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acidity

검색결과 1,613건 처리시간 0.024초

김치숙성도 판정기준을 위한 신속 검사법 Resazurin-test 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sazurin test as a Rapid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Maturity of Kimchi)

  • 우순자;이혜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50-256
    • /
    • 1987
  • 김치숙성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배추김치, 깍두기, 오이김치 및 호남식 매운김치를 시료로 $25^{\circ}C$$4^{\circ}C$ 에서 저장하면서 pH, total acidity, volatile acidity, resazurin value, sensory value, volatile basic nitrogen, Vitamin C와 NaCl를 분석하고 임상용 test봉을 이용하여 glucose와 Nitrite를 정성분석 하였다. 김치숙성도에 따라 pH, Vit.C와 glucose는 감소하고 total 및 volatil acidity, resazurin value와 sensory sauer value는 증가하고 NaCl은 변함이 없었다. Nitrite는 산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거나 사라지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김치숙성도에 따라 가장 뚜렷하게 변하는 인자는 pH, total acidity와 resazurin value로서 sensory value와 상관성이 모두 높았다. Resazurin test value는 김치 저장온도와 시료검액 회석농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므로 시료 검액을 2%와 4%로 고정하고 적숙기 핑가기준을 냉장저장 김치에선 각각 2점과 4점, 실온저장 김치에선 2% 검액으로 4점을 기준으로 하면 resazurin test 방법이 김치숙성도 신속검사법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acidification of Mandarin Orange Juice by Electrodialysis Combined with Ultrafiltration

  • Kang, Yeung-Joo;Rhee, Khee-Choo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7권4호
    • /
    • pp.411-416
    • /
    • 2002
  • The effects of electrodialysis (ED) alone or ED plus ultrafiltration (UF) on deacidification of mandarin orange juice were studied by using a commercial ED stack with ion exchange membranes. ED processing, reduced the total acidity of the juices by 30% (0.6~0.7% as total acidity) after 50 min and by about 60~70% (0.23~0.4% as total acidity) after 100 min, as compared to the control juice. However, the acidity reduction after 50 min of ED was determined to be suitable, when considering total acidity (0.6~0.7%, w/w) and current efficiency. There was no color change in the juices following ED, and the pH and Brix were only slightly decreased. Furthermore, ascorbic acid and citric acid concentrations showed only minor decreases, and amino-N, free sugar, and flavonoid contents remained almost unchanged.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nutritional integrity of the juice was maintained. ED combined with UF may be effective, not only in preventing membrane fouling, but also in preserving the nutrients, such as ascorbic acid, in citrus juice.

재료를 달리한 김치의 발효중 미생물학적 및 화학적 변화 (Microbial and Chemical Changes of Kimchies Containing Different Ingredients During Fermentation)

  • 유영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89-293
    • /
    • 1996
  • Population changes of aerob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and changes of pH, acidity, and total sugar content were creased from initial period of fermentation. Lactic acid bacteria Increased during the first one nay rapidly and thereafter they creased slowly thereafter. Acidity increased on the third day of fermentation. Acidity was very low In Kimchi containing both Total sugar content decreased gradually from initial period to late period of fermentation.

  • PDF

수점산(手拈散)이 심장(心臟)과 소화기(消化器)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oo Jeom San on the Functions of Heart and Digestive Organs)

  • 이기상;문병순;김세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8-169
    • /
    • 1990
  • The Present experiment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o Jeom San on the function of heart and digestive organs. And thus it was analyzed the total acidity, recovery effect, and the other various enzyme activities such as ATPase, Creatine kinase, Aspartate transaminase, and Lactate dehydrogenase.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Total acidity decreased after Soo JeomSan administration for 6 days, however the total acidity inoreased after the drug administration for 9 days, these phenomena demonstrate that Soo Jeom San acts as a dual factor. The mechanism of decreasing the total acidity was considered to the inhibition of ATPase activity used for HCI active transport from parietal cells. 2. Soo Jeom San recovered the islets of Langerhans which was disrupted by streptozotocin. The recovery mechanism was suggested that Soo Jeom San stimulates the ${\beta}-cell$ proliferation. 3. Soo Jeom San inhibited the enzyme activities such as Creatine kinase and Aspartate transaminase, however the drug activated Lactate dehydrogenase. According to the obtained results, Soo Jeom San may be used for curing gastric ulcer and myocardiac infarction.

  • PDF

탄약 표면 처리용 아연계 인산염 피막의 중량 및 내식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ating weight and corrosion resistance of Zinc phosphate for surface treatment of ammunition)

  • 김명현;이승용;이현희;이영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603-610
    • /
    • 2017
  • 탄약을 포함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철강 재료는 부식에 취약하므로, 표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도금, 도장, 화성처리와 같은 표면 처리 이후 사용하여야 하는데, 탄약 제조 과정에서는 주로 아연계 인산염 피막 처리가 사용되고 있다. 표면 처리 기법 중 하나인 아연계 인산염 피막은 금속 표면을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안정성이 높은 화합물 층을 표면에 고착시키는 방법으로, 크게 도장 하지용 경인산염 피막과 부식 방지용 중인산염 피막으로 나뉘어지는데, 아연계 인산염 피막은 전산도, 철 함량과 같은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해 피막의 품질과 내식성이 결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전산도 및 철 함량이 탄약 부식 방지 목적으로 사용되는 아연계 중인산염 피막의 중량 및 내식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철 함량에 따라 피막의 구조가 치밀해지며, 내식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전산도는 피막의 두께와 중량에만 영향을 주고 내식성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위 결과를 토대로 탄약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인산염 피막 처리 공정의 최적 제어 수준을 제시하였다.

