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ormation of Hanseongbu Sijeon and characteristics of Sijeon space in Late Joseon~Korean Empire Period

한성부 시전의 형성과 조선 후기~대한제국기 시전 공간의 특징

  • 정수인 (서울역사박물관, 한양대학교 건축환경공학과)
  • Received : 2022.07.27
  • Accepted : 2022.08.30
  • Published : 2022.08.31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to Haengnang(行廊, a series of buildings) of Sijeon(市廛, licensed markets), which was built along with palaces, Jongmyo(宗廟) and roads in order to establish Hanyang(漢陽) as the capital of Joseon (朝鮮). Sijeon, built on Jongno and Namdaemun-ro, the main roads in Hanyang, created two-row lands on both sides of the road, and formed Pimat-gil as an inner road between the Jeonbang and Doga. The formation of the city proceeded along with the maintenance of the water path, and the situation of the water path parallel to the flow of Sijeon was achieved. The Sijeon building was a spatial structure managed by independent rooms as a result of reflecting the unique operation method of Sijeon. The Sijeon of Hanyang had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land, architecture, roads, and waterways, and acted as a major factor in determining the urban spatial structure of Hanyang City.

Keywords

References

  1. 朝鮮總督府, 「朝鮮人の商業」, 京城, 1925.
  2. 關野貞, 「韓國建築調査報告書」 常民の家屋, 東京:東京帝國大學, 1904.
  3. 고동환, 「조선시대 시전상업 연구」, 지식산업사, 2013.
  4. 박은숙, 「시장의 역사」, 역사비평사, 2010.
  5. 서동천, 「복고와 서양화 사이에서」, 한양대학교 출판부, 2021.
  6. 요시다 미츠오 저, 김동철 역, 「근세 서울 도시사회 연구 : 한성의 거리와 주민」, 심산문화(심산), 2019.
  7. 한울문화재연구원, 「鐘路 淸進12~16地區 遺蹟II」, 한울문화재연구원.지엘메트로씨티, 2013.
  8. 정수인, 「조선~대한제국기 한성부 시전 공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22.8.
  9. 김미성, 「조선후기 면주전과 명주 생산.유통구조」,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10. 민소희, 「조선시대 종로 시전행랑의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종로 청진지구 발굴유구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논문, 2014.
  11. 박호승, 「조선시대 한양시가의 시전랭랑 평면형태에 관한 연구-청진 6지구 발굴유구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논문, 2006.
  12. 박대유, 「한국 상업건축의 변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논문, 2002.
  13. 김유성, 「조선시대 한양시가의 행랑건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1987.
  14. 정수인, 한동수, 「20세기 한성부 종로 주변 시전의 배치구조와 공간 변화」,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21.10.
  15. 정수인, 한동수, 「20세기 초 한성부 종로 주변 시전건물의 공간구조와 특징」,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2.
  16. 정수인, 한동수, 「20세기 초 개성 남대가와 한양 종로주변 시전의 비교를 통한 상호 관계 연구」, 「건축역사연구」, 한국건축역사학회, 2022.4.
  17. 심경미, 「시전행랑의 건설로 형성된 종로변 도시조직의 특성」, 「도시설계학회」 10권 제4호,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12.
  18. 김윤주, 「조선 초기 수도 한양의 불교 사찰 건립과 불사 개설」, 「서울학연구」, 서울학연구소, 20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