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p-hat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9초

에지 검출을 위한 변형된 top-hat 및 bottom-hat 변환 알고리듬에 관한 연구 (A Modified Top-hat and Bottom-hat transform for Edge Detection)

  • 백운석;이하운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901-908
    • /
    • 2016
  • 에지는 영상의 가장 기본적인 특징을 나타내며, 에지 검출은 영상처리 분야 및 컴퓨터 비전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연구들이 국내 외적으로 많이 수행되고 있다. 기존의 에지 검출 방법에는 로버츠, 소벨, 프리윗, 라플라시안 등 고정된 값의 마스크를 사용하는 방법들이 있으며 모폴로지 처리 기술 가운데 팽창과 침식을 이용하는 모폴로지 그라디언트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대각선 방향이나 완만한 영상의 변화가 있는 경우 에지 검출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경우에도 에지 검출이 잘 되는 변형된 top-hat 및 bottom-hat 변환 방식의 에지 검출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듬을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여 에지 검출 영상을 제시하였으며 코사인 기반의 유사도를 사용하여 성능 및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색도 정보와 Top-hat 연산을 이용한 얼굴 특징점 검출 (Facial-feature Detection using Chrominance Components and Top-hat Operation)

  • 부희형;이우주;임옥현;이배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상)
    • /
    • pp.887-890
    • /
    • 2004
  • 임의 영상에서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얼굴 특징점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은 얼굴 인식 및 표정 인식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은 색도 정보와 Top-hat 연산을 이용함으로써 얼굴의 유효 특징점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얼굴 영역 검출, 눈/눈썹 특징추출, 입술 특징추출의 세 과정으로 나눈다. 얼굴 영역은 $YC_{b}C_{r}$을 이용하여 피부색 영역을 추출한 후 모폴로지 연산과 분할을 통해 획득하고, 눈/눈썹 특징점은 BWCD(Black & White Color Distribution) 변환과 Top-hat 연산을 이용하며. 입술 특징점은 눈/눈썹과의 지정학적 상관관계와 입술 색상분포를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다양한 영상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얼굴의 유효 특징점을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초저비트율 동화상 압축을 위한 post-it 변환을 이용한 수리형태학적 상세부분(details)추출의 효율개선 (Efficiency Improvement of Morphological Details Extraction using Post-it Transformation for Very Low Bit-Rate Video Compression)

  • 허시행;어진우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239-246
    • /
    • 1998
  • 영상 압축을 위한 방법으로서 수리형태학적 상세부분(details)의 추출을 위한 방법인 post-it 변환 과정 중에서 기존에는 상세부분(details)를 추출하는 단계의 참조영상을 일반 top-hat 결과로 취함으로서 상세부분(details)의 정보량이 많아 지고 밝고 어두운 상세부분(details)을 뺀 smoothed 영상이 평활화 되지 않고 오히려 공간주파수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참조영상을 일반 top-hat이 아닌 재생 top-hatd의 사용을 제안함으로서 상세부분(details) 영상과 smoothed 영상의 압축효율 증대와 재생과정상의 반복연산수 감소 효과가 발생함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단독적으로 사용되는것이 아니라 동화상의 고효율 압축시 그 일부 과정으로 이용하며 이러한 변형 post-it 변환을 분할기반 부호화와 연계하여 동화상 비디오 시퀸스에 적용함으로서 본래 목적하였던 초저속 동화상 전송을 위한 고효율 압축을 실현하고자 한다.

