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ssue residue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3초

생쥐 부정소 부위별 당쇄 분포의 차이 (Regional Difference in Distribution of Glycoconjugates in Mouse Epididymis)

  • 계명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2호
    • /
    • pp.167-173
    • /
    • 2001
  • Ulex europaeus agglutinin I(UEA I), succinylated wheat germ agglutinin(sWGA), Griffonia simplicifolia lectin-I(GSL-I)을 이용하여 생쥐 부정소 조직내 당쇄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당쇄의 측쇄 말단의 $\alpha$-L-fucos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UEA I은 체부 및 미부 부정소를 제외한 두부 부정소 선단의 세정관 상피를 강하게 표지하였으나 관강은 중간 정도의 강도로 모두 표지되어 $\alpha$-L-fucose 잔기를 갖는 부정소 항원들은 부정소 선단부에서 주로 합성된 후 분비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반대로 당쇄 말단의 $\alpha$-D-galactos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GSL-I은 두부 부정소를 제외한 체부와 미부 부정소 상피의 투명세포의 세포질과 섬모 및 기저세포를 표지하였다. 다당 사슬 및 복잡한 구조를 갖는 glycan의 당쇄의 N-acetyl-giucosamine 잔기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sWCA는 부정소 부위별로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체부와 미부 부정소의 투명세포는 주세포에 비해 더 강하게 표지되어 sWGA 표지는 투명세포 기능분화의 표식자로 추측된다. UEA I 및 sWGA에 의한 관강의 표지 강도는 체부보다는 미부에서 약하게 관찰되어 미부 부정소 관강내에 $\alpha$-L-fucose 및 N-acetyl-glucosamine 잔기의 절단과 관련된 효소활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요약하면 $\alpha$-L-fucose, $\alpha$-D-galactose, N-acetyl-glucosamine 잔기를 갖는 당쇄의 분포가 상피세포의 종류 및 부정소의 길이를 따라 차이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정자의 성숙을 조절하는 부정소 각 절편 및 특정 절편 내 소관상피 세포의 기능적 분화를 대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잡초종의 Allelopathic 잠재성 평가 (Assessment of Allelopathic Potential of Some Weed Species on Alfalfa(Medicago sativa L.)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 정일민;디 에이 밀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30
    • /
    • 1995
  • 본 실험은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canada thist1e 등 7종잡초의 allelopathic 잠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물의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대한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두 추출물이 공히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보다 더 큰 억제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b=3.69),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정도를 보였다(b=2.39). 2. 농도에 따른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외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으며, 알팔파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3. 건조된 velvetleaf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시 혼합비율이 증가될수록 알팔파의 초기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혼합비율 1%에서는 출현율과 생존율이 44.0%, 56.7%로 가장 낮았다. 4. 잡초 잔기의 처리시간에 따른 알팔파 초기 생육에 대한 억제작용은 처리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알팔파 생장이 억제되었고, 그 억제정도는 velvetleaf 72시간 처리시 가장 높았다.

  • PDF

시판중인 뱀장어중의 Oxolinic acid 잔류량과 가열에 의한 변화 (Oxolinic acid Residue in the cultured Eel Tissues and its Change to Heating Process)

  • 김경호;송미란;최선남;최민순;박관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19
    • /
    • 1998
  • 수산용 항균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옥소린산의 잔류량을 전북지역에서 기판중인 뱀장어 근육조직에서 측정하였다. 후배부 근육중의 옥소린산 잔류량은 시료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32%의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옥소린산이 검출된 시료중 16%에서는 그 농도가 0.1ppm이상이었다. 중요 장기중의 옥소린산 농도는 신장>간장> 혈장>근육의 순이었다. 근육중의 옥소린산은 10분 가열에 의해 거의 감소가 되지 않았으며 30분 가열에 의해서는 원래 농도의 50%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나 30분 가열후의 시료는 김하게 탄화되었다. 고용량의 옥소린산을 실험실적으로 뱀장어에 투여하여 얻은 근육중의 농도나 수용액중의 옥소린산이 가열에 의해 파괴되는 경향을 검토함으로써 뱀방어에 투여하여 얻은 근육중의 농도나 수용액중의 옥소린산이 가열에 의해 파괴되는 경향을 검토함으로써 옥소린산의 열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뱀장어 소비자를 옥소린산 섭취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규제의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a solid-phase fluorescence immunoassay to determine streptomycin residues in muscle tissu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red sea bream (Pagrus major)

