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ssue of rat

검색결과 1,372건 처리시간 0.025초

비만모델 랫드에서 지장김치의 혈액 지질대사, 항비만 효능 및 메카니즘 (Biochemical mechanism of Jijang-Kimch on anti-obesity effect and blood lipid metabolism in obesity model rats)

  • 신종서;엄경환;최윤서;이혜선;박희진;박병성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1198-1207
    • /
    • 2019
  •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한 비만모델동물에서 지장김치의 혈액 중 유해 지질 감소, 항비만 효능 및 그 작용 메카니즘을 조사하였다. 4개의 처리구는 CD(일반식이를 섭취한 정상 대조구, chow diet as normal control), HFD(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비만 대조구, high fat diet as obesity), HFDCK(고지방식이+일반김치 추출물 투여구), HFDJK(고지방식이+지장김치 추출물 투여구)로 구분하여 김치추출물을 28일 동안 경구투여 하였다. 체중, 간 및 지방조직 무게는 비만모델동물에서 HFDJK가 HFDCK에 비해서 낮았다(p<0.05). 혈액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LDL-C, 혈당은 HFD와 비교할 때 CD, HFDJK, HFDCK의 순서대로 낮았으며 HFDJK는 HFDCK에 비해 낮았다(p<0.05). 간 및 지방세포의 크기는 HFD, HFDCK, HFDJK의 순서대로 증가하였으며 HFDJK는 HFDCK에 비해서 크게 낮았다(p<0.05). 결과는 비만모델동물에서 지장김치의 섭취가 일반김치에 비해서 혈액 지질과 혈당을 낮추고 지방세포의 크기를 줄여줌으로써 항비만 효능을 갖는다는 점을 나타낸다.

TCDD를 투여한 rat의 간손상에 대한 어성초의 효과 (Effects of Houttuynia Cordata thunb on the liver damage of TCDD-treated rats)

  • 하배진;하종명;이상현;이재화;정혜진;이상헌;김희진;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57-462
    • /
    • 2003
  • TCDD를 투여한지 일주일 후부터 어성초를 200mg/kg 복강 내로 4주간 격일로 투여하였다. TTA군과 NTT군은 saline을 투여하였다. 혈청에서 GOT, GPT의 활성도를 측정하였고, 간조직중에서 MDA, GSH, GSSG, GPx, SOD, Catalase의 level을 측정하였다. GOT 활성도는 HTT군이 TTA군과 비교해서 49.00%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반면 GPT활성도는 TTA(29.70)군에 비해 68.36%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MDA는 TTA군이 NTT군 보다 높게 나왔으며, HTT군은 NTT군에 비교하여 30.47%의 억제율을 보였다. HTT군의 GSH는 TTA군에 비해 1.91배 증가하였고, GSSG는 TTA군에 비해 46.72% 감소하였다. SOD는 TTA군이 NTT군보다 낮게 나타났고, HTT는 TTA군에 비해 46%의 증가를 보였다. Catalase는 TTA군(1.12mU/mg protein)의 활성은 NTT(3.44mU/mg protein)군 보다 32.56% 감소하였다. HTT군의 간의 Catalase 활성도는 TTA 군과 비교하여 50.00% 증가 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보듯이 TCDD로 인해 생성된 free radical은 항산화 효소에 의해서 감소되었으며, 그리고 어성초가 항산화 효소 대신에 노화를 저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사료 된다.

고본양정방 투여가 TCDD 유도 랫드의 생식독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obonyangjeonbang Administration on Reproductive Toxicity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induced Rats.)

  • 오지혜;양동현;박운규;조충식;황석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504-512
    • /
    • 2021
  • TCDD로 유발할 수 있는 남성 난임 원인 중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정자형성 장애와 정자의 질적 저하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GYB의 한의학적 처방을 이용하여 TCDD-유도 생식독성을 유발한 랫드에서 내분비기능 및 생식독성 관련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수컷 SD 랫드를 5개의 그룹으로 7마리씩 나누어 실험하였다. 정상 대조군은 vehicle 및 saline을 투여하였으며, TCDD 단독투여그룹은 TCDD(2 ㎍/kg, weeks) 및 생리식염수를 복강 내 투여하였으며, 시험 군은 6주 동안 GYB (75, 150, 300 mg/kg)를 3가지 농도로 나누어 경구로 투여하였다. TCDD를 투여한 모든 군에서 체중 감소가 나타났으며, 호르몬 변화에서 GYB 300 mg/kg 투여군에서 free testosterone의 유의한(p<0.01)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GYB 투여군의 고환조직에서 생식세포 일부 파괴, 정세관 위축 그리고 정자 수의 감소가 농도 의존적으로 개선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Johnsen's score, serotoli cell index(SCI)에서도 농도 의존적으로 개선되었다(p<0.05). 이러한 발견은 향후 남성 난임의 해결방안으로 의학적 시술이 아닌 약물요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인회석 박막 피복 도관과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유전자 이입 슈반세포를 이용한 백서 좌골신경 재생에 관한 연구 (SCIATIC NERVE REGENERATION USING CALCIUM PHOSPHATE COATED CONDUIT AND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GENE-TRANSFECTED SCHWANN CELL IN RAT)