시판 고산도 식초의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mercial Vinegars with High Acidity)

  • 조덕조;박은주;여수환;정용진;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8호
    • /
    • pp.1204-1210
    • /
    • 2013
  • 총 산도 10% 이상의 시판 고산도 식초를 원료(사과농축액, 맥아엑기스, 액상포도당 및 현미당화농축액)와 산도(2배 및 3배)에 따라 구입하여 이화학적 품질 및 항산화 특성을 확인하였다. 총산 함량은 2배 식초(12.10~13.41%)와 3배 식초(18.15~18.36%) 사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고, 식초의 당도 및 환원당 함량은 각각 $7.00{\sim}10.80^{\circ}Brix$ 및 1.32~3,885.90 mg% 범위로 확인되었으며 일정한 경향은 관찰되지 않았다. 고산도 식초의 유리당으로 fructose 및 glucose가 주로 확인되었고, 2배 식초의 경우 3배 식초에 비해 종류와 함량 측면에서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식초의 품질지표인 acetic acid는 모든 식초에서 7,171~14,762 mg% 함량으로 분석되었고, oxalic acid의 경우 시판 고산도 식초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맥아엑기스를 사용한 2배 식초에서 총 24종의 유리아미노산이 확인되었고, 유리아미노산과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사과농축액을 원료로 한 2배 식초에서 가장 높게 확인되었고, 이는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도 영향을 주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산도 식초의 품질은 사용된 원료와 제조방법에 영향을 받았으며, 사과를 이용한 2배 식초는 가장 우수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제사용수의 수질이 견층 세리신(Sericin) 용해에 미치는 영향 (제2보) (Property of Filature Water against the Solubility of Cocoon Layer Sericin Seoul National Silk Conditioning House)

  • 김병호;원성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45-53
    • /
    • 1973
  • 1. 용수의 M-알카리도가 높을수록 견층 sericin의 용해도는 급격히 증가 하였다. 2. 처리후의 시수 조사결과 M-알카리도 25p.p.m. 이상애서 산도는 완전히 중화되었다. 3. 시수의 M-알카리도가 상승함에 따라 처리후의 M-알카리도도 증가 하였다. 즉 견층을 처리한 시수의 M-알카리도가 높을수록 견층내의 M-알카리도 용출량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4. 총경도는 시수의 M-알카리도가 증가 하는데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 내었다. .5. 用水의 산도가 높을수록 견층 sericin의 용해도는 현저히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6. 공시견 처리후의 수질변화를 보면 시수의 산도가 증가함에 따라 처리후 시수의 산도와 경도도 현저히 상승하는 반면 M-알카리도는 시수의 산도 20~40p.p.m. 에서 완전 중화되어 40p.p.m. 이상의 시수에서는 처리후 M-알카리도를 발견할 수 없었다. 7. 용수율의 철분 함유량이 증가하는데 따라 견층 sericin 용해도는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망강에서는 용수중의 망강이 증가하는데 따라 견층 sericin 용해도는 다소 감소 하였으나 그 경향은 매우 완만하였다. 8. 견층 처리후의 수질변화를 보면 산도 M-알카리도 및 총경도가 상당량 견층에서 용출된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이것은 시수의 pH 및 처리온도에 의한 것으로 보여지며 철분 함유량과는 아무런 관계도 인정할 수 없었다. 또한 망강에서는 시험후 수질변화를 조사한 결과 시수의 망강 함유량이 증가 하는데 따라 처리후의 M-알카리도는 감소 하였으나 산도 및 총경도는 증가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9. M-알카리도와 총경도를 변화하여 시험을 행한 결과 sericin 용해량이 증대되었다. 10. pH 및 총경도를 고정하고 M-알카리도 만을 변화시킨 경우 M-알카리도가 증가할 수록 sericin 용해도도 증대 되었다. 11. pH 총경도 및 M-알카리도를 고정하고 산도를 변화하여 시험한 결과 sericin 용해가 상당히 억제 되었다. 12. pH(6.8), M-알카리도를 고정하고 총경도만을 변화시킨 경우 sericin의 용해가 상당히 억제 되었다. 13. 각각의 수질 항목별로 sericin 용해에 미치는 작용면을 기본으로 분류하고 다시 "용해력증대" "용해력 보통" "용해력감소"의 구로 복합수질을 조제하여 시험 용해력 증대의 구는 용해력 감소의 구에 비하여 약 2.2%의 sericin 용해가 증대 되었으며 용해력 보통의 구에 있어 sericin 용해량은 2.4~2.9% 정도였다. 14. 4항 및 5항의 시험결과 견층 sericin 변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제사용수의 성분은 pH, M-알카리도, 산도 및 총경처이므로 앞으로 이상의 4개 항목을 기본으로 한 제사시험을 행하고 이 결과에 따라 최적의 제사용수 수질 조건을 설정코저 한다. 15. 동일 시수를 가지고 견층을 반복처리 하는데 따라 시수내의 완충력이 증가하여 견층 sericin의 용해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견층 sericin의 용해량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 PDF

