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elevation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7초

Seasonal Variatio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on the Tidal Flat of Gomso Bay, West Coast of Korea

  • Chang, Jin-Ho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8권2호통권23호
    • /
    • pp.19-22
    • /
    • 2004
  • Seasonal changes of topograpy, sediment grain size and accumulation rate on the Gomso-Bay tidal flat(Fig. 1), west coast of Korea, hav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asonal accumulation pattern and preservation potential of tidal-flat sediments. Seasonal levelings across the tidal flat show that the landward movement of both intertidal sand shoals and cheiers accelerates during the winter and typhoon period, but it almost stops in summer when mud deposition is instead predominant on the middle to upper tidal flat. Seasonal variations of mean grain size were largest on the upper part of middle tidal flat where summer mud layers were eroded during the winter and typhoon periods(Fig. 2). Measurements of accululation depths from sea floor to basal plate reveal that accumulation rates were seasonal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elevation of tidal-flat surface(Table 1) : the upper flat, where the accumulation rate of summer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winter, was characterized by a continuous deposition throughout the entire year, whereas on the middle flat, sediment accumulations were concentrated in winter realtive to summer, and were intermittently eroded by typhoons. The lower tidal flat were deposited mostly in winter and eroded during summer typhoons. Cancores taken across the tidal flat reveal that sand-mud interlaers resulting from such seasonal changes of energy regime are preserved only in the upper part of the deposits and generally replaced by storm layers downcore(Fig. 3). Based on abov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storm deposits formed by winter stors and typhoons would consist of the major part of the Gomso-Bay deposits(Fig. 4).

  • PDF

다중 원격탐사 플랫폼 기반 곰소만 갯벌 정밀 지형변화 연구 (Precise Topographic Change Study Using Multi-Platform Remote Sensing at Gomso Bay Tidal Flat)

  • 황득재;김범준;최종국;유주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2_2호
    • /
    • pp.263-275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무인항공기, LIDAR, TanDEM-X 자료 기반 DEM을 사용하여 곰소만 갯벌의 다년간의 지형 변화를 분석하였다. LIDAR 기반 DEM은 2011년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관측한 유인항공기 관측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TanDEM-X 기반 DEM은 2015년 6월 영상을 활용하여 제작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무인항공기 자료는 주진천을 중심으로 만 바깥쪽에 위치한 고창군 만돌리 해안의 갯벌지역인 KM 지역과 하전리 연안의 갯벌지역인 KH 지역을 대상으로 각각 2019년 5월과 8월, 2018년 4월과 2019년 5월에 관측한 영상을 DEM으로 제작하여 비교하였다. KM 지역에서는 2011년에서 2019년 8월 사이에 평균 0.24 m 의 표고가 감소하였고, 셰니어가 육지 쪽으로 약 130 m 후퇴하였다. KH 지역에서는 연구 기간인 2011년에서 2019년 5월 사이에 평균 0.16 m의 표고가 증가하였다. 다중 플랫폼에 기반한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을 통해 갯벌의 정밀한 지형변화를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중 절단 기법을 이용한 조위자료의 확률밀도함수 추정 (Estimation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Tidal Elevation Data using the Double Truncation Method)

  • 정신택;조홍연;김정대;고동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47-254
    • /
    • 2008
  • 조 등(2004)에 의하여 연안 조위 발생빈도 분포함수로 제시된 쌍봉형 정규분포는 관측조위의 발생빈도와 매우 잘 일치하고 있으나 Monte-Carlo 모의기법을 이용하는 신뢰성 설계과정에서 수백만개의 조위를 발생하는 경우 비현실적인 조위가 발생되어 과대 또는 과도설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현실적인 조위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경계조위 상한-하한을 설정하여 분포함수의 범위를 제한하는 이중절단 쌍봉형 정규분포 함수를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함수분포에 포함된 매개변수를 비선형최적화기법을 이용하여 추정-제시하였다. 제안된 분포함수는 기존의 쌍봉형 정규분포에 비하여 뚜렷하게 정량적으로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지는 않으나, 신뢰성 설계과정에서 비현실적인 조위발생의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비현실적인 조위발생으로 유발되는 설계인자의 비현실적인 과대 및 과소평가 가능성도 자동적으로 제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강화도 남단 조간대에서의 수온 및 염분 변동양상 분석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 Analysis in the Inter-Tidal Zone, South of Ganghwado, Korea)

  • 조홍연;구본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10-320
    • /
    • 2008
  • 조간대가 발달한 강화도 남단 여차리, 동막리, 동검도에서의 정점 CTD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수온 및 염분변동 양상 및 원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간대 관측 자료는 조간대의 침수기간동안의 자료만을 이용하였다. 침수기간동안의 기온자료와 수온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상관관계가 매우 작은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수온변화는 조위의 상승하강과 반대되는 양상을 뚜렷하게 보여 주었다. 반면, 장기적인 지하수 유입의 영향으로 조석주기 동안 해수에서의 염분경사는 해안선에서 바다방향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수온의 경우에는 해안선에서 바다방향으로 갈수록 수온이 감소)이 있기 때문에 수온과는 반대되는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조석의 침수기간동안의 염분변화는 침수시점을 기준으로 조위가 상승하여 고조에 도달할 때 까지 증가하고, 조위가 감소하여 노출되는 시점까지 다시 염분이 감소하는 뚜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강화 동검도 동부 갯벌의 퇴적 특성 변화 (Changes in Sediment Characteristics in the Eastern Tidal Flat of Donggum Island in Ganghwa, west coast of Korea)