  • PDF

항만 영상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컨테이너 식별자 인식 (A Recognition Method of Container ISO-code for Vision & Information System in Harbors)

  • 구경모;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21-723
    • /
    • 2007
  • 현재 항만의 컨테이너 양하 및 적하 과정에서 획득되는 컨테이너 영상은 크기 및 위치가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Yard Tractor의 정차 차선과 컨테이너의 크기 등의 외부 환경 변화로 인해 인식에 적합한 영상을 획득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Top-Hat Transform을 이용하여 실시간 영상으로부터 문자의 영역을 추정하고, 카메라의 PAN/TILT/ZOOM 기능을 이용한 시선이동을 통해 문자인식에 적합한 영상을 획득한다. 획득된 컨테이너 영상으로부터 Top-Hat Transform 및 Histogram Projection을 이용하여 식별자 영역을 추출하고 이진화한 뒤, Labeling 된 결과를 토대로 배경과 문자영역을 구분하고 개별 문자들을 추출한다. 이후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된 개별 문자들을 인식한다. 실제 부두에 설치하여 제안된 컨테이너 식별자 영상 획득 및 인식 방법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PDF

모드 정합법에 의한 원판 부착형 EMI 모노폴 안테나의 복소 안테나 인자 해석 (Mode-Matching Analysis for Complex Antenna Factors of Circular Top-Hat EMI Monopole Antennas)

  • 정운주;김기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024-1029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시간영역의 전자계 측정에 사용하기 위한 원판 부착형 모노폴 안테나의 복소 안테나 인자를 검토하고 있다. 이론 해석으로서는 가상 전기벽을 설정하여 각 영역에서의 전자계를 고유함수로 전개하고 모드 정합법을 적용하여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 및 안테나 인자 등을 계산하고 있다. 이론 해석의 결과, 모노폴 안테나에 원판을 부착하면 저주파수 대역에서의 안테나 인자 절대치는 발산하지 않으며 일반적인 모노폴 안테나에 비교하여 광대역 특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모드 정합법에 의한 이론 해석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입력 임피던스의 이론치와 측정치를 비교하여 양자가 잘 일치함을 확인하고 있다.

Top-hat 패치 이중대역 안테나 (Design of top-hat patch dual-band antenna)

  • 천영민;천창율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77-381
    • /
    • 2004
  • 안테나를 소형화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들여왔다. 모노폴 안테나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많은 연구가 있어왔고 그 중 모노폴 끝에 원반 모양의 패치를 붙인 것이 top-hat 패치 안테나이다. 그리고 다른 대표적인 방법 중의 하나가 PIFA(Planar inverted-F antenna) 구조의 안테나이다. 이 둘을 이용해서 좀 더 작은 크기의 안테나를 구현할 수 있고 안테나 구조를 적절히 변형하여 이중 공진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패치에 슬롯을 주어 전류의 흐름을 변환시켜 이중 공진을 일으킬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점은 이 안테나의 몇 가지 요소를 변화시킴으로써 공진주파수를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 PDF

서열 환경에서 농작업 모자 착용에 따른 체온 조절 및 주관적 반응 (Thermal and subjective responses by sun hats for farmer in a hot climatic chamber)

  • 김명주;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13-722
    • /
    • 200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wo kinds of functional sun hats through a head-manikin test and a climatic chamber trial for farm workers in summer. Experiment was composed of four conditions. The first condition was the condition without any hat (Control). The second was the condition with a sun hat on the market (Hat A). The third was the condition with a functional sun hat made of reflective fabric (Hat B). The last was the condition with a functional sun hat having a ventilating structure as well as reflective fabric (Hat C). For the subjects in the climatic chamber trials, 12 healthy males volunteered.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globe temperature in the chamber was maintained at $33{\pm}0.5^{\circ}C,\;65{\pm}5%RH\;and\;39{\pm}1^{\circ}C\;(WBGT\;33^{\circ}C)$. Subjects did a simulated red pepper-work (50-min work and 10-min rest, twice repetition) for 120 min. As the result of head-manikin test, the surface temperature on middle of back-neck was the lowest in Hat B of four conditions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n top of head was the lowest in Hat C. As the result of climatic chamber trials, there were apparent differences between with (Hat A, Hat B, Hat C) and without a sun hat (Control). In rectal temperature ($T_{re}$), mean skin temperature ($\={T}_{sk}$), heart rate (HR), total sweat rate (TSR), The physiological heat strain was less in the condition with hats than in the condition without a sun hat. As the increasing rate in Tre, Hat B is the most effective hat for alleviation heat strain. As the subjective responses, Hat B was the most effective hat for thermal comfort even 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at C was less effective than Hat B and the reason might be the increase of weight due to inserting the ventilating structure.