고산도 배식초 제조 시 발효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Pear Vinegars with High-Acidity under Different Fermentation Conditions)

  • 조덕조;이혜진;정용진;여수환;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18-424
    • /
    • 2014
  • 배 농축액의 유가식 배양을 통해 영양원 없이 산도 12% 이상의 고산도 식초를 제조하면서 발효단계(Stage 1-4) 및 초기 알코올농도(6-9%)에 따른 품질특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환원당, 유리아미노산, 총 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은 1차 초산발효한 일반산도 식초에 비해 2차 초산발효한 고산도 식초에서 증가하였고, 이는 유가식으로 첨가된 feeding 알코올의 영향으로 사료되었다. SPME/GC-MS 분석을 통한 20여종의 휘발성분은 식초의 산도에 따라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었고, 초기 알코올농도의 증가에 따라 자극적인 향의 acid류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초기알코올 농도 6-7% 조건에서 유가식 배양으로 제조된 고산도 배식초는 일반산도 식초에 비해 우수한 품질을 나타내었고, 이에 관능특성 및 대규모 생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eoduck (Codonopsis lanceolata) with Different Aging Temperatures and Periods

  • Jang, Gwi Yeong;Lee, Youn Ri;Song, Eun Mi;Jeong, Heon Sang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58-263
    • /
    • 2018
  • To assess a potential possibility of Deoduck as functional food resourc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n Deoduck with various aging conditions; aging temperatures were 60, 70, and $80^{\circ}C$, and aging periods were 5, 10, 15, 30, and 50 days. We determined pH, total acidity, browning index, 5-hydroxymethyl-furfural, total phenolic contents,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aged Deoduck. Total acidity of aged samples increased during aging treatment, at higher temperature and longer time. The pH value of aged Deoduck ranged from 4.97 to 3.76. Aged Deoduck at $60^{\circ}C$ decreased slowly than 70 and $80^{\circ}C$, and these results were similar in total acidity. 5-HMF and total phenolic contents increased when increased aging temperature and period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Deoduck were ranged from 0.374 to 1.560 mg TEAC eq/g and from 0.302 to 1.745 mg trolox eq/g, respectively.

우리나라 제사용수의 실태 조사 (Sruvey of Raw Silk Reeling Water in Korea)

  • 성재천;이도;이도수;고춘섭;최금식;조원환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3-81
    • /
    • 1987
  • 전국 각 제사공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제사용수의 수원별 수질을 분석하여 제시용수로서의 적합여부를 판정하는 동시에 수질의 개선방안을 강구코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7개업체의 제사용수원은 하천수 14개업체, 지하수 9개업체, 혼합수 4개업체이며, 혼합수의 혼합수원은 하천수와 지하수의 혼합이 3개업체, 하천수와 우물물 혼합이 1개업체였다. 2. 분포건수 42건을 수질형별로 분류하면 수검형수질이 6건, 중건형수질이 6건, 조경형수질이 11건, 유해형수질이 6건, 기타 2개수질의 중간에 해당되는 수질형이 13건이었다. 3. 제사용수로서 적합한 수질은 40%정도이고, 제사공정은 조정으로 개선가능한 용수는 30%이며 30%정도는 용수교체 또는 개질을 요하는 용수였다. 4. Total carbonate, Electric conductivity, Chloricion이 많은 용수는 가정하수, 폐기물처리장, 축사 등에 심하여 제사공정에 지장이 우려되는 용수를 사용하는 업체가 7개업체였다. 5. 전반적인 수질내용은 pH가 낮아졌고, ('70년 대비) Total hardness는 높아졌으며 Carbonic acid(H2CO3), Hydrogen carbonate(HCO3-)가 높아져 Total acidity, M-alkalinity가 높아졌으며, 용존무기질성분이 많이 검출되었다. 6. pH가는 Acidity성분인 Carbonic acid(H2CO3)와 Alkalinity성분인 Hydrogen carbonate(HCO3-) 향유비에 따라 결정되므로 sericin의 용해를 촉진 또는 억제하기 위햐여, 개질코자 할 때에는 반드시 Total carbonate를 파악한 후 수질에 따라서 적합한 pH 값으로 조정하여야 한다. 7. Total hardness와 Electric conductivity의 상관계는 r=0.9145, y=15.967+0.2774x로서 고도의 상관성이 있었으며, Electric conductivity를 일으키는 물질은 제사용수에서 calcium과 Magnesium이었다. 8. 설문조사결과 제사업체에서 문제가 되는 수질항목은 Total carbonate, pH, M-alkalinity, Iion, Acidity, Turbidit, Colority순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