  • 최원재;안강민;황순정;정필훈;김명진;김남열;유상배;장정원;김현만;김중수;김윤희;김성민;이종호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1권3호
    • /
    • pp.199-218
    • /
    • 2005
  • Purpose of Study: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depends on neurotrophism of distal nerve stump, recovery potential of neuron, supporting cell like Schwann cell and neurotrophic factors such as BDNF.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can be enhanced by the conduit which connects the both sides of transected nerve. The conduit maintains the effects of neurotrophism and BDNF produced by Schwann cells which can be made by gene therapy. In this study, we tried to enhance the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by using calcium phosphate coated porous conduit and BDNF-Adenovirus infected Schwann cells in sciatic nerve of rats. Materials and Methods: Microporous filter which permits the tissue fluid essential for nerve regeneration and does not permit infiltration of fibroblasts, was made into 2mm diameter and 17mm length conduit. Then it was coated with calcium phosphate to improve the Schwann cell adhesion and survival. The coated filter was evaluated by SEM examination and MTT assay. For effective allogenic Schwann cell culture, dorsal root ganglia of 1-day old rat were extracted and treated with enzyme and antimitotic Ara-C. Human BDNF cDNA was obtained from cDNA library and amplified using PCR. BDNF gene was inserted into adenovirus shuttle vector pAACCMVpARS in which E1 was deleted. We infected the BDNF-Ad into 293 human mammary kidney cell-line and obtained the virus plaque 2 days later. RT-PCR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ecretion of BDNF in infected Schwann cells. To determine the most optimal m.o.i of BDNF-Ad, we infected the Schwann cells with LacZ adenovirus in 1, 20, 50, 75, 100, 250 m.o.i for 2 hours and stained with ${\beta}$-galactosidase. Rats(n=24) weighing around 300g were used. Total 14mm sciatic nerve defect was made and connected with calcium phosphate coated conduits. Schwann cells$(1{\times}10^6)$ or BDNF-Ad infected Schwann cells$(1{\times}10^6)$ were injected in conduit and only media(MEM) was injected in control group. Twelve weeks after surgery, degree of nerve regeneration was evaluated with gait analysis, electrophysiologic measurements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Results: 1. Microporous Millipore filter was effective conduit which permitted the adhesion of Schwann cells and inhibited the adhesion of fibroblast. We could enhance the Schwann cell adhesion and survival by coating Millipore filter with calcium phosphate. 2. Schwann cell culture technique using repeated treatment of Ara-C and GDNF was established. The mean number of Schwann cells obtained 1 and 2 weeks after the culture were $1.54{\pm}4.0{\times}10^6$ and $9.66{\pm}9.6{\times}10^6$. 3. The mRNA of BDNF in BDNF-Ad infected Schwann cells was detected using RT-PCR. In Schwann cell $0.69\;{\mu}g/{\mu}l$ of DNA was detected and in BDNF-Adenovirus transfected Schwann cell $0.795\;{\mu}g/{\mu}l$ of DNA was detected. The most effective infection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by LacZ Adenovirus and 75 m.o.i was found the most optimal. Conclusion: BDNF-Ad transfected Schwann cells successfully regenerated the 14mm nerve gap which was connected with calcium phosphate coated Millipore filter. The BDNF-Ad group showed better results compared with Schwann cells only group and control group in aspect to sciatic function index, electrophysiologic measurements and histomorphometric analysis.