캠브리지 대학 고고인류학 박물관 소장 한복유물에 관한 연구 (Korean Dress Collection Held in the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in Cambridge)

  • 김순영
    • 복식
    • /
    • 제61권9호
    • /
    • pp.84-96
    • /
    • 2011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ormative features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Korean dress collection held in the Museum of Archaeology and Anthropology in Cambridge. The Museum holds a total of eleven items of koran dresses that were donated by two anthropologists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Male dresses consist of a white cotton jacket (Jeogori), a under-vest (Deungbaeja) made of light wisteria rings, a headband (Manggeon) made of horsehair, a broad brimmed top hat (Gat) made of black horsehair gauze, an oilskin cover (Galmo) drawn over the hat in wet weather, and a hemispherical hat box (Gatjib). Female dresses comprise a pink silk jacket (Jeogori), a blue silk skirt (Chima) with pleats, a pair of woman's white cotton trousers (Sokgot), a black silk cap (Jobawi) decorated with pink tassels and imitation pearls, and a pair of green and magenta silk shoes (Danghye) with leather soles and metal rivets. Theses Korean dresses show what the western anthropologists had interests in. When collectors collect the folk objects, they thought much of the specificity of shape and material, the esthetic appreciation, and the representation of daily life. In terms of the value as the historical materials in the history of Korean dress, the under-vest of wisteria, the hat box, and the female dresses are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under-vest is one that was produced in earlier time among the remaining under-vests. The hat box represents that the hat belonged to the merchant classes. The female dress items show daily dresses worn by women of higher classes of the society in the 1920s.

고신라기 토우에 나타난 복식 연구 (A Study on the Costume Represented in Clay Figures of Ancient Shilla Dynasty)

  • 권준희
    • 복식
    • /
    • 제51권4호
    • /
    • pp.57-6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stume represented In human clay figures of ancient Shilla dynas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Horse-riding clay figures of Gumryoung tomb. At first, human-A wears a brimed-triangular hat, a Jacket, a checked pants. The brimed-triangular hat is decorated with bird-feather shape. Besides, a jacket is tied with a waist belt, and the waist belt is connected with a shoulder belt and a squared block of back. Also round bells are decorated 15 in the hat, 4 In connection points of the waist belt and the shoulder belt, and 13 in the squared block of back. Human-B wears a hairband type hempen hood, a Jacket, a pants with vertical stripes. and something is rounded from right shoulder to left side. It is one of the symbols as a shaman. 2. Other clay figures. The hats examined from other clay figures are \circled1 Triangular hat, \circled2Hat decorated with bird-feather shape, \circled3 Brined hat and \circled4 Hairband type hempen hood. Next, six kinds of hair styles examined are \circled1 a topknot, \circled2 a slanted topknots, \circled3 two topknots on both sides, \circled4(round) chignon, \circled5 hair tied at the top and plastered down, and tile last, \circled6 ponytailed style on both sides. The costume examined is a jacket and a pants.

  • PDF

19세기 말~20세기 초 한국 갓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Top Hat, the Gat, from the Late 19th to the Early 20th Century)

  • 김순영
    • 복식
    • /
    • 제64권6호
    • /
    • pp.176-191
    • /
    • 2014
  •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gat, the Korean top hat for men, to understand the diverse meanings behind the hat. During the late 19th to early 20th century, the Joseon Dynasty (1392~1910) was plunged into confusion and turmoil as it was nearing its end. It was a period of drastic changes in regards to philosophy and ideology. To that end, the hats of society mirrored such changing times, as well as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Joseon's internal subject entities and external observers.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relevant documents, this study takes a multi-faceted approach to the process in which traditional Korean hats, which were once a symbol of the Joseon civilization, became reduced to an outdated object, as well as observing the awareness and attitudes of the entities involved in such a pivotal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