  • Chung, Hee Sik;Kim, Suk;Chun, Myung Sun;Jung, Won Chul;Kim, Dong Hyeok;Shon, Ho Yeong;Lim, Jeong Ju;Lee, Hu-Ja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41-245
    • /
    • 2007
  • Parallux (IDEXX Laboratories, USA), a solid-phase fluorescence immunoassay (SPFIA) developed for antibiotics residue detection in milk, was applied for analysis of antibiotics in muscle tissu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nd red sea bream (Pagrus major). Fishes were dipped in streptomycin 20 g/ton water, the recommended therapeutic dose, for 3 consecutive days. Muscle was sampled after 1st, 2nd, 3rd, 4th and 5th day drug treatment. The concentration of streptomycin in muscle, determined by SPFIA, was compared with that of internal standard (200 ppb as streptomycin). The absorbance ratio of sample to internal standard (S/C) was employed as an index to determine the muscle residues in fishes. The standard solutions were added to muscle samples to give final concentrations in muscle of 0.2 and 0.5 mg/ml to investigate the recovery rate. The recovery rates of all spiked samples were > 84% of the spiked value. Streptomycin was detected in muscles of fishes treated after the 1st day of withdrawal period.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SPFIA can be easily adopted in predicting muscle tissue residues for streptomycin in farmed fishes.

Fenitrothion의 생체내 분포 및 잔류성에 관하여 (Distribution and Persistence of Fenitrothion in Rats)

  • 이상기;유영찬;정규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13
    • /
    • 1997
  • Distribution and persistence of fenitrothion in rats were studied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of a single dose 300 mg/kg of body weight. Residue of the parent compound was analyzed in blood, liver, kidney, brain, lung and heart 2, 4, 6, 8 hours and 1, 2, 3, 5, 7 days after oral administration.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fenitrothion appeared in the blood, kidney, heart on the 2 hour and liver, brain, lung on the 4 hour. Residues of the parent compound in kidney were much higher and persistent than other tissues and the pesticide was not detected on the 7th day. Recoveries were ranged from 83.0(lung, $1 \mu g/g$) to 97.5%(blood, $1.5 \mu g/ml$).

  • PDF

보리새우에 잔류하는 Oxolinic Acid HPLC를 이용한 검출법 (Determination of Oxolinic Acid Residues in Acetes japonicus by HPLC)

  • 이문한;임재영;정순관;손성완;박종명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47-150
    • /
    • 1993
  • Oxolinic Acid는 양식어류에 흠히 쓰이고 있는 항균성물질이나 국내에서는 잔류허용 기준과 공정분석법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해외의 경우 이 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 여러 방법이 고안되어 소개되어 있으나 검출감도가 낮거나 분석 방법이 복잡하여 단시간내에 다량의 시료를 처리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리새우 중에 잔류하는 Oxolinic Acid를 ethylacetate로 용출한 다음 이를 증발시키고 여기에 묽은 Oxolinic Acid와 hexane을 가하여 방해물질을 제거하면서 재추출하여 시료를 정제하였다. 이 시료를 HPLC의 자외선 검출기로 정량하였던 바 회수율은 79~91%, 검출한계는 50ppb였으며 재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잔류검사법으로 적합하다고 사료되어 보고한다.

  • PDF

전치부 Pontic ridge lap 제작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Making of Anterior Pontic Ridge Lap)

  • 김욱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28-334
    • /
    • 2016
  • 본 연구는 보철치료의 최종 목적인 결손치아 및 그 주위 조직의 정상적 기능의 회복과 유지를 위한 전치부 교의치의 반 자정(ridge lap)형 가공치의 체계적인 제작 방법을 연구하였다. 가공치가 갖추어야 할 설계 기준를 제도화 하였고, 치과의사의 소견으로 염증, 치주질환, 음식물 잔류 및 자정작용의 효과가 기존의 제작 방법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가공치 제작방법은 임상에 적용해도 무방하다고 판단된다.

