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ssue architecture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1초

'매향' 딸기의 마그네슘 영양진단을 위한 결핍증상 및 식물체 내 한계농도 (Characterization of Symptom and Determination of Tissue Critical Concentration for Diagnostic Criteria in 'Maehyang' Strawberry (Fragaria$\times$ananassa Duch.) as Influenced by Magnesium Concentrations in the Fertigation Solution)

  • 최종명;정석기;윤무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8-245
    • /
    • 2008
  • 마그네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매향' 딸기를 관비재배하면서 Mg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건전생육을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마그네슘 결핍증상은 하위엽에서 발생하였으며, 초기에 하위엽의 엽맥 사이에서 반점 형태의 황화현상이 나타난 후 점차 반점 부위가 확산되어 엽맥간 황화현상으로 발전하였다 또한 증상이 심해지면서 엽맥 사이가 검게 변하고, 하위엽 선단의 갈변 및 괴사하는 증상이 발생하였다. Mg시비농도를 조절하여 관비하고 정식 120일 후에 지상부 생육을 조사한 결과 Mg 1.0 또는 2mM의 처리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0.5 이하나 4mM 이상으로 Mg 시비농도를 조절한 처리의 생장이 저조해지는 경향이었다. 건물중은 마그네슘 시비농도에 대하여 3차 곡선회귀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식물체당 약 8.2g의 건물중을 생산할 때 정점이 형성되었다. 최대 생장량의 90%를 최저 한계점으로 간주하면 식물체당 7.4g 이상의 건물중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Mg 함량이 $0.30\sim0.65%$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하며, 최적 시비농도는 약 2mM 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최대 생산량인 식물체당 생체중 36.2g의 90%를 최저 및 치고 한계점으로 간주 할 경우 엽병 추출액의 Mg농도가 $19\sim40mg{\cdot}kg^{-1}$의 범위에 포함되도록 시비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혼합상토의 조성이 고추 플러그 묘의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ot Medium Formulations on Growth and Nutrient Uptake of Hot Pepper Plug Seedlings)

  • 최종명;안주원;구자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9-376
    • /
    • 2006
  • 코이어(CO), 피트모스(PM) 또는 코이어+피트모스 (5:5, v/v, COPM)에 펄라이트(PL)를 0, 20또는 40% (v/v) 혼합하여 9종류의 상토를 조제하고, 고추 '녹광'을 플러그 육묘하면서 작물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72공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고 플러그 육묘하면서 파종 35일 및 70일 후에 지상부를 채취하여 식물 생육 및 무기원소 함량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CO는 PL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생체중 및 건물중 생산량이 많았으나, PM은 PL를 20% 혼합한 처리에서, 그리고 COPM는 PL 0% 처리에서 파종 35일 후 생체중과 건물중이 가장 무거웠다. 파종 70일 후의 생육도 35일 후의 결과와 유사였다. CO와 PM은 PL의 혼합 비율이 높아질수록 파종 3일 후의 식물체내 $P_2O_5$과 K 함량이 감소하고, Ca 및 Mg 함량이 증가하였다. CO 혼합 상토가 동일한 PL 비율의 PM 또는 COPM 상토보다 Ca 및 Mg 함량은 낮았으나, K 함량은 월등히 높았다. 파종 70일 후 CO 또는 PM에 PL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P_2O_5$와 K 함량이 감소하였다. 식물체의 Ca및 Mg는 CO의 경우 20% PL, PM은 40% PL, 그리고 COPM은 40% PL 처리에서 각 유기물내의 다른 PL 처리보다 함량이 많았다.

질소 시비농도가 잎들깨의 생육, 생리장해 발현 및 무기원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Deficiency Symptom and Tissue Nutrient Contents of Leaf Perilla (Perilla frutesens) as Influenced by Nitrogen Concentrations in the Fertigation Solution)

  • 최종명;박종윤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5-371
    • /
    • 2007
  • 본 연구는 질소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잎들깨를 관비재배 하면서 질소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생육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질소 무시비구에서 지상부 식물생육의 심한 억제 현상과 노엽의 엽신 전체가 황화된 후 점차 괴사하는 결핍증상이 나타났다. 질소 시비농도가 높아질수록 정식 75일 후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무거워졌고, 엽병 추출액의 $NO_3-N$ 농도와 토양 $NO_3-N$ 농도가 높아졌으나, 20mM 시비구에서는 질소과잉증상이 나타났다. $10{\sim}15mM$ 시비구에서 가장 바람직한 생장을 보였으며, 이때의 질소 함량은 건물중 기준으로 $0.9{\sim}1.25%$, 엽병추출액 및 1:2 추출법으로 분석한 토양의 $NO_3-N$ 농도가 각각 $800{\sim}3,300mg{\cdot}kg^{-1}$$28.7{\sim}47.3mg{\cdot}L^{-1}$ 범위에 포함되었다.