백서의 치아이동 시 피질골 천공이 치주조직의 MMP-1, -8, -13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xpression of MMP-1, -8, and -13 mRNA in the periodontal ligament of rats during tooth movement with cortical punching)

  • 곽춘;김성식;박수병;손우성;김용덕;전은숙;박미화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7-201
    • /
    • 2008
  • 본 연구는 피질골 천공을 동반한 교정적인 치아이동이 통상의 교정적인 치아이동과 조직 재형성의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실험동물은 15주령 군 300 - 350 g의 자성 백서(Sprague-Dawley Rat)를 사용하였으며 피질골 천공을 동반한 치아이동 실험군(TMC group, n = 16)과 단순 치아이동 대조군(TM group, n = 16)으로 나누었다. 모든 실험동물에 20 gm 이하의 힘으로 전치부를 이개시키는 치아 이동을 시행하였으며, 실험군은 상악전치부의 직후방 구개측에서 치근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직경 1.0 mm의 microscrew를 사용하여 피질골 천공을 하였다. 모든 실험동물은 1, 4, 7, 14일에 희생시켜서 matrix metalloproteinase (MMP)-1, -8, -13 효소의 RT-PCR과 I형 교원질(Collagen type I)과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1 (TIMP-1)의 면역조직화학염색(immunohisto-chemistry)을 시행하였다. MMP-1은 실험군에서 4일째에 가장 활발한 발현을 보이다가 7일째와 14일째에 조금씩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에, 대조군에서는 실험 7일째에 가장 높은 발현을 보이다가 14일째 들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MMP-8은 실험 1일째부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더 많은 발현을 보였으며, 특히 4일째의 실험군에서는 대조군보다 두 배 이상 발현되었다. MMP-13은 실험 1일째의 실험군에서 가장 높은 발현도를 보였으며, 대조군에서는 오히려 미처치 대조군에 비해 더 낮게 발현되었다. I형 교원질의 면역조직화학염색 결과는 실험 4일째부터 압박측에서는 실험군에서 대조군보다 더 많은 교원질의 소실을 보였고, 인장측에서는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더 많은 교원질의 염색 소견을 보였다. TIMP-1은 실험 4일째에는 압박측에서 대조군이 실험군보다 치주인대와 치조골의 골세포에서 좀 더 균일한 염색 소견을 보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에서 피질골 천공은 백서의 실험적 치아이동에 있어 치주인대와 치조골 결합 조직의 재형성 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납(Lead)이 취외분비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ad Acetate on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 신윤용;김원준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7-25
    • /
    • 1981
  • No evidence has accumulated that lead compound is an essential component for biological function in animals. Lead is absorbed primarily through the epithelial mucosal cells in duodenum and the absorption can be enhanced by the substances which bind lead and increase its solubility. Iron, zinc and calcium ions, however, decrease the absorption of lead without affecting its solubility, probably by competing for shared absorptive receptors in the intestinal mucosa. Therefore, the absorption of lead is increased in iron deficient animals. Lead shows a strong affinity for ligands such as phosphate, cysteinyl and histidyl side chains of proteins, pterins and porphyrins. Hence lead can act on various active sites of enzymes, inhibiting the enzymes which has functional sulfhydryl groups. lead inhibits the activity of ${\delta}$-aminolevulinic acid dehydratase for the biosynthesis of hemoproteins and cytochrome, which catalyzed the synthesis of monopyrrole prophobilinogen from ${\delta}$-aminolevulinic acid. Accordingly lead decrease hepatic cytochrome p-450 content, resulting an inhibition of the activity of demethylase and hydroxylase in liver. Little informations are available on the effect of lead on digestive system although the catastrophic effects of lead intoxication are well documented. The present study was, therefore,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d on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in rats. Albino rats of both sexes weighing $170{\sim}230g$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one control and three treated groups, i.e., control (physiologic saline 1.5ml/kg i.p.), lead acetate $(l0{\mu}mole/kg/day\;i.p.)$, $Pb(Ac)_2$ and EDTA$(each\;10{\mu}mole/kg/day\;i.p.)$, $Pb(Ac)_2$ and $FeSO_4(each\;l0{\mu}mole/kg/day\;hp)$. The pancreatico-biliary juice was collected under urethane anesthesia, and activities of amylase and lipase were determined by employing Sumner's and Cherry and Crandall's methods. The summarized results are follows. 1) In the experiment for acute toxicity of lead acetate, 20% of mortality was observed in rat treated with lead acetate as well as inhibition of the activity of amylase in the juice at the 3 rd day of the treatment. 2) No increases in body weight were observed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while in control group the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However, the body weights of animals were increased in the group lead acetate plus EDTA or $FeSO_4$. 3) Lead acetate decreased significantly the volume of pancreatico-biliary juice whereas additional treatment of EDTA and $FeSO_4$ prevented it. 4) Total activity of amylase was markedly reduced due to lead acetate treatment, but no change was showed following additional treatment with EDTA and $FeSO_4$. 5) No changes in the cholate and lipase output were observed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rats. 6) Increase in bilirubin output in rats treated with lead acetate was shown on the 2nd and 3rd weeks treatment. 7) In the case of in vitro experiment, lead acetate also markedly inhibited release of amylase from pancreatic fragment. 8) Histologic finding indicated that acini vacuolation was induced in the pancreatic tissue of rat treated with lead acete. From the above results, it might be concluded that lead acetate decreases the volume of pancreatico-biliary secretion and inhibits the amylase activity, by acting directly on pancreatic cells.

