pH, the changes of saponin, free sugars, mineral and color in the RGWEs were investigated. Total ginsenoside content in control was 1.99%, while those of RGWE were 1.65, 1.49 and 1.29% when treated at 100, 110 and $120^{\circ}C$,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total ginsenoside showed decreased tendency as heating temperatures were increased. The ginsenoside-$Rh_{2}$ and $-Rg_{3}$, which have been reported as very stable red ginseng ginsenosides, showed relatively strong spots on TLC when RGWEs were heated at 110 and $120^{\circ}C$. In case of free sugars in RGWEs, fructose, glucose and maltose showed high contents when compared with control, while Fe, Ca and Mg ions showed very low contents. Value of L in RGWE treated with high temperature was almost the same with control, while values of a and b were increased. Values of a were increased from -0.86 of control to +0.04, +0.05 and +1.14 when treated with 100, 110 and $120^{\circ}C$, respectively. Values of b also were increased from 27.68 of control to 33.61, 33.61 and 37.42 when treated with 100, 110 and $120^{\circ}C$, respectively. Values of total color in RGWEs treated with high temperatures, E, were finally increased by values of a and b.

간에서의 RNA, 단백질 생합성에 미치는 인삼성분의 생화학적 연구 (Biochemical Studies of Ginseng Saponin on RNA and Protein Biosynthesis in the Rat Liver)

  • Oura Hikokichi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1988년도 학술대회지
    • /
    • pp.1-10
    • /
    • 1988
  • 조사포닌을 복강내 투여하면 1) 핵내의 RNA polymerase의 활성도, 2) 핵내의 RNA합성, 3) 세포질의 RNA합성,4) 세포질내의 폴리리보좀 함량, 5) in vitro 상태에서의 쥐간의 polysome과 micro-some으로의 아미노산 유입율, 6) 방사능 표지된 아미노산의 혈청 단백질로의 유입율이 증가하였음을 과거에 보고 한 바 있으며 또한 4주간 조사포닌을 투여한 쥐에서 적출한 간세포를 전자 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조면 소포체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초원심분리기로서 막에 결합한 ribosome에서의 polysome함량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최근 streptozotocin으로 유도한 단백질 결핍성 당뇨병 쥐에 $Rb_2$를 계속적으로 주사한 결과 blood urea nitrogen과 간내의 urea 농도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혈청내의 총단백질과 알부민의 농도가 대조군의 수치에 비하여 증가한 반면 간내의 RNA와 총 ribosome, 막에 결합된 ribosome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Rb_2$투여로 혈청내의 총단백질로의 방사능 표지 전구물질의 유입량이 증가하였으며 당뇨쥐에서의 질소균형을 개선시켰다. 이러한 실험적 결과에 근거하여 인삼 사포닌은 대사를 촉진시키고 RNA, 단백질 합성 등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he Ginsenoside-Rb2 lowers cholesterol and triacylglycerol levels in 3T3-L1 adipocytes cultured under high cholesterol or fatty acids conditions

  • Kim, Eun-Ju;Lee, Hyun-Il;Chung, Kyung-Jin;Noh, Yun-Hee;Ro, Young-Tae;Koo, Ja-Hyun
    • BMB Reports
    • /
    • 제42권4호
    • /
    • pp.194-199
    • /
    • 2009
  • The effects of the ginsenoside Rb2 (Rb2) on lipid metabolism were characterized in 3T3-L1 adipocytes to evaluate their utility for treating obesity. While the amounts of total cholesterol and triacylglycerol (TAG) were markedly increased in the adipocytes treated with high amounts of cholesterol and fetal bovine serum (FBS), the test groups treated with Rb2 showed levels that were close to normal. The effect of Rb2 on these cells was comparable to that of lovastatin. Rb2 enhanced the expression of the sterol regulated element binding protein (SREBP) mRNA whereas treatment with cholesterol and FBS led to a reduction in the abundance of this transcript. The activity of fatty acid synthetase (FAS) was lower in the cholesterol group compared to the Rb2 treatment group suggesting that the observed decrease in cholesterol levels and activated SREBP was mediated by Rb2. Treatment with Rb2 also resulted in a decrease in TAG levels in adipocytes cultured under high fatty acid conditions. This effect was mediated by stimulating the expression of SREBP and Leptin mRNA, suggesting that Rb2 might be a valuable component capable of lowering the levels of lipids.

초음파 처리에 의한 인삼 잎과 줄기의 진세노사이드 성분 변화 (Changes in Ginsenosides Composition of Ginseng Leaf and Stem after an Ultrasonication Process)

  • 남윤민;신호준;양병욱;박종대;조순현;김형춘;고성권
    • 생약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52-359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preparation process of ginseng leaf and stem extracts having high concentrations of ginsenoside Rg2, Rg3, Rg5, Rh1, a special component of red and black ginseng. Chemical transformation from ginseng saponin glycosides to prosapogenin was analyzed by the HPLC. Extracts of ginseng (Panax ginseng) leaf and stem were processed under several treatment conditions including ultrasonication treatments. The content of total saponin reached their heights at 17 hr (UGL-17) of ultrasonication treatment, followed by 16 hr (UGL-16) and 7 hr (UGL-7) of ultrasonication treatment at $100^{\circ}C$. UGL-17 findings show that the ginseng leaf and stem that had been processed with ultrasonication for 17 hours peaked in the level of Rg2, Rg3 and Rh1. In addition, UGL-16 contained ginsenoside Rg5 at high concentrations. It is thought that such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preparing ginseng leaf and stem extracts with functionality enhan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