  • 우한준;장석;권수재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5-384
    • /
    • 2012
  • 강화 갯벌의 퇴적작용은 주변의 대규모 건설로 인하여 지난 20여년 동안 변화되어 왔다. 강화 갯벌 동부와 염하수로 하류에 위치한 동검 갯벌의 퇴적환경은 조류와 하구 순환의 변화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 그 결과 동검 갯벌에 급격한 퇴적이 일어났다. 두 개의 코어 퇴적물 상부에 나타나는 실트-점토 호층 엽리 실트 퇴적상은 동검 갯벌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퇴적이 있었음을 나타냈다. $^{210}Pb$ 분석에 의한 두 개 코어 시료의 퇴적률은 정점3에서 3.25cm/year와 정점 5에서 3.47cm/year 였다. 그러나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단기 퇴적률은 대부분 1cm/year 미만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의 퇴적을 나타내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동검 갯벌의 퇴적물은 2000년대에 인공구조물 건설에 의하여 급격히 퇴적되었다. 현재 동검 갯벌의 고도 증가는 계절 변화를 가진 상대적으로 낮은 퇴적률을 보여 주고 있다.

명량해전 당일 울돌목 조류.조석 재현을 통한 해전 전개 재해석 (A Revisit to the Myungryang Naval Battle through Hindcasting Tidal Currents and Tides)

  • 변도성;이민웅;이호정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9-197
    • /
    • 2011
  • As a multidisciplinary study encompassing oceanography and history, we have attempted to reanalyze the course of a historical navel battle, Myungryang Naval Battle(September 16th, 1597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through hindcasting the paleo-tidal currents and -tides(PTC). Firstly, we conducted harmonic analysis using 6-month current data observed at Uldolmok and 1-year elevation data provided by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to hindcast the PTC. Observation results show that Uldolmok, ~300m wide, relatively narrow channel, is characterized by a flood-dominant mixed mainly semidiurnal tidal regime induced by relatively-strong shallow water constituents, showing closely a standing wave type of tidal current. Further, we hindcasted PTC on the day of Myungryang Naval Battle. Our results were compared and discussed with results(time and speeds of maximum(flood and ebb) currents and high and low water times) of the previous studies estimated from different methods. Lastly, we reconstruct the course of the event of Myungryang Naval Battle recorded in the Admiral Sun-Sin Yi's War Diary(Nangjung Iigi in Korean) based on our hindcasting results.

ADCIRC 모델을 이용한 우이도 주변해역의 조류자원 평가 (Evaluation of Tidal Stream Resources Near Uido Using an ADCIRC Model)

  • 정해창;웬만훙;김부기;김준호;양창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87-193
    • /
    • 2017
  • 본 연구는 전남 서남해안 우이도 주변해역의 조류흐름 특성에 따른 조류에너지 자원을 평가하였다. 먼저 대상해역의 조류 특성에 관한 정보 수집을 통한 타당성 조사와 유한요소법을 적용한 수심평균 2차원 ADCIRC(Advanced Circulation) 수치모델로 조석과 조류속의 변화에 대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석분조는 우리나라 해역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4대 분조(M2, S2, K1, O1)를 기본으로 설정하였다. 실제 평균 수심이 반영된 수치모형의 4곳을 관측점으로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대조기 때 고고조 2.2m, 최강조류속 1.33 m/s를 나타냈다. ADCIRC Model의 결과값은 국립해양조사원(KHOA) 실제 관측 자료와 비교 및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또한 대상해역의 수치모델 조류속값에 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조류속기법(Tidal Flux Method)을 이용하여 조류에너지 밀도 분포에 대해 평가하였다. 우이도 해역의 5개 평가 영역 중 최대 $1.75kW/m^2$의 조류에너지 분포를 보였으며, 조위 및 조류속뿐만 아니라 해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조류에너지 밀도 분포도를 작성하여 최적의 조류발전단지 후보지를 선정하였다.

영일만의 조석잔차류 거동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Residual Current in Youngil Bay)

  • 김종규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4-23
    • /
    • 2001
  • 영일만의 해수순환에 영향을 미치는 조석잔차류와 형산강 하천수의 거동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2차원 수치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치모형실험의 결과는 기존의 관측자료들과 잘 일치하였으며, 영일만의 북쪽 달만갑 연안으로부터 포항신항을 거쳐 장기갑 연안을 따라 외해로 빠져나가는 조석잔차류 거동을 잘 재현하였다. 영일만의 잔차류에 대한 조류의 영향은 미약하며 파랑이나 바람에 의한 영향이 크지만 영일만의 전형적인 조석잔차류의 거동에 미치는 형산강 하천수의 역할은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