  • PDF

백서(白鼠) 뇌조직(腦組織)에서 Morphine의 Saturable Binding에 미치는 전해질(電解質)의 영향(影響) (Effect of Electrolytes on the Saturable Binding of Morphine in Rat Brain Tissue)

  • 고복현;채수완;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33-44
    • /
    • 1982
  • 전해질농도(電解質濃度)를 달리하고 morphine, naloxone 또는 morphine+naloxone을 가(加)하거나 가(加)하지 않은 modified Krebs-Henseleit bicarbonate buffer용액(溶液)에 흰쥐의 뇌절편(腦切片)을 incubate하여 저온처리(低溫處理)와 media내(內) 전해질조성(電解質組成)이 $(^3H)-morphine$의 saturable binding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관찰(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成績)을 얻었다. 1) 저온처리(低溫處理)는 $(^3H)-morphine$의 saturable binding을 현저(顯著)히 증가(增加)시켰고, maximal saturable binding은 증가(增加)시키나 $K_D$치(値)에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2) 저온처리시(低溫處理時) media내 morphine과 naloxone은 $(^3H)-morphine$ 의 maximal saturable binding 과 $K_D$치(値)를 증가(增加) 시켰다. 3) 저온처리시(低溫處理時) media내(內) $K^+$감소(減少), $Mg^{++}$제거 또는$Mn^{++}$첨가(添加)는 $(^3H)-morphine$의 saturable binding을 현저(顯著)히 증가(增加)시켰고, $Na^+$감소(減少), $Ca^{++}$증가(增加)는 saturable binding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4) 저온처리시(低溫處理時) media내(內) morphine에 의한 $(^3H)-morphine$의 saturable binding증가(增加)는 media내(內) $Na^+$감소(減少), $K^+$감소(減少), $Mg^{++}$제거 또는 $Mn^{++}$첨가(添加)로는 영향(影響) 받지 않았으나 $Ca^{++}$증가(增加)로 억제(抑制)되었고, media내(內) naloxone에 의한 saturable binding증가(增加)는 $Mn^{++}$첨가(添加)는 영향(影響)받지 않았으나 media내(內) $Na^+$감소(減少), $K^+$감소(減少), $Ca^{++}$증가(增加) 또는 $Mg^{++}$제거로 억제(抑制)되었다. 이상(以上) 실험성적(實驗成績)은 저온처리(低溫處理) 및 저온처리시(低溫處理時) media내(內) morphine 또는 naloxone이 opiate수용체(受容體)의 양적(量的)인 변동(變動)과 또는 친화력(親和力)의 변동(變動)을 유발(誘發)하며, media내(內) 전해질조성(電解質組成)이 이들 변동(變動)에 영향(影響)을 미침을 시사(示唆)한다.

  • PDF

고지방 섭취한 쥐에서 페노파이브레이트 복용에 의한 간 UCP3 발현 기간과 대사변화 관계 (De novo Expression of Hepatic UCP3 Is Time-Dependently Related with Metabolic Function in Fenofibrate-Treated High Fat Diet Rats)