육계에서 설파퀴녹살린 및 트리메토프림 합제의 잔류분석 (Residue Depletion of the Sulfaquinoxaline and Trimethoprim Combination in Broilers)

  • 임종환;황윤환;김명석;송인배;박병권;윤효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65-568
    • /
    • 2010
  • 설파퀴녹살린과 트리메토프림 합제는 닭콕시듐병의 예방과 치료목적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나, 닭에서의 잔류에 관한 연구보고는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수첨가용 액제로 신규 개발된 설파퀴녹살린 및 트리메토프림 합제 (설파퀴녹살린, 100 g/L; 트리메토프림, 33.4 g/L)를 육계에 음수 리터당 본제 0.75 mL 및 1.5 mL를 3일간 투여한 후 살처분하여 가식부위내 잔류농도를 액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약물 투여 후 7일째에는 모든 가식부위내에서 설파퀴녹살린 및 트리메토프림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신규 음수첨가용 액제인 설파퀴녹살린 및 트리메토프림 합제의 휴약기간은 최소 5일 이상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Improved immune responses and safety of foot-and-mouth disease vaccine containing immunostimulating components in pigs

  • Choi, Joo-Hyung;You, Su-Hwa;Ko, Mi-Kyeong;Jo, Hye Eun;Shin, Sung Ho;Jo, Hyundong;Lee, Min Ja;Kim, Su-Mi;Kim, Byounghan;Lee, Jong-Soo;Park, Jong-Hyeon
    •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 /
    • 제21권5호
    • /
    • pp.74.1-74.13
    • /
    • 2020
  • Background: The quality of a vaccine depends strongly on the effects of the adjuvants applied simultaneously with the antigen in the vaccine. The adjuvants enhance the protective effect of the vaccine against a viral challenge. Conversely, oil-type adjuvants leave oil residue inside the bodies of the injected animals that can produce a local reaction in the muscle. The long-term immunogenicity of mice after vaccination was examined. ISA206 or ISA15 oil adjuvants maintained the best immunity, protective capability, and safety among the oil adjuv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Objectives: This study screened the adjuvant composites aimed at enhancing foot-and-mouth disease (FMD) immunity. The C-type lectin or toll-like receptor (TLR) agonist showed the most improved protection rate. Methods: Experimental vaccines were fabricated by mixing various known oil adjuvants and composites that can act as immunogenic adjuvants (gel, saponin, and other components) and examined the enhancement effect on the vaccine. Results: The water in oil (W/O) and water in oil in water (W/O/W) adjuvants showed better immune effects than the oil in water (O/W) adjuvants, which have a small volume of oil component. The W/O type left the largest amount of oil residue, followed by W/O/W and O/W types. In the mouse model, intramuscular inoculation showed a better protection rate than subcutaneous inoculation. Moreover, the protective effect was particularly weak in the case of inoculation in fatty tissue. The initial immune reaction and persistence of long-term immunity were also confirmed in an immune reaction on pigs. Conclusions: The new experimental vaccine with immunostimulants produces improved immune responses and safety in pigs than general oil-adjuvanted vaccines.

Micro-ecosystem중 bipyridylium 제초제 paraquat 토양잔류물의 행적 (Behaviour of the soil residues of the bipyridylium herbicide, [$^{14}C$]paraquat in the micro-ecosystem)

  • 권정욱;이재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6-77
    • /
    • 1999
  • Bipyridylium계 제초제 paraquat 잔류물의 토양중 행적을 구명하기 위하여 [$^{14}C$]paraquat의 신생 및 6주간의 숙성잔류물을 함유한 2종의 토양을 가지고 특수하게 제작한 pot에서 옥수수를 4주간 재배하였다. 숙성기간과 옥수수 재배기간 동안 $^{14}CO_{2}$로 무기화된 양은 총처리 방사능의 각각 $0.13{\sim}0.18%$$0.02{\sim}0.17%$이었다. 옥수수 재배기간중 뿌리와 줄기에 흡수 이행된 $^{14}C$은 두 토양 모두에서 각각 0.1%와 0.01% 미만이었으나 토양중에 남아 있는 $^{14}C$은 두 토양 모두에서 총처리 방사능의 97% 이상이었다. 4주간 옥수수를 재배한 후 토양중 paraquat의 물에 의한 추출율은 1.2% 이하로 매우 낮았고 [$^{14}C$]paraquat 추출불가 토양잔류물의 대부분은 humin에 혼입되어 있었다. 토양을 숙성하는 동안 토양 B의 pH가 증가하였고 옥수수 재배후에는 모든 처리구에서 토양의 pH가 증가하였다. 옥수수뿌리의 각 subcellular particle중에서 residue 분획(incompletely homogenized tissue)에 가장 많은 $^{14}C$이 분포해 있었다. 토양의 dehydrogenase 활성은 숙성에 관계없이 옥수수 재배후에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