인산 시비농도가 잎들깨의 생육, 결핍증상 및 무기원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Deficiency Symptom and Tissue Nutrient Contents of Leaf Perilla (Perilla frutesens Britt) Influenced by Phosphorus Concentrations in Fertigation Solution)

  • 최종명;박종윤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8-364
    • /
    • 2007
  •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잎들깨를 관비재배하면서 인산의 시비수준이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생육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인산이 결핍될 경우 전체 지상부 생육이 심하게 억제되었으며, 노엽에서 초기증상이 발현되고, 엽병과 엽신이 자주색을 띄는 특징을 보였다. 증상이 나타난 부위는 점차 갈변하고 괴사하였다. 본 연구의 인산 시비수준 내에서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식물 생육이 증가하여 0, 0.5 및 4.0mM 시비구에서 생체중이 각각 0.48g, 9.289 및 25.5g였고, 건물중이 0.06g, 1.46g 및 4.13g으로 조사되었다.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던 4.0mM 처리에서 지상부 인산함량과 엽병추출액의 인산 농도가 1.78% 및 $2,040mg{\cdot}kg^{-1}$였고, 이 보다 10%낮은 식물 생육을 최저 한계점으로 판단한다면 각각 0.3% 및 $900mg{\cdot}kg^{-1}$ 이상의 인산 농도를 유지하도록 시비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정식 65일 후 인산 4.0mM 처리의 토양 인산 농도가 $1.26mg{\cdot}L^{-1}$였으며, 이 또한 수량감소를 방지하기 위해 $0.57mg{\cdot}L^{-1}$ 이상의 토양 농도를 유지하도록 시비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칼륨 시비농도가 잎들깨의 생육, 결핍증상 및 무기원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Growth, Deficiency Symptom and Tissue Nutrient Contents of Leaf Perilla (Perilla frutesens Britt) as Influenced by Potassium Concentrations in the Fertigation Solution)

  • 최종명;박종윤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72-378
    • /
    • 2007
  • 본 연구는 칼륨의 시비농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잎들깨의 생장과 결핍증상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생육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식물체 및 토양의 한계농도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칼륨 결핍 증상은 노엽에서 시작되었으며, 노엽의 가장자리가 황변하고, 황변된 부위가 점차 갈색으로 변화되었으며, 갈변 후 괴사하였다. 칼륨 시비농도를 8mM까지 높일 경우 엽장과 줄기직경이 길거나 굵어졌으며, 생체중 및 건물중이 무거워지고, 엽록소 함량이 감소하였다. 생육이 우수하였던 K 8mM 시비구의 식물체당 건물중과 K 함량이 5.01g과 2.76%였으며, 생장억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1.7% 이상의 K 함량을 가져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칼륨을 8mM로 시비한 처리의 엽병추출액내 K 농도가 $12,289mg{\cdot}kg^{-1}$였고, 1:2로 추출한 토양농도가 $11.65mg{\cdot}L^{-1}$였으며, 엽병추출액은 $8,700mg{\cdot}kg^{-1}$이상, 토양용액은 $4.5mg{\cdot}L^{-1}$을 유지하도록 시비하여야 수량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Sorghum TCP transcription factor MULTISEED1 affects grain yield regulating at pedicellate spikelet fertility

  • Lee, Young Koung;Jiao, Yinping;Gladman, Nicholas;Chopra, Ratan;Burow, Gloria;Burke, John;Xin, Zhanguo;Ware, Doree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5-25
    • /
    • 2017
  • Inflorescence architecture mainly contributes to final grain yield in crops. Sorghum inflorescence is basically composed of one fertile sessile spikelet (SS) and two infertile pedicellate spikelets (PS). To identify regulatory factors involved in the inflorescence architecture, we screened an EMS mutagenesis population from the pedigreed sorghum mutant library. We found inflorescent architecture mutants, named as multi-seed mutants, msd, with gained fertile ability in PS and also an increased number of floral branches. In natural sorghum populations, it is not common that are fertile. A detailed dissection of developmental stages of wild type and msd1 mutant described that the PS in wild type do not have floral organs, including ovary, stigma, filament and anther, while the msd1 mutants generate intact floral organ in the sessile spikelet. We found MSD1 encoded a TCP transcription factor using bulk segregant analysis (BSA) of F2 population, and was a strongly enriched expression during inflorescence developmental stages. We proposed that MSD1 functions to suppress floral organ maintenance at PS during inflorescence development in Sorghum. To explore the regulatory network associated with PS fertility, whole genome expression profiling was performed at 4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in 6 various tissue types between wild type and msd1. Taken together, we demonstrated that MSD1 was involved in the plant hormone and maybe influenced program cell death in PS via the activation of plant hormonal pathway.