  • 박미경;강아영;서은희;조연수;강수정;홍숙희;김덕규;이혜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5-20
    • /
    • 2009
  • Uncoupling protein 3 (UCP3)는 골격근에서 주로 발현되는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이다. 생체의 대사기능에 관여할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그 역할에 대하여 깊이 연구되어 있지 않다. 최근에 고지혈증 치료제인 페노파이브레이트를 처치한 쥐의 간에서는 UCP3가 새로이 발현 유도된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본 연구자들은 새로이 발현되는 UCP3가 비만쥐의 지방조직올 감소시키며, 인슐린 감수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이 발현되는 UCP3의 시간에 따른 발현 양상과 대사 기능의 연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8주령 흰쥐를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은 고지방 식이를 실시하고(HF군), 다른 군은 고지방 식이와 페노파이브레이트(HFF군)를 함께 복용토록 하였다. 10주 동안 식이와 약물을 처리하면서, 1, 3, 6주에 간조직올 분석하였으며, 매주 먹이량, 체중, 체온을 측정하였다. 페노파이브레이트에 의하여 간에서 새로이 발현되는 UCP3는 2주부터 시작하여 3, 6주에 아주 높은 발현 양상을 보였다. 두 군 간의 먹이량의 차이는 없는 반면, 페노파이브레이트 처리군에서 6 주부터 시작하여 체중증가가 억제되며, 오히려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체온은 페노파이브레이트 처리군에서 6주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UCP3의 발현에 의한 간에서의 upcoupling 현상에 따른 발열현상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로 유추해 볼 때, UCP3 발현이 3-6주부터 많은 양이 생성되어 생체의 대사 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시기와 연관되어 체중, 체온의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온도감응성 수화젤을 이용한 골수간엽줄기세포의 골분화 유도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 Stem Cells Using Thermo-Sensitive Hydrogels)

  • 김선경;현훈;김순희;윤선중;김문석;이종문;강길선;이해방
    • 폴리머
    • /
    • 제30권3호
    • /
    • pp.196-201
    • /
    • 2006
  • 온도감응성 고분자인 폴리 (에틸렌 글리콜)을 기본으로 하는 다이블록 및 트리블록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들은 비독성과 생체적합성 그리고 생분해성 특징 때문에 조직공학 분야 및 주사제형의 약물전달체에서 많은 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이블록 공중합체를 이용한 솔-젤 전이 현상을 갖는 고분자를 평균분자량 750 g/mole의 메톡시 폴리 (에틸렌 글리콜)과 카프로락톤을 실온에서 HCl $Et_2O$ 존재 하에서 개환중합을 통하여 합성하였다. 이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in vivo상에서 골수간엽줄기세포와 골유도물질인 덱사메타손의 존재 여부에 따라 골분화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조직을 파라핀으로 고정시켜 슬라이드를 제조한 후 hematoxylin & eosin, 본쿠사 및 오스테오칼신 염색을 통하여 골형성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덱사메타손이 함유된 젤이 골형성에 도움을 주지만 젤만으로는 강한 골형성을 유도할 수 없으므로 줄기세포나 다른 골형성 유도재료를 사용하면 우수하게 골형성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판단되었다.

당뇨병 백서의 복부 대동맥 운동성에 대한 Vit C 의 보호효과 (The Protective Effects of Ascorbic Acid on the Vascular Motilities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

  • 김영진;양기민;조대윤;손동섭;이무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4권7호
    • /
    • pp.515-523
    • /
    • 2001
  • 배경: 당뇨병 환자에서 사망률과 이환률의 원인은 70%이상 혈관계의 합병증에 기인한다. 이러한 합병증은 혈관 내피세포 이완 작용 이상과 연관되어 있으며 이는 oxygen free radical의 직접적인 독성으로 추정되어 본 연구는 당뇨를 유발시킨 백서 복부 대동맥 운동성에 대한 Vit C의 보호효과를 연구 목적으로 한다. 대상 및 방법: 백서 60마리를 실험군(n=33)과 대조군(n=27)으로 나누고 실험 군은 streptozotocin을 투여하여 당뇨를 유발시켰다. 각각 실험 군과 대조군을 ascorbic acid를 투여한 군과 투여하지 않은 군으로 세분한 후 ascorbic acid투여 직후, 6주, 9주, 12주후의 복부 대동맥 혈관근육의 운동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대조군의 경우 6주째 복부 대동맥 절편에서 acetylcholine투여 후 정상적인 이완반응이 나타났으나 실험군의 경우 현저히 저하됨이 관찰되었다. 9, 12주 째 절편에서는 실험군 중 ascorbic acid투여군에서 acetylcholine에 의한 이완반응이 거의 대조군에서의 결과와 일치할 정도로 회복되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당뇨병을 유발한 백서에서 내피세포 의존적인 장애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장애는 ascorbic acid의 투여로 회복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효과는 항산화 작용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되므로 ascorbic acid가 당뇨환자의 혈관성 질환에 대해 보호적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