  • PDF

Antiangiogenic and Antitumor Activities of the Cryptic Fragments with Kringle Architecture

  • Joe, Young-Ae;Kim, Myung-Rae;Shim, Byoung-Shik;Oh, Dae-Shik;Hong, Sung-Hee;Hong, Yong-Kil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1권4호
    • /
    • pp.205-213
    • /
    • 2003
  • Various angiogenesis inhibitors target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block tumor angiogenesis. Angiostatin is a specific endogenous angiogenesis inhibitor in clinical trials, which contains only the first four triple loop structures, known as kringle domains. Its generated by proteolytic cleavage of its parent molecule plasminogen, which itself does not exhibit antiangiogenic activity. Kringle domains from prothrombin, apolipoprotein, hepatocyte growth factor, urokinase and tissue-type plasminogen activator also elicit anti-angiogenic or antitumor activities in several model systems, albeit low amino acid sequence identity between angiostatin and each individual kringle. However, the differential effects of each kringle domain on endothelial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bserved in these kringle domains, suggest that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primary structure is still important although kringle architecture is essential for anti-mlgiogenic activity. If it is further studied as to how amino acid sequence and kringle architecture contributes in anti-angiogenic activity, with studies on underlying mechanisms of anti-angiogenesis by kringle-based angiogenesis inhibitors, it will provid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new potent anti-angiogenesis inhibitors and improvement of the efficacy of angiogenesis inhibitors.

Focal Muscle Vibration Changes the Architecture of the Medial Gastrocnemius Muscle in Persons With Limited Ankle Dorsiflexion

  • Moon, Il-Young;Lim, Jin-Seok;Park, Il-Woo;Yi, Chung-Hwi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8-53
    • /
    • 2022
  • Background: The gastrocnemius tightness can easily occur. Gastrocnemius tightness results in gait disturbance. Thus, various interventions have been used to release a tight gastrocnemius muscle and improve gait performance. Moreover, focal muscle vibration (FMV) has recently been extensively researched in terms of tight muscle release and muscle performance. However, no study ha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MV application on medial gastrocnemius architectural changes. Objects: In this stud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MV on medial gastrocnemius architecture in persons with limited ankle dorsiflexion. Methods: Thirty one persons with <10° of passive ankle dorsiflex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excluded persons with acute ankle injury within six months prior to study onset, a history of ankle fracture, leg length discrepancy greater than 2 cm, no history of neurological dysfunction, or trauma affecting the lower limb. The specifications of the FMV motor were as follows: a fixed frequency (fast wave: 150 Hz) and low amplitude (0.3-0.5 mm peak to peak) of vibration; the motor was used to release the medial gastrocnemius for 15 minutes. Each participant completed three trials for 10 days; a 30-second rest period was provided between each trial. Medial gastrocnemius architectural parameters [muscle thickness (MT), fiber bundle length (FBL), and pennation angle (PA)] were measured via ultrasonography. Results: MT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FMV application (p < 0.05). FBL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its baseline value after FMV application (p < 0.05). PA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its baseline value after FMV application (p < 0.05). Conclusion: FMV application may be advantageous in reducing medial gastrocnemius excitability following a decrease in the amount of contractile tissue. Furthermore, FMV application can be used as a stretching method to alter medial gastrocnemius architecture.

A rare case of intramural patent ductus arteriosus in a dog: anatomic, histopathologic, and radiographic features

  • Kim, Jung-Hyun;Kim, Su-Min;Kim, Ja-Young;Han, Hyun-Ju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89-92
    • /
    • 2020
  • A 5-year-old dog was evaluated for a lethargy and respiratory distress. Radiograph revealed cardiomegaly with pleural effusion, and the dog died during a thoracocentesis. At necropsy, the descending aorta and pulmonary trunk were dilated and in close contact, but there was no external evidence of a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When the descending aorta was opened however, an ostium opening into the pulmonary trunk was evident. Histopathological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intramural PDA resembled vascular tissue with a structure and architecture. The diagnosis was an intramural PDA, an extremely rarely reported type of PDA in the dog.

한성부 시전의 형성과 조선 후기~대한제국기 시전 공간의 특징 (Formation of Hanseongbu Sijeon and characteristics of Sijeon space in Late Joseon~Korean Empire Period)

  • 정수인
    • 건축역사연구
    • /
    • 제31권4호
    • /
    • pp.29-44
    • /
    • 2022
  • This thesis is a study to Haengnang(行廊, a series of buildings) of Sijeon(市廛, licensed markets), which was built along with palaces, Jongmyo(宗廟) and roads in order to establish Hanyang(漢陽) as the capital of Joseon (朝鮮). Sijeon, built on Jongno and Namdaemun-ro, the main roads in Hanyang, created two-row lands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formed Pimat-gil as an inner road between the Jeonbang and Doga. The formation of the city proceeded along with the maintenance of the water path, and the situation of the water path parallel to the flow of Sijeon was achieved. The Sijeon building was a spatial structure managed by independent rooms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unique operation method of Sijeon. The Sijeon of Hanyang had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land, architecture, roads, and waterways, and acted a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Hanyang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